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보물 2574

보물 (제2221호) 강진 백련사 대웅보전

종 목 보물 (제2221호) 명 칭 강진 백련사 대웅보전 (康津 白蓮寺 大雄寶殿)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2023.06.26 소 재 지 전라남도 강진군 백련사길 145 (도암면, 백련사)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백련사 관 리 자 백련사 문화재설명 ​ 강진 백련사는 고려말 원묘국사 요세(1163∼1245)의 결사처로서 조선시대에도 많은 승려들이 수행했던 사찰이며, 주불전인 대웅보전은 1760년 화재 이후 중창 불사를 통해 1762년에 중수 건물이다. 강진 백련사 대웅보전의 문화재적 가치는 다음과 같다. ​ 첫째, 18세기 불전 건축의 장식화 경향을 대표하는 사례이다. 백련사 대웅보전의 공포는 외3출목 내4출목 형식이다. 제공의 외부는 초제공에서부터 3..

문화재/보물 2023.06.29

보물 (제2220호) 순천 동화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종 목 보물 (제2220호) 명 칭 순천 동화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順天 桐華寺 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수량/면적 불상 3구, 대좌 3점, 발원문 3점, 후령통 3점, 복장진언 1점 지 정 일 2023.06.20 소 재 지 전라남도 순천시 동화사길 208 (별량면, 동화사) 시 대 1657년(효종 8) 소 유 자 대한불교조계종 동화사 관 리 자 대한불교조계종 동화사 문화재설명 ​ ‘순천 동화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은 수조각승 계찬(戒贊)을 비롯해 인계(印戒), 영언(靈彦) 등 7명의 조각승들이 1657년(효종 8) 완성해 동화사 대웅전에 봉안한 삼불상이다. 세 불상의 복장에서 각각 발견된 조성발원문을 통해 조성연대, 제작자 등을 확인할 수 있는데 불상 조성에 있..

문화재/보물 2023.06.29

보물 (제2219호) 아미타여래구존도

종 목 보물 (제2219호) 명 칭 아미타여래구존도 (阿彌陀如來九尊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 수량/면적 1폭 지 정 일 2023.06.20 소 재 지 울산광역시 남구 두왕로 277 (신정동, 박물관) 울산박물관 시 대 1565년(명종 20) 소 유 자 울산광역시 관 리 자 울산박물관 문화재설명 ​ 울산박물관 소장 ‘아미타여래구존도’는 1565년(명종 20)이라는 제작연대가 정확한 조선 전기 불화로 화기에 조성연대, 화제, 시주질 등이 기록되어 있다. 조선 전기에 그려진 아미타여래구존도는 6점이 현존하는데, 국내에 있는 작품 중 유일하게 기년을 확실히 알 수 있는 채색 불화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삼베 바탕에 주존인 아미타여래를 중심으로 관음보살, 지장보살을 비롯한 팔대보살이..

문화재/보물 2023.06.29

보물 (제2218호) 근묵

종 목 보물 (제2218호) 명 칭 근묵 (槿墨)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필사본 / 사본류 수량/면적 총 35책(서첩 34책, 목록 1책) 지 정 일 2023.06.20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성균관로 25-2 (명륜3가, 성균관대학교박물관) 시 대 1943년 성첩(고려 말∼근대 필적 수록) 소 유 자 성균관대학교 관 리 자 성균관대학교 박물관 문화재설명 ​ 성균관대학교박물관 소장 ‘근묵’은 근대의 저명한 서예가이자 서화 감식가였던 오세창(吳世昌, 1864∼1953)이 1943년 80세의 나이에 성첩한 서첩으로, 가문의 8대에 걸친 수집품의 토대 위에 오세창의 감식안이 더해진 결과물이다. 정몽주(鄭夢周, 1337∼1392)에서 이도영(李道榮, 1884∼1933)에 이르기까지 약 600여 년에..

문화재/보물 2023.06.29

보물 (제2217호) 조선왕조 어보

종 목 보물 (제2217호) 명 칭 조선왕조 어보 (朝鮮王朝 御寶) 분 류 기록유산 / 서각류 수량/면적 어보 2과 지 정 일 2023.06.20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 (안암동5가, 고려대학교안암캠퍼스) 고려대학교박물관 시 대 1420년, 1676년 소 유 자 고려대학교 관 리 자 고려대학교박물관 문화재설명 ​ ‘조선왕조 어보・어책・교명’은 조선이 건국한 1392년부터 대한제국을 선포한 1897년 이후 일제에 강제로 병합된 1910년까지 왕비・왕세자・왕세자빈 등을 책봉하거나 국왕・왕비・상왕(上王)・왕대비・대왕대비 등에게 존호(尊號), 시호(諡號), 묘호(廟號), 휘호(徽號) 등을 올릴 때 그 호칭을 새겨 수여하는 의례용 인장과 의례용 책문을 말한다. 어보(御寶)란 국왕・왕세자・왕세제..

