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서울문화재자료 91

서울특별시 문화재자료 (제88호) 복검관행차시하인식료기

종 목 서울특별시 문화재자료 (제88호) 명 칭 복검관행차시하인식료기 분 류 기록유산 / 문서류 / 관부문서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2.06.02 소 재 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서울 약령시 한의약박물관 관 리 자 동대문구 일반설명 복검관행차시하인식료기(覆檢官行次時下人食料記)는 상원군에 행차한 복검관 및 그 일행에 대해 상원군 관아에서 식사를 비롯한 각종 음식 등을 대접한 내역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놓은 일종의 회계기록이다. 조선시대 검시 절차에서 복검관이 행차할 때의 구체적인 면모를 살펴볼 수 있는 실물 문서 사례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가 없다. 다만, 조선후기 관아에서 작성한 회계, 출납, 물목 등 유사한 맥락의 고문서는 여러 형태로 남아있다. 조선시대 지방에서 발생한..

서울특별시 문화재자료 (제87호) 미타사 도량장엄번

종 목 서울특별시 문화재자료 (제87호) 명 칭 미타사 도량장엄번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수량/면적 11점 지 정 일 2022.06.02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성동구 시 대 1917년 소 유 자 미타사 관 리 자 미타사 일반설명 ​ 도량장엄번은 의식공간에 결계(結界)를 쳐서 깨끗하게 하는 의례 불화로 번화(幡畵) 형식으로 제작하였다. 1660년(현종 1)에 발간된 의식집인 『오종범음집(五種法音集)』「보청의식(普請儀式)」에 의하면, 상단 예불의식인 영산회작법에서 사보살과 팔금강을 청해 도량을 위호하도록 한 후에 불화를 걸어 의식을 진행하고 있다. 위 사보살도와 팔금강도는 극락전 아미타여래좌상 복장물에서 나온 극락전 아미타여래상「개금 원문(改金 願文)」(도 8)을 통해 조성이 확인된다. 즉, 1917년 미..

서울특별시 문화재자료 (제86호) 백화사 목련경변상도

종 목 서울특별시 문화재자료 (제86호) 명 칭 백화사 목련경변상도 (白華寺 目連經變相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2.02.24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199-2 시 대 1925년 소 유 자 백화사 관 리 자 백화사 일반설명 백화사의 목련경변상도는 내용상 화면이 좌우로 양분된다. 화면의 오른쪽에는 불단 위에 붓다가 선정인을 취하고 앉아있고 그 좌우에는 6위의 보살이 시립하여 있으며, 위쪽에는 사천왕상이 자리하고 있다. 불단 아래에는 가섭과 아난존자가 서있고 가운데에는 목련존자가 합장하며 붓다에게 어머니를 구제할수 있는 방법을 알려달라고 간청하는 모습이 보인다. 화면의 왼쪽에는 중앙에 높은 담이 둘러진 아비지옥이 있고 그 아래에는 목련존자가 옥졸에게 끌려나온 어..

서울특별시 문화재자료 (제85호) 미타사 책거리 병풍

종 목 서울특별시 문화재자료 (제85호) 명 칭 미타사 책거리 병풍 (彌陀寺 冊거리 屛風) 분 류 유물 / 기타종교회화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2.02.24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성동구 시 대 19세기 말~20세기 초 소 유 자 미타사 관 리 자 미타사 일반설명 형태 : 미타사 정수암에 소장된 책거리로서 종이에 채색한 8폭 병풍이다. 전체 크기는 92.5×332cm이며, 각 폭은 평균 92.5×41.5cm 이다. 화면의 크기는 각 폭 평균 60.5×37cm 이다. 각 폭마다 붉은 색의 두꺼운 종이를 사면에 대었으며, 남색 천을 대어 장황하였다. 병풍 발을 포함하여 높이가 1m미만의 작은 병풍, 실내용 단병이다. 도상 : 서가가 생략된 책거리이다. 고동기와 서책, 그리고 꽃과 과일 등의 식물이 다..

서울특별시 문화재자료 (제84호) 미타사 정수암 소조여래좌상

종 목 서울특별시 문화재자료 (제84호) 명 칭 미타사 정수암 소조여래좌상 (彌陀寺 淨水庵 塑造如來坐像)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소조 / 불상 수량/면적 1구 지 정 일 2021.11.04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시 대 일제시대(1930) 소 유 자 미타사 정수암 관 리 자 미타사 정수암 일반설명 ○ 미타사 정수암의 소조여래좌상은 복장물이 처음 조성 당시 그대로 잘 남아있다. 특히 제작 시기와 조각승을 알려주는 조성발원문이 발견되어 이 상의 내력을 분명히 알려준다. 가장 중요한 조성발원문은 크기가 세로×가로 20×35cm이며 비단 위에 주서(朱書)한 것이다. 이 발원문을 통해 미타사 정수암의 소조여래좌상의 제작 시기와 조각승을 분명히 알 수 있게 되었다. 발원문에는 이 불상을 위한 증명법사는 동고봉근..

