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8376

보물 (제2279호)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

종 목보물 (제2279호)명 칭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 (螺鈿菊唐草文箱)분 류유물 / 생활공예 / 목공예수량/면적1건 3점지 정 일2024.12.26소 재 지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로 12(세종로, 국립고궁박물관)시 대고려 후기소 유 자국립고궁박물관관 리 자국립고궁박물관국가유산설명​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는 뚜껑과 몸체, 안쪽에 공간을 분리하는 속상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2023년 국가유산청(구 문화재청)이 일본에서 환수한 유물이다. 이 상자는 침엽수 계통의 나무를 켜 판재로 만든 백골 위에 천을 바르고 그 위에 골회(骨灰)를 입혀 자개를 부착한 다음 여러 번 옻칠하여 마감하는 전형적인 고려 나전칠기 제작 방식인 목심저피법(木心紵皮法)으로 제작되었다. 표면에는 전체적으로 총 770개의 국화넝쿨무늬를 배치하였고, 부수..

문화재/보물 2025.01.03

보물 (제2278호) 양양 선림원지 출토 금동보살입상

종 목보물 (제2278호)명 칭양양 선림원지 출토 금동보살입상 (襄陽 禪林院址 出土 金銅菩薩立像)분 류유물 / 불교조각 / 금속조 / 불상수량/면적1구(대좌, 광배 포함)지 정 일2024.12.26소 재 지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우석로 70(석사동, 국립춘천박물관)시 대통일신라(9세기)소 유 자국립춘천박물관관 리 자국립춘천박물관국가유산설명​양양 선림원지 출토 금동보살입상은 2015년 강원도 양양군 선림원지의 승방터로 추정되는 곳에서 발굴된 작품이다. 금동보살입상이 출토된 선림원은 통일신라기 선종의 요람으로, 존속 기간이 길지 않지만, 9세기 불교사에서 뚜렷한 흔적을 남긴 순응(順應, ?∼?), 염거화상(廉巨和尙, ?∼844), 홍각선사(弘覺禪師, 814∼880) 등이 주석하며 그 계보를 이어간 역사적 의의..

문화재/보물 2025.01.03

보물 (제2277호) 화성 용주사 감로왕도

종 목보물 (제2277호)명 칭화성 용주사 감로왕도(華城 龍珠寺 甘露王圖)분 류유물 / 불교회화 / 괘불화수량/면적1폭지 정 일2024.12.26소 재 지경기도 화성시 용주로 136(송산동, 용주사) 대한불교조계종 용주사시 대1790년(조선 정조 14)소 유 자대한불교조계종 용주사 관 리 자대한불교조계종 용주사 국가유산설명​화성 용주사 감로왕도는 화기에 있는 기록을 통해 1790년(조선 정조 14)이라는 제작 연대와 상겸(尙兼), 홍민(弘旻), 성윤(性玧), 유홍(宥弘), 법성(法性) 등 제작 화승을 명확히 알 수 있는 불화이다. 정조는 1789년 아버지 장헌세자(莊獻世子, 1735∼1762)의 무덤을 화성으로 옮겨 현륭원(顯隆園)으로 조성하고 원찰(願刹)로 용주사를 창건한 뒤 이곳에서 영가천도를 위해 ..

문화재/보물 2025.01.03

보물 (제2276호) 서울 흥천사 목조관음보살삼존상

종 목보물 (제2276호)명 칭서울 흥천사 목조관음보살삼존상 (서울 興天寺 木造觀音菩薩三尊像)분 류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보살상수량/면적존상 3구, 조성발원문 1점, 후령통 1점, 주서 보협진언 2점지 정 일2024.12.26소 재 지서울특별시 성북구 흥천사길 29(돈암동, 흥천사) 대한불교조계종 흥천사시 대1701년(조선 숙종27)소 유 자대한불교조계종 흥천사 관 리 자대한불교조계종 흥천사 국가유산설명​서울 흥천사 목조관음보살삼존상은 조성발원문을 통해 1701년(조선 숙종 27)이라는 제작 연대, 수조각승 법잠(法岑)을 비롯한 계초(戒楚), 진열(振悅), 성인(性印) 등의 제작자, 임실 신흥사 적조암이라는 원봉안처 등을 명확히 알 수 있는 불상이다. 현재 흥천사 대방에 봉안되어 있는 이 관음보살..

문화재/보물 2025.01.03

보물 (제2275호)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종 목보물 (제2275호)명 칭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詳校正本慈悲道場懺法)분 류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왕실본수량/면적10권 5책지 정 일2024.12.26소 재 지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국립중앙도서관)시 대1474년(조선 성종 5) 판각, 1481년(조선 성종 12) 인쇄소 유 자국립중앙도서관 관 리 자국립중앙도서관 국가유산설명​『자비도량참법』은 여러 경전에 들어 있는 참회의 방법과 내용 등을 일정한 체계로 엮은 책으로, 후대로 내려오면서 정확하고 상세히 다시 교정하고 정리한 후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이라 이름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이 책이 중국에서 전래된 고려 때부터 여러 차례 간행되어 조선시대까지 많이 전파된 불교 경전 중 하나이다.​지정 대상은 김수온이 쓴 발문에 따르면..

