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국보 420

국보 (제340호)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

종 목 국보 (제340호) 명 칭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 (益山 彌勒寺址 西塔 出土 舍利莊嚴具) 분 류 유물 / 불교공예 / 장엄구 수량/면적 총 9점(금제 사리봉영기 1점, 금동사리외호 1점, 금제 사리내호 1점, 청동합 6점) 지 정 일 2022.12.27 소 재 지 전라북도 익산시 미륵사지로 362 (금마면, 국립익산박물관) 시 대 백제 639년(무왕 40)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국립익산박물관 문화재설명 ​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는 2009년 익산 미륵사지 서탑 심주석(心柱石)의 사리공(舍利孔)에서 출토된 유물로서, 639년(무왕 40) 절대연대가 기록된 금제 사리봉영기(金製 舍利奉迎記)와 함께 금동사리외호(金銅舍利外壺), 금제 사리내호(金製 舍利內壺)를 비롯해 각..

문화재/국보 2023.04.07

국보 (제339호)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

종 목 국보 (제339호) 명 칭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 (陜川 海印寺 大寂光殿 木造毘盧遮那佛坐像 및 腹藏遺物)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수량/면적 불상 1구, 복장유물 52건 53점 지 정 일 2022.10.26 소 재 지 경상남도 합천군 해인사길 132-13 (가야면, 해인사) 시 대 신라 9세기 후반 소 유 자 대한불교조계종 해인사 관 리 자 대한불교조계종 해인사 ​문화재설명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은 현재 해인사의 주전각인 대적광전에 봉안되었으나 지금은 그 오른쪽에 위치한 대비로전(大毗盧殿)에 봉안된 비로자나불상과 그 복장유물 일괄이다.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은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과 비교해 크기, 제작기법 등이 ..

문화재/국보 2023.04.07

국보 (제338호)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

종 목 국보 (제338호) 명 칭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 (陜川 海印寺 法寶殿 木造毘盧遮那佛坐像 및 腹藏遺物)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수량/면적 불상 1구, 복장유물 63건 104점 지 정 일 2022.10.26 소 재 지 경상남도 합천군 해인사길 132-13 (가야면, 해인사) 시 대 신라 9세기 후반 소 유 자 대한불교조계종 해인사 관 리 자 대한불교조계종 해인사 문화재설명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은 원래의 봉안전각은 알 수 없으나 한동안 팔만대장경이 봉안된 법보전의 주불로 봉안되었다가 지금은 주불전인 대적광전의 오른쪽에 위치한 대비로전(大毗盧殿)에 봉안된 불상과 그 복장유물이다. 불상의 제작 시기는 불상의 양식과 도상, 과학..

문화재/국보 2023.04.07

국보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종 목 국보 (제337호) 명 칭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靑陽 長谷寺 金銅藥師如來坐像 및 腹藏遺物)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금속조 / 불상 수량/면적 불상 1구, 복장유물 13건 18점 지 정 일 2022.06.23 소 재 지 충청남도 청양군 장곡길 241 (대치면, 대한불교조계종 장곡사) 시 대 고려시대 (1346년(충목왕 2)) 소 유 자 장곡사 관 리 자 장곡사 일반설명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으나, 이후 발원문을 포함한 복장유물이 추가로 연구됨에 따라 제작시기와 발원자 등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게 되었다. 발원문에는 1346년(고려 충목왕 2)이라는 정확한 제작시기가 있어, 고려 후기 불상 연구의 절대 기준을 제시해주고 있다. 고려 후기 불상조각 중 정확한 약기인(藥器印)을..

문화재/국보 2023.04.07

국보 (제336호)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

종 목 국보 제336호 명 칭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 (求禮 華嚴寺 木造毘盧遮那三身佛坐像)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수량/면적 불상 3구, 후령통 2건 일괄, 시주질 2건 지 정 일 2021.06.23 소 재 지 전라남도 구례군 시 대 조선시대 (1635년인조 13) 소 유 자 화엄사 관 리 자 화엄사 ​일반설명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은 화엄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으며, 1635년(인조 13) 조선 후기 유명 조각승인 청헌(淸軒, 淸憲)과 응원(應元), 인균(印均)을 비롯해 이들의 제자들이 협업해 완성한 17세기를 대표하는 불교조각이다. ‘삼신불’은 법신(法身) 비로자나불(毘盧舍那佛), 보신(報身) 노사나불(盧舍那佛), 화신(化身) 석가불(釋迦佛)을 말하며 화엄..