서울특별시 문화재자료 (제83호) 고성이씨 금암가 경서 필사본 4종

종 목 서울특별시 문화재자료 (제83호) 명 칭 고성이씨 금암가 경서 필사본 4종 (固城李氏 錦菴家 經書筆寫本 四種)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필사본 / 기타류 수량/면적 17책 지 정 일 2021.11.04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시 대 조선 영조51(1755) 소 유 자 이*** 관 리 자 이*** 일반설명 ㅇ 고성이씨 금암가 경서 필사본 4종(固城李氏 錦菴家 經書筆寫本 4種)은 경북 안동의 고성이씨 금암가에 세전되어 오던 시전(詩傳), 서전(書傳), 주역(周易), 예기(禮記) 4종의 경서를 필사한 책이다. ㅇ 책과 함께 필사된 대산 이상정(李象靖, 1710~1781)의 글을 통해서 금암 이시룡(李時龍, 1682~1722)의 아들 이원욱(李元郁)이 1775년 이전에 필사하여 아들 이홍중(李弘重)에..

서울특별시 문화재자료 (제82호) 선가귀감

종 목 서울특별시 문화재자료 (제82호) 명 칭 선가귀감 (禪家龜鑑)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수량/면적 1책(45장) 지 정 일 2021.07.29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시 대 조선 인조 11년(1633) 소 유 자 최*** 관 리 자 최*** 일반설명 『선가귀감(禪家龜鑑)』은 서산대사(西山大師) 휴정의 여러 경론(經論)과 역대 조사들의 어록 (語錄) 중에서 선가의 귀감이 될 만한 중요한 내용을 발췌하여 주해(註解)를 달고 송(頌)과 평 (評)을 붙여서 편찬한 책이다. 합본되어 있는 『선교석(禪敎釋)』은 휴정의 저술로, 불교에 있어 서 선과 교(敎)의 차이점을 후학들에게 논술한 책이다. 이 책은 선 수행을 하는 사람들의 지침이 될 수행법과 사상을 수록하고 있다. 『선가귀감』은 본래 ..

서울특별시 문화재자료 (제81호) 법장사 목조여래좌상

종 목 서울특별시 문화재자료 제81호 명 칭 법장사 목조여래좌상 (法藏寺 木造如來坐像)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수량/면적 1구 지 정 일 2020.11.05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동 법장사 시 대 조선후기 소 유 자 법장사 관 리 자 법장사 일반설명 법장사 소장 목조여래좌상은 선정인의 수인을 한 소형의 목조불좌상으로, 조선후기 불상에서 보이는 변형 편단우견 방식의 착의를 하고 있다. 반달형 중간 계주를 기점으로 정상부로 갈수록 점점 커지는 나발은 조선말 19세기 소형불상에서 보이는 특징이다. 불상의 밑 부분은 속을 파고 뚜껑 판을 덮어 세 군데에서 못을 끼우는 방식으로 제작되었으나 현재는 원래의 뚜껑 판이 결실되고, 저부 전체에 맞게 밑판이 보완되어 있다. 바닥 앞쪽에‘二’..

서울특별시 문화재자료 (제80호) 봉원사 치성광여래도

종 목 서울특별시 문화재자료 제80호 명 칭 봉원사 치성광여래도 (奉元寺 熾盛光如來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0.11.05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봉원사길 120 (봉원동, 봉원사) 시 대 조선후기 소 유 자 봉원사 관 리 자 봉원사 일반설명 는 봉원사 칠성보전에 봉안되어 있는 후불탱화이다. 칠성보전은 사찰에 전해지는 에 의해 고종이 즉위하던 1864년 6월 건립하였음을 알수 있다. 발원문·연화질과 에는 고종의 즉위를 기념하여 성신(星神)들의 보살핌으로써 왕의 치세가 영원하고 왕실이 안녕하기를 바란다는 호국적인 염원이 기록되어 있다. 화면 중앙에는 연화자 위 치성광여래가 연화좌에 앉아 왼손바닥 위에 금륜(金 輪)을 올리고 오른손은 위로 들어 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