문화재/보물 2025.01.01

국보 (제347호) 김천 직지사 석가여래삼불회도

종 목국보 (제347호)명 칭김천 직지사 석가여래삼불회도 (金泉 直指寺 釋迦如來三佛會圖)분 류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수량/면적3폭지 정 일2024.12.26소 재 지경북 김천시 대항면 북암길 89, 직지사 성보박물관 (운수리)시 대1744년(조선 영조 20)소 유 자대한불교조계종 직지사 관 리 자대한불교조계종 직지사 ​국가유산 설명​​김천 직지사 석가여래삼불회도는 수화승 세관(世冠)을 비롯, 신각(神覺), 밀기(密機), 월인(月印) 등의 화승들이 1744년(조선 영조 20) 완성해 직지사 대웅전에 봉안한 것이다. 중앙의 영산회상도와 좌측의 약사여래설법도, 우측의 아미타여래설법도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작 당시 모습 그대로 보존되어 오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이 작품은 조선 ..

문화재/국보 2024.12.28

국보 (제346호)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

종 목국보 (제346호)명 칭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 (陜川 海印寺 靈山會上圖)분 류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수량/면적1폭지 정 일2024.12.26소 재 지경남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길 122, 해인사 (치인리)시 대1729년(조선 영조 5)소 유 자해인사관 리 자해인사​국가유산 설명​​해인사 영산회상도는 화기에 있는 기록을 통해 1729년(조선 영조 5)이라는 제작 연대와 의겸(義謙)을 비롯, 여성(汝性), 행종(幸宗), 민희(敏熙), 말인(抹仁), 만연(萬演), 지원(智元), 범안(椘眼), 도현(道玄) 등 제작 화승을 명확히 알 수 있는 불화이다. 비단 바탕에 채색으로 석가여래가 영축산에서 설법하는 장면을 묘사하였는데, 가운데 석가여래는 크게 부각하고 그 외 도상들은 하단에서부터 상단으로 갈수..

문화재/국보 2024.12.28

보물 (제2274호) 포항 보경사 오층석탑

종 목보물 (제2274호)명 칭포항 보경사 오층석탑 (浦項 寶鏡寺 五層石塔)분 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수량/면적1기지 정 일2024.10.16소 재 지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보경로 523 (송라면, 보경사)시 대고려시대(1023년)소 유 자보경사 관 리 자보경사 국가유산설명​「포항 보경사 오층석탑(浦項 寶慶寺 五層石塔)」은 포항 보경사 경내 적광전 앞에 위치한 높이 약 4.6m 규모의 석탑으로 단층기단 위에 5층의 탑신석과 옥개석으로 탑신부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륜부는 노반석과 복발석으로 이루어져 있다.​석탑의 조성시기는 1588년 사명대사 유정이 지은 「내연산보경사금당탑기(內延山寶慶寺金堂塔記)」의 기록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고려 현종 14년(1023년) 사찰에 탑이 없어 청석(靑石)으로..

문화재/보물 2024.10.27

보물 (제2273호) 포항 분옥정

종 목보물 (제2273호)명 칭포항 분옥정 (浦項 噴玉亭)분 류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조경건축 / 누정수량/면적1동지 정 일2024.08.29소 재 지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계면 봉계리 735시 대조선시대(1820년)소 유 자경*** 관 리 자경*** 국가유산설명​「포항 분옥정」은 돈옹(遯翁) 김계영(金啓榮, 1660~1729)의 덕업을 기리기 위해 1820년(순조 20년)에 건립된 정자 건축이다.​분옥정은 정면 3칸의 누마루와 배면으로 직교한 온돌방 2칸을 배치한 ‘丁’자의 평면이다. ‘丁’자형 정자의 일반적인 특징은 ‘丁’자의 아랫부분에 큰 마루를 두고 위에 방을 배치하는데, 분옥정은 계류의 조망을 고려하여 ‘丁’자의 위쪽에 누마루를, 아래쪽에 방을 배치하고, 지붕은 진입부의 위계를 고려하여 온돌..

문화재/보물 2024.09.18

보물 (제2272호) 포항 용계정

종 목보물 (제2272호)명 칭포항 용계정 (浦項 龍溪亭)분 류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조경건축 / 누정수량/면적1동지 정 일2024.08.29소 재 지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북면 오덕리 180시 대조선시대(1696년)소 유 자여강이씨 문중관 리 자여강이씨 문중국가유산설명​「포항 용계정」은 2층의 누마루를 가진 정면 5칸, 측면 2칸의 ‘ㅡ’자형 팔작지붕 건물로, 농재(聾齋) 이언괄(李彦括, 1494∼1553)의 4대손인 사의당(四宜堂) 이강(李壃, 1621∼1688)이 착공하여, 그의 손자 이시중(李時中, 1667-1738)에 의하여 1696년(숙종 22년)에 완공될 당시에는 여강이씨 문중의 수양공간으로 활용된 정면3칸, 측면2칸의 정자건물이었다.​이후 1778년(정조 2년), 《사의당고적록(四宜堂考..

문화재/보물 2024.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