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서울유형문화재 598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12호) 미타사 극락전 아미타불회도

종 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12호) 명 칭 미타사 극락전 아미타불회도 (彌陀寺 極樂殿 阿彌陀佛會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2.03.24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성동구 독서당로40길 21 (옥수동, 미타사) 시 대 조선시대(1887년) 소 유 자 미타사 관 리 자 미타사 일반설명 ​ 미타사 극락전에는 아미타삼존상(阿彌陀三尊像)을 주존불로 모시고, 후불도로 아미타불회도(阿彌陀佛會圖)를 봉안하고 있다. 동쪽벽에는 좌․우로 지장시왕도(地藏十王圖)와 신중도(神衆圖)를 모셨고 서벽에는 칠성도(七星圖), 현왕도(現王圖), 감로도(甘露圖)를, 1887년에 모두 6점의 불화를 봉안하여 불전을 장엄하였는데, 6점 불화의 화주에 비구니 묘정(竗正)이 등장한다. 아미타불회도는 미타사의..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11호) 미타사 금수암 현황도

종 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11호) 명 칭 미타사 금수암 현황도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2.03.24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성동구 독서당로40길 21 (옥수동, 미타사) 시 대 조선시대(1900년) 소 유 자 금수암 관 리 자 금수암 일반설명 ​ 는 미타사 금수암 무량수전의 하단 불화로 조성되었다. 폭 38㎝, 92㎝의 무명천 두 폭을 잇대어 만든 바탕에 그린 현왕도로서, 8폭 병풍을 배경으로 중앙의 현왕(現王)을 비롯하여 2위의 성왕(聖王)과 2위의 귀왕(鬼王), 4위의 판관(判官)과 녹사(綠事), 3위의 동자(童子)와 2위의 천녀(天女) 등 총 14위의 존상이 등장한다. 화면 하단 중앙부에 화기란이 마련되어 묵서를 통해 대한제국 광무 4년인 1900년 8월에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10호) 미타사 금수암 산신도

종 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10호) 명 칭 미타사 금수암 산신도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2.03.24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성동구 옥수동 395번지 시 대 조선시대(1869년) 소 유 자 금수암 관 리 자 금수암 일반설명 는 미타사 금수암 무량수전의 하단불화로 조성되었다. 화기는 그림 왼쪽 하단에 구획을 마련하여 묵서되어 있는데, 緣化秩로부터 시작하여 施主秩과 化主를 마지막으로 끝 부분에 조성 시기를 표기하였다. 화기로 미루어 보아 이 산신도는 1869년에 조성되었으며, 수화승인 金魚片手 應□을 비롯하여 漢峰堂 瑲燁, 比丘斗正, 比丘守烱, 比丘肯印 등 5명의 화승들에 의해 그려졌음을 알 수 있다. 한봉당 창엽은 19세기 중반부터 후반에 걸쳐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대..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09호) 예수시왕생칠재의찬요

종 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09호) 명 칭 예수시왕생칠재의찬요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전적류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2.03.24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소월로 109 (후암동, 남산도서관)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서울특별시교육청 남산도서관 관 리 자 서울특별시교육청 남산도서관 일반설명 『예수시왕생칠재의찬요(預修十王生七齋儀纂要)』는 조선시대 대우(大愚)가 사후(死後)의 극락왕생을 빌기 위해 살아 있을 때 재를 올려 공덕을 쌓는 불교의례의 일종인 여수재에 관한 의식 절차를 편찬한 의식집이다. 이 책의 저자 대우는 정확히 언제 어디서 태어난 사람인지 확인할 수 없다. 다만 동명이인으로 1676년에 태어나 1763년에 88세로 입적한 전라도 영암 출신 선승(禪僧)이 있을 뿐이다..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08호) 경조당상구선생안

종 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08호) 명 칭 경조당상구선생안 (京兆堂上舊先生案) 분 류 기록유산 / 문서류 / 문서류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1.12.30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서울특별시교육청 남산도서관 관 리 자 서울특별시교육청 남산도서관 일반설명 《경조당상구선생안(京兆堂上舊先生案)》은 조선시대 한성부에 재직한 “삼윤(三尹)”, 즉 판윤, 좌윤, 우윤의 명단을 수록한 책이다. 본문 앞부분에 수록된 는 한성부 우윤 허계(許啓, 1594~1653)가 9월 20일에 삼가 적었다는 기록이 있고, 이어서 “順治元年(1644)”과 “順治五年(1648)”을 명시한 치부(致賻, 상중 부조)에 관한 기록이 수록되어 있다. 승정원일기에 따르면, 허계는 1640년 9월 19..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07호) 경조낭청구선생안

