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충남유형문화재 263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63호) 홍만조 초상

종 목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63호) 명 칭 홍만조 초상 (洪萬朝 肖像) 분 류 유물 / 일반회화 / 인물화 /초상화 수량/면적 1폭 지 정 일 2022.09.30 소 재 지 충청남도 아산시 시 대 조선시대(18세기)​ 소 유 자 홍ㅁㅁ 관 리 자 홍ㅁㅁ 문화재설명 ​ 홍만조 초상은 제작기법과 제작 경위 그리고 유전경로 추적이 가능한 점과 상용형식이나 초상 화법이 지닌 학술 가치를 높이 평가받아다. 홍만조 초상은 사모단령을 착용하고 교의에 앉아있는 견본채색의 대형 전신상이다. 제작연대는 18세기로 형식은 족자 형태, 재료는 비단, 크기는 세로 145.1㎝, 가로 79.2㎝다. ​ 초상화를 통해 조선 후기 명·청대의 초상화 도상과 서양화법이 전래해 새로운 초상화 양식이 형성되던 초창기의 과도기적 모습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62호) 예산 향천사 아미타불회도

종 목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62호) 명 칭 예산 향천사 아미타불회도 (禮山 香泉寺 阿彌陀佛會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 수량/면적 1폭 지 정 일 2021.12.20 소 재 지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 향천사로 117-20 (금오산 향천사) 시 대 조선시대(1782년)​ 소 유 자 향천사 관 리 자 향천사 문화재설명 ​ ​「예산 향천사 아미타불회도」는 1782년 예산 향천사 대웅전에 봉안하기 위해 조성된 불화로 제작자인 수화승 상겸의 독자적인 화풍 형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임 18세기 후반을 대표하는 화승 상겸의 초기작으로 불화의 작품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소위 경기화승으로 불리는 설훈, 상겸, 연홍 등 충남에서 활동 하면서 미쳤던 화풍의 영향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문화재로써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61호) 아산 봉곡사 지장시왕도

종 목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61호) 명 칭 아산 봉곡사 지장시왕도 (牙山 鳳谷寺 地藏十王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보살도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1.12.20 소 재 지 충청남도 아산시 시 대 조선시대(1867년) 소 유 자 봉곡사 관 리 자 봉곡사 일반설명 「봉곡사 지장시왕도」는 대웅전 중단에 봉안되었던 불화로, 1867년 수화승 해명당 산수와 차화승 춘담봉은이 제작한 불화이다. 현전하는 해명당 산수가 남긴 마지막 작품이다. 긴 상호와 강렬한 청색 및 다양한 장식표현 등은 그의 말년의 화풍을 잘 나타낸다. 지장보살과 도명존자, 무돈귀왕을 중심으로 좌우에 배치된 시왕과 권속들의 구성과 존상표현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세부묘사도 매우 뛰어나다. 아울러 금호당 약효 이전 19세기..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60호) 아산 봉곡사 목조석가여래좌상

종 목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60호) 명 칭 아산 봉곡사 목조석가여래좌상 (牙山 鳳谷寺 木造釋迦如來坐像)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소조 / 불상 수량/면적 1구 지 정 일 2021.12.20 소 재 지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도송로632번길 138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봉곡사 관 리 자 봉곡사 일반설명 아산 봉곡사 목조석가여래좌상은 높이 약 113㎝의 중형 불상이다. 네모난 상호(相好)의 턱 부분을 둥글게 처리하여 부드럽고 온화한 인상을 준다. 옆으로 길게 반개한 눈은 눈꼬리가 약간 올라가 있으며, 당당한 코와 다문 입술을 균형감 있는 비례로 표현하였다. 육계(肉髻)[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는 거의 드러나지 않으며 정상계주(頂上髻珠)와 중앙계주(中央髻珠)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59호) 천안 광덕사 소조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 일괄 및 복장유물

종 목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59호) 명 칭 천안 광덕사 소조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 일괄 및 복장유물 (天安 廣德寺 塑造地藏菩薩三尊像과 十王像 一括 및 腹藏遺物)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소조 / 불상 수량/면적 29구 지 정 일 2021.12.20 소 재 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광덕사길 30 (광덕사)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광덕사 관 리 자 광덕사 일반설명 '천안 광덕사 소조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 일괄 및 복장유물'은 광덕사 명부전에 29점이 봉안되어 있으며, 1728년에서 1729년에 걸쳐 조각승 취단이 조성했다. 지장보살삼존과 시왕을 비롯해, 동자, 판관, 귀왕, 사자, 금강역사 등 일체의 권속이 남아 있는데, 이처럼 18세기 명부전 존상이 완벽하게 남아 있는 사례는 매우 드..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58호) 당진 성당사 제석천도

