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국가민속문화재 921

국가민속문화재 (제304호) 영덕 무안박씨 희암재사

종 목 국가민속문화재 (제304호) 명 칭 영덕 무안박씨 희암재사 (盈德 務安朴氏 喜庵齋舍) 분 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면적 지정구역[건축물 4동 토지1,566.7㎡(6필지)], 보호구역[토지 2,038.2㎡(2필지)] 지 정 일 2022.12.20 소 재 지 경상북도 영덕군 숯골4길 248 (창수면, 덕후루)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무안박씨 무의공파 종친회 관 리 자 무안박씨 무의공파 종친회 문화재설명 영덕 무안박씨 희암재사는 임진왜란 당시 경주성 전투에서 큰 공을 세운 무의공 박의장(1555∼1615)을 기리려고 세운 분암 성격의 재사건축이다. ​ 분암은 묘 주변에 사찰을 세워 승려가 묘소를 지키게 하고 선조의 명복을 빌며 정기적으로 제를 올리기 위해 건립한 암자다...

국가민속문화재 (제303호) 상주 수암종택

종 목 국가민속문화재 (제303호) 명 칭 상주 수암종택 (尙州 修巖宗宅) 분 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면적 건축물 3동 408.9㎡, 토지 2,180.5㎡(5필지) 지 정 일 2022.08.22 소 재 지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단밀로 156-33 (중동면)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류*** 관 리 자 상주시 문화재설명 ⌜상주 수암 종택⌟은 서애 류성룡(柳成龍, 1542∼1607)의 셋째 아들 수암 류진(柳袗, 1582∼1635)을 불천위로 모시는 종가로, 속리산, 팔공산, 일월산의 지맥이 모이고, 낙동강과 위천이 합류하는 ‘삼산이수(三山二水)’의 명당자리에 자리하고 있으며, ㅁ자형 본채를 중심으로 별동의 녹사청과 사당이 위치하고 있다. 구전에 의하면 류성룡의 수제자인 상주 ..

국가민속문화재 (제302호) 전(傳) 영친왕 일가 어린이 옷

종 목 국가민속문화재 (제302호) 명 칭 전(傳) 영친왕 일가 어린이 옷 (傳 英親王 一家 어린이 옷) 분 류 유물 / 생활공예 / 복식공예 / 의복 수량/면적 9건 12점 지 정 일 2021.11.29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47길 100 (청파동2가, 숙명여자대학교) 시 대 일제시대 소 유 자 숙명여자대학교 관 리 자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 ​ 일반설명 사규삼은 왕실과 반가에서 돌 옷으로 입거나 관례 시 초출복 등 예복으로 착용하던 복식으로 현재 남아있는 유물이 매우 드물어 그 가치가 높으며, 어린이를 위한 배려가 보이는 저고리와 두루마기의 돌띠 방식, 색동마고자, 풍차바지, 타래버선 등에서 조선시대 왕실과 반가에서 사용된 어린이 복식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음. 또한 의복의 소재와 부금의 ..

국가민속문화재 (제301호) 영덕 괴시마을

종 목 국가민속문화재 (제301호) 명 칭 영덕 괴시마을 (盈德 槐市마을) 분 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마을 수량/면적 지정구역 278,951㎡, 보호구역 12,666㎡ 지 정 일 2021.06.21 소 재 지 경상북도 영덕군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영덕군 관 리 자 영덕군 일반설명 영덕(盈德)의 북쪽인 영해면 소재지에서 동북으로 1㎞를 가면 고려 말의 대학자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탄생지이자, 조선시대 전통가옥들로 고색창연한 영양 남씨 집성촌인 괴시전통마을이 모습을 드러낸다. 마을은 동해로 흘러드는 송천(松川) 주위에 늪이 많고 마을 북쪽에 호지(濠池)가 있어 호지촌(濠池村)이라 부르다가, 목은 선생(1328~1396년)이 문장으로서 원(元)나라에서 이름을 떨치고, 고국으로 오..

국가민속문화재 (제300호) 오산 구성이씨·여흥이씨 묘 출토복식

종 목 국가민속문화재 (제300호) 명 칭 오산 구성이씨·여흥이씨 묘 출토복식 (烏山 駒城李氏·驪興李氏 墓 出土服飾) 분 류 유물 / 생활공예 / 복식공예 / 의복 수량/면적 구성이씨 41건 51점(61pcs), 여흥이씨 55건 73점(82pcs) 지 정 일 2021.06.02 소 재 지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창룡대로 265 (이의동, 수원박물관)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수원박물관 관 리 자 수원박물관 일반설명 경기도 오산에서 출토된 구성이씨와 여흥이씨의 묘는 무연고이나 계획적인 발굴을 통해 회격의 구조에서 유물의 수습과정 및 보존처리까지 체계적으로 이루어진 많지 않은 사례 중 하나로 임진왜란 이전 여성의 염습과정 및 당시의 상·장례 풍습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유물임. 한 가문에 속한 두 여성(9..

국가민속문화재 (제298호) 봉화 오고당 고택

종 목 국가민속문화재 (제298호) 명 칭 봉화 오고당 고택 (奉化 五高堂 古宅) 분 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면적 건축물 본채 1동 77.26㎡, 토지 1,443.84㎡(3필지) 지 정 일 2020.11.09 소 재 지 경상북도 봉화군 봉양4길 26-17 (봉성면)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박*** 관 리 자 박*** 일반설명 「봉화 오고당 고택」은 조선후기 명의(名醫)로 알려진 박한진(朴翰鎭, 1815∼1893)이 살았던 곳으로 1820년 건립되었다고 전하며, 오고당(五高堂)이란 당호는 박한진의 호를 따서 후손들이 붙인 명칭이다. 오고선생 유고집에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에 의하면, 박한진이 61세 때인 1875년(고종 12년) 헌종의 생모인 조대비 신정왕후(神貞王后,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