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대구유형문화재 98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8호) 대구 보현사 목조여래좌상

종 목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8호) 명 칭 대구 보현사 목조여래좌상 (大邱 普賢寺 木造如來坐像)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수량/면적 1구 지 정 일 2022.02.10 소 재 지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보현사 관 리 자 보현사 일반설명 대구 보현사 목조여래좌상은 안정적인 비례, 방형의 얼굴과 온화한 인상, 왼쪽 측면의 Ω형 옷주름 끝단, 복부의 편삼과 대의가 교차하며 각지게 접힌 편삼 주름 등이 돋보이는 불상이다. 이 불상의 제작과 관련된 기록은 없으나, 조선후기 대표적인 조각승 현진(玄眞)이 제작한 대구 동화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1629년, 보물), 대구 북지장사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문화재자료)의 여래좌상 얼굴, 아미타설법인의 수인, 옷 표현에 이르기..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7호) 현수제승법수

종 목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7호) 명 칭 현수제승법수 (賢首諸乘法數)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수량/면적 1권 1책 지 정 일 2022.02.10 소 재 지 대구광역시 달성군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향*** 관 리 자 향*** 일반설명 현수제승법수는 불경에 나오는 숫자가 들어 있는 용어를 가려 뽑아서 여러 교리나 개념을 정리 및 도식화하고 여기에 출처를 비롯한 해설을 첨부하여 이해하기 쉽게 정리한 일종의 불교용어 사전이다. 이 책은 행심(行深)이 명 태조의 명으로 1384년 당나라 현수(賢首, 643∼712)의 '제승법수'를 편집하여 편찬한 것으로 화엄교학을 연구하는 데에도 귀중한 자료이며 조선시대에 여러 종의 판본으로 유통되었다. 이 책은 임진왜란 전인 명종 21년(1566년)에..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6호) 해동명적

종 목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6호) 명 칭 해동명적 (海東名迹)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수량/면적 1책(79장) 지 정 일 2022.02.10 소 재 지 대구광역시 동구 시 대 조선시대(1516년(중종 11) 開板, 後代 翻刻修補 印出) 소 유 자 동구 관 리 자 동구 일반설명 해동명적은 창원부사 신공제(申公濟·1469~1536)가 신라부터 조선조 초기까지 역대 명필가 40명의 필적을 모아 전후집(前後集)으로 편차해, 중종 11년(1516) 처음 간행한 것이다. 최치원, 김생 등 우리나라 명필가 필적만을 수록한 필집서의 효시다. 다만 이 책은 판형이 일정하지 않고, 책의 특정 부분을 다른 종이로 보충해 고친 점, 일부 종이 질이 차이가 있는 점, 전후집의 2책이 1책으로 개장(改裝)된..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5호) 대구 동화사 내원암 칠성도

종 목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5호 명 칭 대구 동화사 내원암 칠성도 (大邱 桐華寺 內院庵 七星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 수량/면적 8폭 지 정 일 2021.02.01 소 재 지 대구광역시 동구 시 대 조선시대(1876년) 소 유 자 동화사 관 리 자 내원암 일반설명 내원암에 있는 '칠성도'는 치성광여래삼존도 1폭과 칠성여래를 각 폭에 나누어 그린 7폭 등 모두 8폭으로 이뤄진 그림이다. 1876년 내원암에 봉안하기 위해 제작된 것으로 인물 표현과 장식 등 묘사가 특히 돋보인다. 19세기 성행했던 칠성 및 염불신앙 연구에 중요한 작품으로 학술적 가치가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4호) 대구 동화사 내원암 목조보살좌상

종 목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4호 명 칭 대구 동화사 내원암 목조보살좌상 (大邱 桐華寺 內院庵 木造菩薩坐像)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수량/면적 1구 지 정 일 2021.02.01 소 재 지 대구광역시 동구 시 대 조선시대(17세기 전반) 소 유 자 동화사 관 리 자 내원암 일반설명 팔공산 동화사 내원암 '목조보살좌상(대구시 유형문화재 제94호)'은 상반신이 긴 신체비례에 장방형 얼굴, 당당한 어깨와 넓은 무릎의 균형미, 화려하고 정교한 보관 등이 돋보이는 불상이다. 제작 관련 기록은 없다. 다만 양식적 특성을 종합하면 17세기 전반기 대표적인 조각승 중 한 명인 청허(淸虛) 혹은 청허 계보의 조각승이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우수한 작품성과 함께 조선후기 불교 조각 연구에 도움이 ..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3호 지장보살본원경