종 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07호) 명 칭 경조낭청구선생안 (京兆郎廳舊先生案) 분 류 기록유산 / 문서류 / 관부문서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1.12.30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시 대 조선시대 (1644~18세기 추정) 소 유 자 서울특별시교육청 남산도서관 관 리 자 서울특별시교육청 남산도서관 일반설명 일제강점기인 1941년 경성부립도서관 장서로 등록된 이래 현재 서울특별시교육청남산도서관 장서로 보존 관리되고 있다. 《경조낭청구선생안(京兆郎廳舊先生案)》은 조선시대(후기) 한성부에 재직한 낭청, 즉 서윤(종4품), 판관(종5품), 겸참군, 참군(정7품)의 명단을 수록된 책이다. 앞부분에 수록된 관련 기록은 한성부 낭청들이 상을 당했을 때 조치할 사항을 적은 것으로서 “順治元年(164..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06호) 봉은사 시왕도

종 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06호) 명 칭 봉은사 시왕도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기타 수량/면적 1폭 지 정 일 2021.12.30 소 재 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시 대 조선시대 1777(정조1년) 소 유 자 봉은사 관 리 자 봉은사 일반설명 시왕은 인간이 살아있을 때 지었던 죄를 죽은 후 10번에 거쳐 심판하여 죄의 대가를 치르게 하고 마지막에 육도(六道) 중 다음 생에 태어날 곳을 결정하는 지하세계를 주재하는 10명의 왕이다. 시왕도는 명부전(冥府殿)에 봉안된다. 중앙에는 주존인 지장보살상과 후불화인 지장보살도 혹은 지장시왕도를 봉안하고 그 좌우 벽면에 시왕도를 봉안한다. 봉은사 시왕도는 제1·3대왕도, 제5·7·9대왕도, 제2·4대왕도, 제6·8·10대왕도의 4폭으로 제작되었으며..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05호) 미타사 극락전 현왕도

종 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05호) 명 칭 미타사 극락전 현왕도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기타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1.12.30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성동구 옥수동 미타사 시 대 조선시대(1887년) 소 유 자 미타사 관 리 자 미타사 일반설명 ​ 는 보존상태가 양호하고 화기가 잘 남아 있어 조성시기와 동참 화승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현재 극락전 안 서벽에 모셔져 있으며 41.7×51.5㎝폭의 비단 다섯 폭을 가로로 잇대어 바탕을 만들고 중앙의 現王을 중심으로 22위의 존상들을 좌우로 배치하였다. 특히 현왕 및 성왕들의 원유관과 홀 및 각 기물의 금속장식 및 향로 등에 화려하게 금박을 올려 적색과 녹색의 보색에 황금색의 대비를 줌으로써, 각 존상들의 움직임 있는 표..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04호) 미타사 극락전 지장시왕도

종 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04호) 명 칭 미타사 극락전 지장시왕도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기타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1.12.30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성동구 시 대 조선시대 1887년 소 유 자 미타사 관 리 자 미타사 일반설명 ​ 미타사 극락전 지장시왕도는 지장보살상을 비롯하여 십대왕 등의 도상이라든가 각 존상들의 배치로 보아 서울 성북구 소재의 흥천사 지장시왕도(1867년 作)를 모본으로 하고 있음을 볼 수 있는데, 흥천사 지장시왕도를 주도하여 조성한 ‘의운자우’의 경우 경상북도 문경 대승사 중심의 사불산파(四佛山派) 화승으로서 그 영향관계를 충분히 짐작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화기를 통해 광서 13년인 1887년 학허석운이 수화승을 맡고 한봉창엽과 금화기형이..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03호) 미타사 금수암 중신도

종 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03호) 명 칭 미타사 금수암 중신도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기타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1.12.30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성동구 시 대 조선시대 1900년(광무 4) 소 유 자 금수암 관 리 자 미타사 일반설명 ​ 미타사 금수암 신중도는 거의 정방형에 가까운 크기의 화면을 상·하 2단으로 나누어 상단에는 서로 마주 보듯 서서 합장하고 있는 제석천(帝釋天:향우측)과 범천(梵天:향좌측)을 비롯하여 중앙부에는 쌍계(雙髻) 머리를 하고 공양하고 있는 천동(天童) 3명이 자리하고 있으며, 제석천과 범천 바깥쪽에는 주악천녀(奏樂天女)가 자리 하였다. 화면 구성 및 도상의 차용에 있어 19세기 후반 조성의 서울 성북구 보문동 보문사〈신중도〉(1867년,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