문화재/서울유형문화재 598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22호) 고봉화상선요

종 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22호) 명 칭 고봉화상선요 (高峯和尙禪要)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2.06.02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중랑구 숙선옹주로 69 (묵동, 무진법장사) 시 대 조선시대(1570년) 소 유 자 대한불교조계종 법장사 관 리 자 대한불교조계종 법장사 문화재설명 ​ 『고봉화상선요(高峯和尙禪要)』는 송나라 고봉선사 원묘(原妙, 1238-1295)가 선(禪)수행의 요령을 간추려서 해설한 선종의 지침서이다. 고봉화상이 수행중 겪은 갖가지 선(禪) 수행 체험을 바탕으로 삼아 지혜를 담은 내용으로 방황하는 수행인에게 좋은 길잡이가 되었다. 우리나라에 이 책이 전래된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고려시대 1358년에 최초로 간행하였다..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21호) 신겸 필 감지금니묘법연화경

종 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21호) 명 칭 신겸 필 감지금니묘법연화경 (信謙 筆 紺紙金泥妙法蓮華經)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필사본 / 사경 수량/면적 7권 7첩 지 정 일 2022.06.02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우정국로 55 (견지동, 조계사) 불교중앙박물관 시 대 1829년 소 유 자 대한불교조계종 청량사 관 리 자 불교중앙박물관 문화재설명 ​ 은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전반에 경북 문경 大乘寺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불사 활동을 전개했던 畫僧 退雲信謙이 1829년에 필사한 『묘법연화경』으로 닥종이를 여러겹 붙여 짙은 감색으로 물들인 紺紙에 금물감으로 본문을 필사한 으로 7권 7첩으로 구성되었다. 권1에 大隱沙門 호영(頀韺)이 ‘崇禎紀元後三甲申年’인 1824년에 지은 ‘寫金字法華..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20호) 미타사 아미타여래괘불도

종 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20호) 명 칭 미타사 아미타여래괘불도 (彌陀寺 阿彌陀如來掛佛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괘불화 수량/면적 4점(괘불도1점, 복장주머니 2점, 괘불함 1점) 지 정 일 2022.06.02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성동구 독서당로40길 21 (옥수동, 미타사) 시 대 1915년 소 유 자 미타사 관 리 자 미타사 문화재설명 ​ 는 괘불함과 복장주머니를 포함하고 있다. 아미타여래괘불도 상단 중앙에 비단으로 만든 복장주머니가 두 개 달려있으며, 화폭은 면 바탕으로 4매의 천을 이어 그림을 그리고 위쪽에 반달 형태의 천축과 아래에는 원형의 지축으로 마감하였다. ​ 미타사 아미타여래괘불도는 조선 말기에 성행하는 괘불도 형식으로 화면 상단에 아미타여래와 관음보살 및 대세지보살로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19호) 미타사 칠성각 치성광여래도

종 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19호) 명 칭 미타사 칠성각 치성광여래도 (彌陀寺 七星閣 熾盛光如來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2.06.02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성동구 독서당로40길 21 (옥수동, 미타사) 시 대 1897년 소 유 자 미타사 관 리 자 미타사 문화재설명 ​ 는 너비 99.3㎝, 40㎝ 정도의 무명천을 2폭을 길이 159㎝ 정도로 잘라 가로로 이어 전체 세로 139㎝, 가로 161.5㎝되는 바탕질을 마련하여 색을 올려 불화를 완성하였다. 화면의 중앙 치성광여래는 장엄용 장막이 드리워진 불단 위 도식화된 나뭇결무늬(木理紋)가 인상적인 단상 위에 연화대좌에 결가부좌한 형태로 권속들과 크기를 달리하여 존격을 나타내었다. 대좌 양옆으로는 일광, 월..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18호) 미타사 칠성각 신중도

종 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18호) 명 칭 미타사 칠성각 신중도 (彌陀寺 七星閣 神衆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2.06.02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성동구 독서당로40길 21 (옥수동, 미타사) 시 대 1887년 소 유 자 미타사 관 리 자 미타사 문화재설명 ​ 화면에는 푸른 창공과 채운(彩雲)을 배경 삼아 향 좌측 방형의 신광(身光)을 함께 두르고 높은 보관을 쓰고 합장한 보살의 모습으로 범천과 제석천이 그려있다. 이 그림의 모본이 되는 를 참고한다면 두 보살상 가운데 향 좌측에 그려진 형상이 제석, 향 우측 인물이 범천이다. 범천과 제석천은 모두 둥근 얼굴에 작은 이목구비가 단정하면서도 신성한 분위기를 잘 나타난 원만한 모습이다. 고개를 돌려 범천을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17호) 미타사 극락전 치성광여래도