종 목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3호 명 칭 지장보살본원경 (地藏菩薩本願經)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수량/면적 3권 1책 지 정 일 2021.02.01 소 재 지 대구광역시 달성군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장원사 관 리 자 장원사 일반설명 비슬산 장원사에 있는 '지장보살본원경'은 '지장경'이라고도 불리는 지장신앙의 기본경전이다. 조선 예종 1년(1469) 간행한 도성암(道成菴) 판본을 바탕으로 명종 17년(1562) 황해도 중암(中庵)에서 다시 새긴 판본이다. 황해도 중암에서 다시 새긴 판본은 이 책이 유일한 것으로 추정된다. 바탕이 된 판본이 왕실의 지원을 받았기에 본판의 장엄한 모습이 그대로 남아있다. 세종의 둘째딸인 정의공주가 죽은 남편 안맹담의 명복을 빌기 위해 새겼다.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2호) 대구 광덕사 신중도

종 목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2호 명 칭 대구 광덕사 신중도 (大邱 光德寺 神衆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기타 수량/면적 1폭 지 정 일 2020.02.10 소 재 지 대구광역시 달성군 시 대 조선시대(1812년) 소 유 자 광덕사 관 리 자 광덕사 일반설명 대구 광덕사 신중도’는 해외에 유출되었다가 경매를 통해 환수된 경우로 제작 기록(畵記)에 의하면 1812년(가경17) 11월에 순천부 영취산 흥국사 보현전에 봉안하였던 것이다.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전반 전라도에서 주로 활동한 불화승(佛畫僧) 도일(度鎰) 등이 조성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표현이 섬세하고 우수하며, 제작연대 및 제작에 참여한 화승, 봉안처가 분명히 밝혀져 있는 작품으로, 조선후기 18세기에서 19세기로 이어지..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1호)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

종 목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1호 명 칭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 (佛說長壽滅罪護諸童子陀羅尼經)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수량/면적 1책(35장) 지 정 일 2020.02.10 소 재 지 대구광역시 달성군 시 대 조선시대(세조후기~성종초기) 소 유 자 *** 관 리 자 *** 일반설명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은 현세의 죄업을 모두 소멸시키고 장수(長壽)의 법을 설법한 밀교 계통의 경전으로 흔히『장수경(長壽經)』이라고 하고, 주로 국가의 안녕과 국왕의 장수, 그리고 자신 선대의 극락왕생 및 가정의 화목을 기원할 목적으로 간행한 대표적 불경이다. 이 책은 권말제(卷末題)와 시주명단으로 보아 15세기 후반(세조∼성종초기)에 간행된 목판본이다. 표지는 없지만 보존상태도 매우 ..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0호)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2

종 목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0호 명 칭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2 (紺紙金泥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二十二)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전적류 / 전적류 수량/면적 1첩(10장) 지 정 일 2020.02.10 소 재 지 대구광역시 남구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김*** 관 리 자 김*** 일반설명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2’는 당나라의 실차난타(實叉難陀)가 번역한『화엄경』주본 80권 가운데 권22 승도솔천궁품(昇兜率天宮品)으로 세존이 도솔천궁으로 올라가는 과정을 기술한 것이다. 검푸른 색의 종이(紺紙)에 금가루(金泥)로 정성스럽게 옮겨 쓴 고려시대 사경(寫經)이다. 앞부분에는 변상도(變相圖)가 있고, 본문의 내용도 금가루로 정성껏 쓰여져 있다. 10개의 연화문으로 이루어진 표지화는..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89호 대구 남지장사 석조석가여래삼존좌상

종 목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89호 명 칭 대구 남지장사 석조석가여래삼존좌상 (大邱 南地藏寺 石造釋迦如來三尊坐像)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3구 지 정 일 2019.01.30 소 재 지 대구 달성군 가창면 남지장사길 95 남지장사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남지장사 관 리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