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국보 427

국보 (제347호) 김천 직지사 석가여래삼불회도

종 목국보 (제347호)명 칭김천 직지사 석가여래삼불회도 (金泉 直指寺 釋迦如來三佛會圖)분 류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수량/면적3폭지 정 일2024.12.26소 재 지경북 김천시 대항면 북암길 89, 직지사 성보박물관 (운수리)시 대1744년(조선 영조 20)소 유 자대한불교조계종 직지사 관 리 자대한불교조계종 직지사 ​국가유산 설명​​김천 직지사 석가여래삼불회도는 수화승 세관(世冠)을 비롯, 신각(神覺), 밀기(密機), 월인(月印) 등의 화승들이 1744년(조선 영조 20) 완성해 직지사 대웅전에 봉안한 것이다. 중앙의 영산회상도와 좌측의 약사여래설법도, 우측의 아미타여래설법도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작 당시 모습 그대로 보존되어 오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이 작품은 조선 ..

문화재/국보 2024.12.28

국보 (제346호)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

종 목국보 (제346호)명 칭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 (陜川 海印寺 靈山會上圖)분 류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수량/면적1폭지 정 일2024.12.26소 재 지경남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길 122, 해인사 (치인리)시 대1729년(조선 영조 5)소 유 자해인사관 리 자해인사​국가유산 설명​​해인사 영산회상도는 화기에 있는 기록을 통해 1729년(조선 영조 5)이라는 제작 연대와 의겸(義謙)을 비롯, 여성(汝性), 행종(幸宗), 민희(敏熙), 말인(抹仁), 만연(萬演), 지원(智元), 범안(椘眼), 도현(道玄) 등 제작 화승을 명확히 알 수 있는 불화이다. 비단 바탕에 채색으로 석가여래가 영축산에서 설법하는 장면을 묘사하였는데, 가운데 석가여래는 크게 부각하고 그 외 도상들은 하단에서부터 상단으로 갈수..

문화재/국보 2024.12.28

국보 (제345호)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

종 목국보 (제345호)명 칭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 (順天 松廣寺 靈山會上圖 및 八相圖)분 류유물 / 불교회화 / 괘불화수량/면적9폭(영산회상도 1폭, 팔상도 8폭)지 정 일2024.05.27소 재 지전라남도 순천시 송광사안길 100 (송광면, 대한불교조계종 송광사)시 대1725년(조선 영조 1)소 유 자대한불교조계종 송광사 관 리 자송광사성보박물관 ​문화재설명​​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는 송광사 영산전에 봉안하기 위해 일괄로 제작한 불화로 영산회상도 1폭과 팔상도 8폭으로 구성되어 있다. 영산회상도 화기에 ‘영산회상(靈山會上)’과 같은 화제나 후불벽 봉안을 의미하는 ‘후불도(後佛圖)’ 대신 ‘팔상회(八相繪)’라는 용어를 사용해 해당 영산회상도가 팔상도의 주불화로 일괄 제작되었음을 강..

문화재/국보 2024.06.07

국보 (제344호) 밀양 영남루

종 목국보 (제344호)명 칭밀양 영남루 (密陽 嶺南樓)분 류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조경건축 / 누정수량/면적1곽(대루, 능파각, 침류각, 여수각)지 정 일2023.12.28소 재 지경상남도 밀양시 중앙로 324 (내일동, 영남루)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국유 관 리 자밀양시 ​문화재설명​​영남루의 시초는 통일신라 때 세운 영남사(嶺南寺)라는 절에 있던 금벽루(金璧樓) 혹은 소루(小樓), 죽루(竹樓)라 불리는 작은 누각에서 시작된다. 이후 고려 때 절은 폐사되고 누각만 남아 있던 것을 1365년(공민왕 14)에 밀양군수 김주(金湊, 1339∼1404)가 중창하고 영남루(嶺南樓)라 한 것이 관영 누각으로서의 시작이다. 고려시대 정지상(鄭知常, ∼1135)은 영남루에서 바라본 아름다운 야경을 표현한 한시 「..

문화재/국보 2024.05.23

국보 (제343호) 삼척 죽서루

종 목국보 (제343호)명 칭삼척 죽서루 (三陟 竹西樓)분 류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조경건축 / 누정수량/면적1동지 정 일2023.12.28소 재 지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성내동 9-3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국유 관 리 자삼척시 ​문화재설명​​삼척 죽서루는 고려 명종(1171∼1197)대에 활동하였던 김극기(金克己, 1148∼1209)가 죽서루의 풍경을 읊은 시 등을 통해 적어도 12C에는 창건되었으며, 처음에는 ‘서루(西樓)’로 불리다가 14C후반에 들어서 ‘죽서루(竹西樓)’라 불리기 시작했다. 또 김수온(金守溫, 1410∼1481)의 『죽서루단청기(竹西樓丹靑記)』(1472), *허목(許穆, 1595∼1682)의 『죽서루기(竹西樓記)』(1662) 등에서 ‘1403년 부사 김효손(金孝孫, 1373∼142..

