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강원문화재자료 154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81호) 정선 용탄리 석탑

종 목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81호) 명 칭 정선 용탄리 석탑 (旌善 龍灘里 石塔)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탑 수량/면적 1기 / 0.93㎡ 지 정 일 2023.03.03 소 재 지 걍원도 정선군 정선읍 용탄리 687-7 시 대 고려시대 소 유 자 경찰청 관 리 자 정선군 문화재설명 ​ 정선 용탄리 석탑은 고려시대 축조된 것으로 원래 정선읍 용탄리 사지에 있던 것을 현재 정선경찰서 용탄리 파견대 건물 앞으로 옮겨서 관리하고 있습니다. 석탑의 높이는 185cm이고, 본래는 3층 석탑이지만 지금은 2층까지만 보존되어 있고, 1층 탑신에는 좌불상이 조각되어 있습니다. 정선 용탄리 석탑이 역사적, 예술적,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강원도 문화재자료로 지정함.

삼척향교 석물 일괄(관수대, 하마비, 성생대, 망료석함)

종 목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80호) 명 칭 삼척향교 석물 일괄(관수대, 하마비, 성생대, 망료석함) 분 류 유물 / 기타종교조각 / 유교조각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2.08.19 소 재 지 강원도 삼척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삼척향교 관 리 자 삼척시 일반설명 삼척향교 석물 일괄(관수대, 하마비, 성생대, 망료석함) - 관수대 향교를 오르는 동쪽 계단 서쪽에 위치하며, 석전제 거행 시 제를 지내기 전 손을 씻는 행위를 하는 곳. - 하마비 당초 1439년(세종 21)에 세웠다고 하나, 현재의 하마비는 허목의 척주지의 기록에 근거하여 1656년(효종 7년)에 삼척 부사 이지온이 세운 것으로 추정됨. 모든 관리는 말에서 내리라는 뜻을 가진 '대소인원하마비(大小人員下馬碑)'가 새겨져 있음. ..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79호) 양양 휴휴암 소장 지장보살본원경

종 목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79호) 명 칭 양양 휴휴암 소장 지장보살본원경 (襄陽 休休庵 所藏 地藏菩薩本願經)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1.12.17 소 재 지 강원도 양양군 광진2길 3-16 (현남면, 휴휴암)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휴휴암 관 리 자 휴휴암 일반설명 지장경(地藏經)은 불교 지장신앙의 기본경전이다. 양양 휴휴암 소장의 지장보살본원경은 1558년(가정 37년) 황해도 석두사(石頭寺)에서 개판(開板)한 것으로, 조선시대 목판 판각의 추이를 살필 수 있는 불서(佛書)로 문화재로 지정하여 보존할 가치가 있다.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78호) 양양 휴휴암 소장 불설대보부모은중경

종 목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78호) 명 칭 양양 휴휴암 소장 불설대보부모은중경 (襄陽 休休庵 所藏 佛說大報父母恩重經)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1.12.17 소 재 지 강원도 양양군 광진2길 3-16 (현남면, 휴휴암)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휴휴암 관 리 자 휴휴암 일반설명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은 부모의 은혜에 보답할 것을 설한 불교경전으로 동아시아에 널리 보급되었다. 양양 휴휴암 소장본은 1630년에 시주한 필사 기록이 있어 이 시기 전에 간행된 여러 판본 중 하나로 추정된다. 이판본이 다수 전하여 희소성은 다소 낮으나, 조선시대 불교 경전의 간행과 회화를 살필 수 있는 자료로 가치가 있다.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77호) 양양 휴휴암 소장 개간비밀교

종 목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77호) 명 칭 양양 휴휴암 소장 개간비밀교 (襄陽 休休庵 所藏 開刊秘密敎)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1.12.17 소 재 지 강원도 양양군 광진2길 3-16 (현남면, 휴휴암)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휴휴암 관 리 자 휴휴암 일반설명 간행시기와 작자가 명시된 밀교의식집이다. 흔하지 않은 밀교계통의 개설서로 숭유억불 정책 하에서도 민간에서 밀교가 널리 퍼져있었음을 엿볼 수 있으며, 한글, 한문, 범문을 병기하여 조선후기 한글 연구에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76호) 강릉 보현사 부도군

종 목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76호 명 칭 강릉 보현사 부도군 (江陵 普賢寺 浮屠群)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기타 수량/면적 20기 / 208㎡ 지 정 일 2021.11.26 소 재 지 강원도 강릉시 보현길 396 (성산면, 보현사)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보현사 관 리 자 보현사 일반설명 한 줄에 10기씩 두 줄로 20기가 동-서축으로 건립되었다. 모두 조선후기의 종형부도 양식인데 1기만이 종형부도의 탑신에 우진각 형식의 지붕돌을 얹었다. 지대석은 연화문을 새긴 예도 있으나 대체로 넓적한 자연석을 1~3개의 원형선을 돌리고 그 중앙에 부도를 놓았다. [금석문] 글자는 마모가 심하고, 글자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아서 명확한 판독을 하기가 어렵다. 개천 쪽 부도열의 남측에서부터 주인공..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75호) 평창 오대산 중대 소종

종 목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75호 명 칭 평창 오대산 중대 소종 (平昌 五臺山 中臺 小鐘) 분 류 유물 / 불교의식 / 기타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0.08.21 소 재 지 강원도 평창군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오대산 중대 관 리 자 월정사 성보박물관 일반설명 ​ 범종은 사찰의 불전사물 중에 가장 대표적인 범음구로서, 시간을 알릴 때나 대중을 규합시키고 의식을 행할 때 사용되었다. 우리나라의 범종은 725년에 만들어진 평창 상원사 소장의 통일신라종이 가장 오랜 작품이며 이후에도 조선시대까지 꾸준히 제작된 가장 중요한 의식도구로 사용되었다. 한국의 종은 외형과 문양이 아름답고 소리가 웅장하여 한중일 삼국의 종 가운데 가장 뛰어나게 평가되고 있다. ​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범종의 대부분은 임란과..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73호 속초 보광사 현왕도

종 목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73호 명 칭 속초 보광사 현왕도 (束草 普光寺 現王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기타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18.10.26 소 재 지 강원도 속초시 동명동 579-2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보광사 관 리 자 보광사 일반설명 현왕도(現王圖)는 염라대왕의 미래불인 보현왕여래(普賢王如來)와 그 권속을 그린 명계불화(冥系佛畵)이다. 현왕은 망자의 천도를 위해 사후 3일째 되는 날에 지내는 성왕재(聖王齋)의 주인공이다. 현왕도는 명부전, 지장전 등의 명부 전각이 아니라 사찰의 주불전 좌우 영단에 거는데, 화면 구성에 지옥장면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보광사(普光寺) 현왕도는 여덟 폭의 병풍을 배경으로 의자에 앉은 보현왕여래와 그를 보좌하는 7분의 구성원들이 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