종 목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58호) 명 칭 당진 성당사 제석천도 (唐津 聖堂寺 帝釋天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0.09.10 소 재 지 충청남도 당진시 시 대 조선시대 (1775년) 소 유 자 성당사 관 리 자 성당사 일반설명 제석도란 벼락을 신격화 한 제석신(帝釋神)을 단독으로 그린 그림을 말한다. 이 불화의 형식은 중앙에 화려한 보관을 쓰고 천의를 두른 제석천이 모란꽃 가지를 들고 의자에 앉아 있고, 그 무릎 앞에 양쪽으로 합장한 보살이 1위씩 서있다. 그 양옆으로 日·月 관을 쓴 천신(天神)인 일궁천자(日宮天子)와 월궁천자(月宮天子)가 홀을 들고 서있으며, 그 위에는 관을 쓰고 홀을 들고 있는 천자상이 좌·우 각각 2위씩 제석천을 향해 서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57호) 아산 현종정미온행망천도병풍

종 목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57호 명 칭 아산 현종정미온행망천도병풍 (牙山 顯宗丁未溫幸輞川圖屛風) 분 류 유물 / 일반회화 / 산수화 수량/면적 1건 8폭 지 정 일 2020.09.10 소 재 지 충청남도 아산시 충무로 123 (권곡동, 온양민속박물관)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온양민속박물관 관 리 자 온양민속박물관 일반설명 현종정미온행망천도병풍은 현종 8년(1667) 4월 11일부터 윤 4월 13일까지 현종이 눈병과 습창을 치료하기 위해 온양온천에 행차했을 때 호종했던 호조의 수뇌부가 제작한 병풍으로서 현존하는 가장 이른 시기의 계병일 뿐만 아니라 가장 이른 망천도(輞川圖)이자 유일한 망천도이다. 병풍은 본래 호조판서 김수홍이 화원에게 명하여 병풍 3개를 제작하게 한 뒤 참판 이은상과 좌랑 남몽뢰..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56호) 아산 삼도수군해방총도

종 목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56호 명 칭 아산 삼도수군해방총도 (牙山 三道水軍海防摠圖) 분 류 유물 / 일반회화 / 근대회화 / 동양화 수량/면적 1건 8폭 지 정 일 2020.09.10 소 재 지 충청남도 아산시 충무로 123 (권곡동, 온양민속박물관)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온양민속박물관 관 리 자 온양민속박물관 일반설명 아산 삼도수군해방총도는 병풍 8폭의 넓은 화면 위에 충청, 전라, 경상 등 삼남지방의 수군 배치현황을 상세히 수록한 대형지도와 함께 이 지역의 수군 총 현황을 정리한 상세한 통계를 실은 희귀한 자료로 19세기 초에 제작되었다. 삼도수군해방총도는 전국 단위의 국방 지도의 내용 중에서 해역의 방어, 즉 해방과 관련된 내용을 특화해서 담은 지도이다. 삼남지방을 대상으로 수영(水營)..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55호) 공주 학림사 호법론

종 목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55호 명 칭 공주 학림사 호법론 (公州 鶴林寺 護法論)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0.09.10 소 재 지 충청남도 공주시 시 대 고려말 조선시대 소 유 자 학림사 관 리 자 학림사 일반설명 호법론은 송나라 때 장상영이 척불론자들을 상대로 척불과 공덕무용론의 부당성을 지적하고 불법의 우수성을 변호함과 동시에 불교,유교, 도교 등 삼교의 공존공생 및 유불불이를 제창한 것. 중국 송나라에서 두 차례 간행되었고, 그 중간본이 고려에 전래되어 1372년 청룡사에서 간행이 이루어졌으며 조선시대에도 두 차례 간행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음. 공주 학림사 호법론은 1372년 충주 청룡사에서 목판본으로 간행된 것임.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54호) 천안 은석사 아미타불회도와 초본

종 목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54호 명 칭 천안 은석사 아미타불회도와 초본 (天安 銀石寺 阿彌陀佛會圖와 草本)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 수량/면적 1건 2점 지 정 일 2020.09.10 소 재 지 충청남도 천안시 시 대 조선시대 (1861년) 소 유 자 은석사 관 리 자 은석사 일반설명 '천안 은석사 아미타불회도와 초본'은 1861년(철종12)에 금어, 즉 단청이나 불화를 그리는 승려인 봉은, 창훈, 향림 등이 조성한 불화다. 2016년 천안 은석사 아미타불회도를 보존처리하는 과정 중 불화 뒷면에서 밑그림인 초본이 발견됐는데, 이는 1861년 4월 봉은을 보좌하는 보조화승 향림이 출초한 것으로 역사적 가치가 높다. 아미타불화도는 초본과 다르게 본존의 향 오른쪽의 보살을 지장보살로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