종 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17호) 명 칭 미타사 극락전 치성광여래도 (彌陀寺 極樂殿 熾盛光如來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2.06.02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성동구 독서당로40길 21 (옥수동, 미타사) 시 대 1899년 소 유 자 미타사 관 리 자 미타사 문화재설명 는 극락전 후불탱화인 의 향좌쪽에 봉안되어 있는데, 19세기 한성과 경기도에서 많이 제작된 강림도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본존인 치성광여래를 중심으로 칠여래와 칠원성군(七元星君)을 비롯한 많은 권속이 좌우대칭으로 배치된 불화이다. 미타사 극락전 는 금어 학허석운(鶴虛石雲)이 혜과지한(慧果志澣), 보암긍법(普菴肯法), 종현(宗現)과 함께 제작하였다. 학허 석운은 미타사 극락전 에서는 금어 영..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16호) 미타사 극락전 신중도

종 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16호) 명 칭 미타사 극락전 신중도 (彌陀寺 極樂殿 神衆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2.06.02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성동구 독서당로40길 21 (옥수동, 미타사) 시 대 1899년 소 유 자 미타사 관 리 자 미타사 문화재설명 는 범천, 제석천, 그리고 위태천을 중심으로 천중(天衆)과 신중을 화면 가득히 그린 불화이다. 이는 1887년 일괄 제작된 미타사 극락전에 봉안된 6점의 불화 중 하나로 「양주종남산미타사중건겸단확기(楊州終南山彌陀寺重建兼丹臒記)」(1889년)와 화기를 통해 비구니 봉적 묘정(奉寂 妙靜)이 화주가 되어 금곡영환(金谷永煥)이 금어, 학허석운(鶴虛石雲)이 편수를 맡고, 동호진철(東昊震徹), 화암묘흡(華庵妙洽..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15호) 월인석보 권7-10

종 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15호) 명 칭 월인석보 권7-10 (月印釋譜 卷七-十)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수량/면적 4권 지 정 일 2022.06.02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성동구 독서당로40길 21 (옥수동, 미타사) 시 대 1459년 판각 소 유 자 미타사 관 리 자 미타사 문화재설명 『월인석보(月印釋譜)』는 조선시대 세조와 신미(信眉) 등이 함께 석가의 일대기와 그의 공덕을 칭송하는 내용을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과 「석보상절(釋譜詳節)」에서 합편 언해하고 ‘월인(月印)’과 ‘석보(釋譜)’의 두 글자씩을 취하여 서명으로 삼아서 1459년(세조 5)에 목판에 판각해서 간행한 목판본 전 25권이다. 편찬 방식은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의 형식을 따라서 『월인천강..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14호) 미타사 아미타삼존상 및 불복장 일괄

종 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14호) 명 칭 미타사 아미타삼존상 및 불복장 일괄 (彌陀寺 阿彌陀三尊像 및 佛腹藏 一括)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건칠조 / 불상 수량/면적 불상 3구 및 복장물 598점 지 정 일 2022.06.02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성동구 독서당로40길 21 (옥수동, 미타사) 시 대 아미타불상:1707년, 관세음보살상:1769년, 대세지보살상:조선 전기 추정 소 유 자 미타사 관 리 자 미타사 일반설명 본존불인 아미타불상은 목조이며 복장에서는 조성 발원문(1707년)과 바닥면에서는 이 상과 관련 없는 다른 조성 발원문(1757년) 1점이 수습되었다. 또한 중수 발원문(1744년·1917년) 2점, 후령통 1점, 복장 전적 여러 점이 수습되었다. 복장 전적 가운데 1459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13호) 미타사 극락전 감로도

종 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13호) 명 칭 미타사 극락전 감로도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2.03.24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성동구 독서당로40길 21 (옥수동, 미타사) 시 대 조선시대(1887년) 소 유 자 미타사 관 리 자 미타사 일반설명 ​ 미타사 극락전 하단불화로 영가단(靈駕壇)에 봉안된 감로도는 1887년에 일련의 불사로 조성되었다. 미타사 감로도는 비단 5폭을 가로로 잇대어(향좌로부터 폭46.21cm, 51.3m, 51.2m, 51.2, 46cm) 바탕을 만들고 그 위에 주(朱), 녹(綠) 등의 안료를 주조색으로 채색한 불화다. 미타사 극락전 내부의 불화는 대부분 가로로 긴 장방형의 구성과 51.5cm가 한 폭인 비단폭, 채색 등에서 동시 조성한 불화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