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충북유형문화재 410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11호) 하동정씨 고문서

종 목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11호) 명 칭 하동정씨 고문서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전적류 수량/면적 18점 지 정 일 2022.07.01 소 재 지 충청북도 옥천군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하ㅁㅁ 관 리 자 옥천군 일반설명 하동 정씨 고문서는 총 18점으로 재산 분배 문서인 분재기, 왕에게 올린 상서, 교지, 개인 호적등본인 호구 등이 포함돼 있다. 하동정씨 고문서 중 분재기에는 조선 전기에 보편적으로 시행된 균등 상속이 조선 후기에 이르기까지 계속되고 있는 점과 노비와 전답 등 세부적인 분급 사실을 통해 옥천 지역 사회·경제적인 변화를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10호) 영동 영국사 목조소대

종 목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10호) 명 칭 영동 영국사 목조소대 (永同 寧國寺 木造疏臺) 분 류 유물 / 불교공예 / 기타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2.03.25 소 재 지 충청북도 영동군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영국사 관 리 자 영국사 일반설명 영동 영국사 목조소대는 영동 영국사 대웅전에 소장돼 있는 유물이다. 소대는 불교의 수륙재, 천도재에서 사용되는 소문(疏文: 부처님 앞이나 명부전 앞에 죽은 이의 죄복을 아뢰는 글) 등을 넣는 불교의식구이다. 영국사 목조소대는 전체적으로 외부는 받침, 몸체, 머리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소문을 고정하는 판목은 사라지고 판목 꽂이 흔적만 남아 있다. 전체 형태에서 보면 기단부를 상당히 높게 제작했다. 조선후기 사찰에서는 많은 소대가 제작됐..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09호) 청주 고령신씨 명가묵적

종 목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09호) 명 칭 청주 고령신씨 명가묵적 (淸州 高靈申氏 名家墨蹟)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전적류 수량/면적 6점 지 정 일 2021.11.05 소 재 지 충청북도 청주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공유 관 리 자 청주고인쇄박물관 일반설명 「청주 고령신씨 명가묵적」은 청주에 오랫동안 살아온 고령신씨 영성군파 문중에서 전해온 묵적[첩]이다. 아버지 신중엄(申仲淹, 1522∼1604)의 팔순 잔치에 아들 신식(申湜, 1551∼1623)·신설(申渫, 1561∼1631) 형제가 초대하거나 따로 시를 받아 묶은 "경수도첩(慶壽圖帖)", 신식·신설 형제의 관력(官歷)과 관계된 "연경별장(燕京別章)"·"관동별장(關東別章)"·"해서별장(海西別章)", 그리고 "경수도첩"에 누락된 글..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08호) 백곡집

종 목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07호) 명 칭 백곡집 (백곡집)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전적류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1.07.16 소 재 지 충청북도 증평군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증평군 관 리 자 증평군 일반설명 '백곡집'은 조선 후기의 문인 백곡 김득신(金得臣·1604∼1684년)의 문집으로, 2019년 '증평 독서왕 김득신문학관' 개관과 함께 후손이 증평군에 기증했다. 김득신은 조선 숙종 때의 다작 시인으로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백곡집'은 지금까지 초간본을 비롯해 총 3종류가 전해지며, 이번에 도 문화재로 지정된 김득신문학관 소장본이 그중 가장 많은 시와 글을 수록하고 있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07호) 영동 영국사 동종

종 목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07호) 명 칭 영동 영국사 동종 (永同 寧國寺 銅鐘) 분 류 유물 / 불교공예 / 의식법구 수량/면적 1구 지 정 일 2021.07.16 소 재 지 충청북도 영동군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영국사 관 리 자 영국사 일반설명 영국사(寧國寺)는 본래 옥천군(沃川郡) 지역으로 1906년 행정구역 변경시 영동군에 소속되었다. 정확한 초창 시기는 알 수 없으나 발굴된 자료를 종합하여 볼 때 통일신라시대 초창된 뒤 12세기 경 원각국사 덕소(圓覺國師 德素)의 하산처가 되면서 대규모 불사가 이루어 졌다. 이후 조선시대까지 총 6차례에 걸친 중건(重建)과 중수(重修)를 거쳐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경내에는 영국사 승탑(寧國寺 僧塔)등 보물 5점, 천연기념물 1점, 도지정문화재 4점이..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06호) 제천 신륵사 극락전 현왕도