문화재/국보 2024.05.15

국보 (제342호) 부안 내소사 동종

종 목국보 (제342호)명 칭부안 내소사 동종 (扶安 來蘇寺 銅鍾)분 류유물 / 불교공예 / 의식법구수량/면적1구지 정 일2023.12.26소 재 지전라북도 부안군 내소사로 243 (진서면, 내소사)시 대1222년(고려 고종 9)소 유 자대한불교조계종 내소사 관 리 자대한불교조계종 내소사 ​문화재설명​사찰에서 사용하는 종은 소리를 통해 범음(梵音)을 전파하는 도구 중 하나로 법고, 운판, 목어와 더불어 법구사물(法具四物)로 불린다. 종은 대중을 모이게 하거나 시간을 알리기 위해 치기도 하지만, 신성한 불음(佛音)을 통해 현실에서 고통 받고 있는 중생들의 깨달음과 구제를 염원하는 종교적 기능도 가지고 있다.​‘부안 내소사 동종’은 몸체에 음각으로 새겨진 주종기(鑄鍾記)를 통해 도인(道人) 허백(虛白)과 종..

문화재/국보 2024.05.15

국보 (제341호) 이순신 장검

종 목국보 (제341호)명 칭이순신 장검 (李舜臣 長劍)분 류유물 / 과학기술 / 무기병기류 / 무기무구류수량/면적2자루지 정 일2023.08.24소 재 지충청남도 아산시 현충사길 126 (염치읍)시 대조선시대(1594년)소 유 자문화재청 현충사관리소 관 리 자문화재청 현충사관리소 ​문화재설명​‘이순신 장검’은 1963년 보물로 지정된 ‘이순신 유물 일괄’에 포함된 도검으로 길이가 약 2m에 달하며 크기와 형태가 거의 같은 한 쌍이 각각 칼집을 갖추고 있다. 칼자루는 나무에 어피를 감싸고 붉은 칠을 하였으며, 일부분만 직사각형의 금속판을 댄 후 가죽끈을 X자로 교차해 감고 끈 위에 검은 칠을 하여 칼자루를 잡았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였다. 외날의 칼날은 칼등 방향으로 조금 휘어 있으며, 칼날의 단면은..

문화재/국보 2024.05.15

국보 (제340호)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

종 목 국보 (제340호) 명 칭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 (益山 彌勒寺址 西塔 出土 舍利莊嚴具) 분 류 유물 / 불교공예 / 장엄구 수량/면적 총 9점(금제 사리봉영기 1점, 금동사리외호 1점, 금제 사리내호 1점, 청동합 6점) 지 정 일 2022.12.27 소 재 지 전라북도 익산시 미륵사지로 362 (금마면, 국립익산박물관) 시 대 백제 639년(무왕 40)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국립익산박물관 문화재설명 ​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는 2009년 익산 미륵사지 서탑 심주석(心柱石)의 사리공(舍利孔)에서 출토된 유물로서, 639년(무왕 40) 절대연대가 기록된 금제 사리봉영기(金製 舍利奉迎記)와 함께 금동사리외호(金銅舍利外壺), 금제 사리내호(金製 舍利內壺)를 비롯해 각..

문화재/국보 2023.04.07

국보 (제339호)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

종 목 국보 (제339호) 명 칭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 (陜川 海印寺 大寂光殿 木造毘盧遮那佛坐像 및 腹藏遺物)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수량/면적 불상 1구, 복장유물 52건 53점 지 정 일 2022.10.26 소 재 지 경상남도 합천군 해인사길 132-13 (가야면, 해인사) 시 대 신라 9세기 후반 소 유 자 대한불교조계종 해인사 관 리 자 대한불교조계종 해인사 ​문화재설명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은 현재 해인사의 주전각인 대적광전에 봉안되었으나 지금은 그 오른쪽에 위치한 대비로전(大毗盧殿)에 봉안된 비로자나불상과 그 복장유물 일괄이다.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은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과 비교해 크기, 제작기법 등이 ..

문화재/국보 2023.04.07

국보 (제338호)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

종 목 국보 (제338호) 명 칭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 (陜川 海印寺 法寶殿 木造毘盧遮那佛坐像 및 腹藏遺物)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수량/면적 불상 1구, 복장유물 63건 104점 지 정 일 2022.10.26 소 재 지 경상남도 합천군 해인사길 132-13 (가야면, 해인사) 시 대 신라 9세기 후반 소 유 자 대한불교조계종 해인사 관 리 자 대한불교조계종 해인사 문화재설명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은 원래의 봉안전각은 알 수 없으나 한동안 팔만대장경이 봉안된 법보전의 주불로 봉안되었다가 지금은 주불전인 대적광전의 오른쪽에 위치한 대비로전(大毗盧殿)에 봉안된 불상과 그 복장유물이다. 불상의 제작 시기는 불상의 양식과 도상, 과학..

문화재/국보 2023.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