문화재/보물 2023.06.29

보물 (제2215호) 조선왕조 어보・어책・교명

종 목 보물 (제2215호) 명 칭 조선왕조 어보・어책・교명 (朝鮮王朝 御寶・御冊・敎命) 분 류 기록유산 / 서각류 수량/면적 어보312과 어책288첩 교명28축 지 정 일 2023.06.20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로 12 (세종로, 국립고궁박물관) 시 대 1420년~1910년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 문화재설명 ​ ‘조선왕조 어보・어책・교명’은 조선이 건국한 1392년부터 대한제국을 선포한 1897년 이후 일제에 강제로 병합된 1910년까지 왕비・왕세자・왕세자빈 등을 책봉하거나 국왕・왕비・상왕(上王)・왕대비・대왕대비 등에게 존호(尊號), 시호(諡號), 묘호(廟號), 휘호(徽號) 등을 올릴 때 그 호칭을 새겨 수여하는 의례용 인장과 의례용 책문을 말한다. 어보(御寶)란..

문화재/보물 2023.06.29

보물 (제2214호) 이항복 해서 천자문

종 목 보물 (제2214호) 명 칭 이항복 해서 천자문 (李恒福 楷書 千字文)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필사본 / 기타류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3.04.28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 대 조선시대(1607년)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재설명 ‘이항복 해서 천자문’은 1607년(선조 40) 이항복(1556∼1618)이 52세의 나이에 장남 이성남(李星男, 1578∼1642)의 장자로 여섯 살이었던 손자 이시중(李時中, 1602∼1657)의 교육을 위해 직접 써서 내려준 천자문이다. 천자문은 중국 양나라 주흥사(周興嗣)가 지은 책으로 우리 나라에 언제 전래하였는지 정확한 기록은 없으나 음(音)과 훈(訓)을 달아 한자를 배..

문화재/보물 2023.04.30

보물 (제2213호) 수능엄경의해 권 9∼15

종 목 보물 (제2213호) 명 칭 수능엄경의해 권9∼15 (首楞嚴經義海 卷9∼15)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간경도감본 수량/면적 7권 1책 지 정 일 2023.04.28 소 재 지 부산광역시 금정구 동부곡로 50 (부곡동, 401호) 시 대 고려 후기(14세기) 소 유 자 허*** 관 리 자 허*** 문화재설명 ‘수능엄경의해 권9∼15’는 중국 당나라 때 인도 승려 반라밀제(般剌密諦: 極量)가 중국으로 전래하여 한역한『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10권을 중국 남송의 함휘(咸輝, ∼)가 30권으로 엮은 주해서 중 권9∼15에 해당하는 경전이다. ‘수능엄경의해 권9∼15’에 수록된 내용은 ?능엄경? 전체 10권 중에서 권3∼5에 나타나는 ..

문화재/보물 2023.04.30

보물 (제2212호) 안성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

종 목 보물 (제2212호) 명 칭 안성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 (安城 靑龍寺 金銅觀音菩薩坐像)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금속조 / 보살상 수량/면적 1구 지 정 일 2023.04.28 소 재 지 경기도 안성시 청룡길 140 (서운면, 대한불교조계종 청룡사) 시 대 고려 후기(14세기) 소 유 자 대한불교조계종 청룡사 관 리 자 대한불교조계종 청룡사 문화재설명 ‘안성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은 고려 후기(14세기)에 제작된 보살상으로, 머리에 화려한 보관을 쓰고 통견을 입었으며 대좌 위에 결가부좌하고 있다. 보관과 대좌는 원래의 것이 아니라 후대에 새로 만든 것이며, 오른손은 들고 왼손은 내려 각각 검지와 중지를 맞댄 설법인(說法印)의 수인(手印)을 하고 있다. 이 보살좌상은 갸름한 얼굴에 복스럽게 ..

문화재/보물 2023.04.30

보물 (제2211호) 독서당계회도

종 목 보물 (제2211호) 명 칭 독서당계회도 (讀書堂契會圖) 분 류 유물 / 일반회화 / 기록화 / 계회도 수량/면적 1폭 지 정 일 2023.04.28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로 12 (세종로, 국립고궁박물관) 시 대 조선시대(1531년 경)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 문화재설명 ‘독서당계회도’는 조선 중종대인 1516년부터 1530년까지 독서당에서 사가독서를 했던 현직 관료들의 모임을 기념하여 그린 작품이다. 사가독서는 젊고 유능한 문신을 선발해 휴가를 주어 공무 대신 학문에 전념하도록 했던 인재양성책으로 세종 때 처음 시행되었고 존폐를 거듭하다 중종에 의해 재개되었다. 계회(契會)는 하단 좌목(座目)에 언급된 인물들의 관직을『조선왕조실록』및 각종 문집에서 확인 결..

문화재/보물 2023.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