종 목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06호) 명 칭 제천 신륵사 극락전 현왕도 (堤川 神勒寺 極樂殿 現王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기타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0.11.06 소 재 지 충청북도 제천시 월악산로4길 480 시 대 조선시대 (1809) 소 유 자 신륵사 관 리 자 신륵사 일반설명 신륵사의 주불전인 극락전의 왼편에는 죽은 이를 천도하는 의식을 거행하는 영단(靈壇)이 가설되어 있으며, 영단에는 현왕도가 걸려 있다. 현왕도는 죽은 후 3일 후 망자를 극락왕생시키기 위해 거행했던 현왕재(現往齋)에서 봉청되는 현왕과 권속을 표현한 불화이다. 현왕은 시왕 중 한명인 염라대왕이 내세에 성불할 것을 수기 받은 보현왕여래를 의미한다. 조선후기에 현왕재가 유행하면서 현왕도의 제작도 급증하..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05호) 제천 신륵사 극락전 영산회상도

종 목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05호) 명 칭 제천 신륵사 극락전 영산회상도 (堤川 神勒寺 極樂殿 靈山會上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0.11.06 소 재 지 충청북도 제천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신륵사 관 리 자 신륵사 일반설명 제천 신륵사 극락전 영산회상도는 석가여래가 영축산에서 설법한 장면을 그린 것으로 충북유형문화재 제132호로 지정된 제천 신륵사 극락전에 모셔진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뒤편을 장식한 불화이다. 19세기 초에 조성된 대형 후불도로는 제작 연대가 앞서고 사불산화파(四佛山畵派)의 화풍이 잘 반영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충청북도와 경상북도의 경계를 넘어 활발하게 교류되었던 승려 장인들의 교류 양상을 보여준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04호) 정립 문적

종 목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04호 명 칭 정립 문적(鄭雴 文籍)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전적류 수량/면적 4점 지 정 일 2020.11.06 소 재 지 충청북도 옥천군 장계1길 57 (안내면, 옥천 향토전시관)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옥천 향토전시관 관 리 자 옥천 향토전시관 일반설명 정립 문적은 옥천 출신의 정립 선생이 남긴 고문서 4점으로, 고암기(顧菴記, 1586∼1592년, 일기)와 개명첩(改名帖), 교첩, 교지이다. 정립 문적은 개인의 생활사 뿐만 아니라 당시의 지역문화 및 정치상황 등 포괄적이고 다양한 사회현상과 변화 등을 짐작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서 충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03호 보은 모현암

종 목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03호) 명 칭 보은 모현암 (報恩 慕賢唵) 분 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면적 2동(본동1동58.06㎡,부속동1동9.86㎡) 지 정 일 2020.10.08 소 재 지 충청북도 보은군 종곡2길 18-110 (보은읍)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대곡서당계 관 리 자 대곡서당계 대표 김혁기 일반설명 ‘모현암’은 조선 명종 때의 학자 성운(成運, 1497~1579)이 을사사화를 피해 은거했던 학재(學齋)이다. 성운이 이 집을 짓고 사암(斯菴)이라 불렀으며 그의 사후에는 대곡재(大谷齎)라고 하였다가 후에 그의 제자들이 그를 사모해 모현암(慕賢菴)이라 이름 지어 부르게 됐다. 건물의 기둥이나 보, 도리, 서까래 등 사용 목부재가 견실하고 치목기법 등 세부..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02호) 영동 봉유재

종 목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02호 명 칭 영동 봉유재 (永同 奉裕齋) 분 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면적 2동 지 정 일 2020.10.08 소 재 지 충청북도 영동군 매곡면 내동1길 40-2 시 대 조선시대 1632년 초축, 1751년 및 1931년 중수 소 유 자 충주박씨 목사공파 종중 관 리 자 충주박씨 목사공파 종중 일반설명 매곡면 노천리는 충주박씨 종중 세거지로 도 유형문화재인 ‘흥학당’과 ‘사로당’이 있으며, 인접마을에 문화재자료인 ‘세천재’가 있어 서당, 사당, 재실을 모두 갖춘 종중의 지역 정착과 발전과정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마을이다. 봉유재는 주변을 토석담으로 두르고 전면으로 삼문을 배치하였으나, 후대에 복원된 것으로 초축당시의 양상은 알 수 없다. 건물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