문화재/국보 2022.09.24

국보 (제335호) 이십공신회맹축-보사공신녹훈후

종 목 국보 (제335호) 명 칭 이십공신회맹축-보사공신녹훈후 (二十功臣會盟軸-保社功臣錄勳後)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필사본 수량/면적 1축 지 정 일 2021.02.17 소 재 지 경기도 성남시 시 대 조선시대 (1680년 숙종 6) 소 유 자 국*** 관 리 자 한*** ​일반설명 ‘이십공신회맹축 –보사공신녹훈후’는 1680년(숙종 6) 8월 30일에 개국공신(開國功臣) 이래 보사공신(保社功臣) 까지의 공신과 그 자손들을 모아 회맹제(會盟祭)를 거행한 후 작성한 회맹축이다. 이 회맹축이 작성된 시기는 1694년이다. ‘보사공신’이란 1680년(숙종 6)년 4월에 서인이 다시 집권하게 된 ‘경신환국(庚申換局)’ 때에 공을 세운 이들에게 내린 훈호(勳號)였으나, 1689년에 삭훈되었고 이후 169..

문화재/국보 2022.09.14

국보 (제334호) 기사계첩 및 함

종 목 국보 (제334호) 명 칭 기사계첩 및 함 (耆社契帖및 函) 분 류 유물 / 일반회화 / 풍속화 수량/면적 화첩 1첩, 내함 1점, 호갑 1점, 외궤 1점 지 정 일 2020.12.22 소 재 지 충청남도 아산시 시 대 조선시대 1719∼1720년(숙종 45∼숙종 46) 소 유 자 홍*** 관 리 자 홍*** 일반설명 ‘기사계첩’은 1719년(숙종 45) 59세가 된 숙종이 태조 이성계의 전례를 따라 기로소(耆老所)에 들어 간 것을 기념해 기로소에서 주관한 계첩(契帖)으로, 18세기 전반을 대표하는 궁중기록화이다. 기로 소는 70세 이상, 정2품 이상 직책을 가진 노년의 문관(文官)들을 우대하던 기관이다. 행사는 1719년에 실시되었으나 계첩은 초상화를 그리는데 오랜 시간이 걸려 1720년(숙종 ..

문화재/국보 2022.09.12

국보 (제333호) 합천 해인사 건칠희랑대사좌상

종 목 국보 (제333호) 명 칭 합천 해인사 건칠희랑대사좌상 (陜川 海印寺 乾漆希朗大師坐像)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수량/면적 1구 지 정 일 2020.10.21 소 재 지 경상남도 합천군 시 대 고려시대 소 유 자 해인사 관 리 자 해인사 문화재설명 ‘합천 해인사 건칠희랑대사좌상’은 신라 말∼고려 초에 활동한 승려인 희랑대사(希朗大師, 10세기)의 모습을 조각한 것이다. 현존하는 우리나라의 유일한 초상조각[祖師像;僧像]으로서, 고려 10세기 전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유사한 시기 중국과 일본에서는고승(高僧)의 모습을 조각한 조사상을 많이 제작했으나, 우리나라에는 유례가 거의 전하지 않으며 이 작품이 실제 생존했던 고승의 모습을 재현한 유일한 조각품으로 남아 있다. 희랑대사는 화엄학(華嚴學)에 ..

문화재/국보 2022.09.12

국보 (제332호)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

종 목 국보 (제332호) 명 칭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 (旌善 淨岩寺 水瑪瑙塔)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1기 지 정 일 2020.06.25 소 재 지 강원도 정선군 함백산로 1410 (고한읍, 정암사) 시 대 고려시대 소 유 자 정암사 관 리 자 정암사 일반설명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이 있는 정암사는 「삼국유사」가 전하는 바에 따르면 신라 자장율사(慈藏律師)가 당나라 오대산에서 문수보살로부터 석가모니의 몸에서 나온 진신사리(眞身舍利)를 받아 귀국한 후, 643년(선덕여왕 12년)에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는 사찰임. 정암사에는 수마노탑을 바라보는 자리에 적멸보궁이 자리 잡고 있으며, 이는 통도사, 오대산 중대, 법흥사, 봉정암의 적멸보궁과 더불어 우리나라 5대 적멸보궁으로서..

문화재/국보 2022.09.12

국보 (제331호) 창덕궁 이문원 측우대

종 목 국보 (제331호) 명 칭 창덕궁 이문원 측우대 (昌德宮 摛文院 測雨臺) 분 류 유물 / 과학기술 / 천문지리기구 / 천문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0.02.27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 일반설명 국보 제331호 ‘창덕궁 이문원 측우대(昌德宮 摛文院 測雨臺)’는 1782년(정조 6) 정조의 명에 의해 창덕궁 규장각의 부속 건물인 이문원(摛文院) 앞에 설치되었던 것으로, 이는 측우대 좌우 네 면에 새겨진 ‘측우기명(測雨器銘)’과 19세기 궁궐그림인 를 통해 확인된다. 에는 이문원 앞뜰에 받침돌 없이 놓인 것으로 그려진 측우대 한 기가 그려진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이 바로 ‘창덕궁 이문원 측우대’이다. 석재는 조선시대 왕실..

문화재/국보 2022.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