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전북유형문화재 303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304호) 남원 선화사 묘법연화경

종 목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304호) 명 칭 남원 선화사 묘법연화경 (南原 善和寺 妙法蓮華經)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수량/면적 1책1권 지 정 일 2023.01.06 소 재 지 전라북도 남원시 인월면 인월중군길 274-45 시 대 조선시대 (1436년) 소 유 자 선화사 관 리 자 선화사 문화재설명 남원 선화사 묘법연화경은 부처가 되는 길이 누구에게나 열려 있다는 것을 기본 사상으로 담고 있는 우리나라 대승불교의 대표 경전으로, 줄여서 ‘법화경’이라고도 한다. ​ ‘묘법연화경’은 우리나라에서 유통된 불교경전 가운데 가장 많이 간행된 경전으로 고려본을 포함해 조선본이 다양한 방식으로 여러 번에 걸쳐 간행되어 왔다. ​ 남원 선화사 소장본 묘법연화경의 권수제와 권차는 ‘妙法蓮華..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303호) 남원 불정사 범망경노사나불설심지법문품보살계본

종 목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303호) 명 칭 남원 불정사 범망경노사나불설심지법문품보살계본(南原佛貞寺梵綱經盧舍那佛說心地法門品菩薩戒本)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수량/면적 1책1권 지 정 일 2022.11.18 소 재 지 전라북도 남원시 수지면 산정리 시 대 조선시대(1569년) 소 유 자 불정사 관 리 자 불정사 문화재설명 이 경전은 대숭불교 교단의 기본적인 계율서로, 석가모니불이 노사나불의 불국토인 연화장세계의 광명궁에 앉아서 십주, 십행, 심지법문 등을 차례로 설한다는 내용과(상권), 대승의 보살이 지켜야하는 48가지의 계율인 범망계가 실려 있음(하권). 우리나라에서는 신라시대 이래로 중요시되어 한국불교 승단의 조직 및 유지에 영향을 끼침. 남원 불정사 소장본은 고려 후기에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302호) 남원 기지입암향약

종 목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302호) 명 칭 남원 기지입암향약 (南原 機池笠巖鄕約) 분 류 기록유산 / 문서류 / 민간문서 / 기타류 수량/면적 6권 지 정 일 2022.11.18 소 재 지 전라북도 남원시 금지면 입암리 시 대 조선시대(1795~1883) 소 유 자 입암리 새마을회 관 리 자 입암리 새마을회 ​ 문화재설명 ​ 조선시대 남원에는 45개의 방(坊)이 있으며 이중 기지방과 금암방은 지금의 금지면 지역이다. 입암마을 향약 자료는 1795년부터 1883년까지 시행된 향촌사회의 재정, 질서 등의 내용을 담고 있음. 기지입암향약안, 기지입암리계헌, 서암계안, 목청조목안, 입암사실, 기지방입암촌향약안 등 6책으로 구성되며 필사본임. 보관상태는 양호한 편이나, 일부 훼손되거나 결락된 책이 있음.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301호) 전주 완산희현당사적비

종 목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301호) 명 칭 전주 완산희현당사적비 (全州 完山希顯堂事蹟碑) 분 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 역사사건 수량/면적 2기/13.5㎡ 지 정 일 2022.11.18 소 재 지 전라북도 전주시 시 대 조선시대(1707년, 1743년) 소 유 자 전주시 관 리 자 전주시 ​ 문화재설명 ​ 완산희현당사적비(完山希顯堂事蹟碑)는 1700년 전라감사 김시걸이 직접 세운 교육기관인 희현당은 한강 이남에서 가장 먼저 건립된 영학(營學)으로, 이곳에서는 매년 53개의 고을의 수령으로부터 추천받은 우수한 유생 중 최종 30명을 선발해 양성했다.​ 현재 희현당은 사라지고, 그 터인 전북 전주신흥학교 교정에 2개(사적비와 중수사적비)의 비석으로 구성된 전주 완산희현당사적비만 남아있다. 이 비석에..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300호) 김제 월명암 대혜보각선사서

종 목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300호) 명 칭 김제 월명암 대혜보각선사서 (金堤 月明庵 大慧普覺禪師書)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2.09.16 소 재 지 전라북도 김제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김제 월명암 관 리 자 김제 월명암 문화재설명 대혜보각선사서는 송나라 대혜종고(大慧宗杲, 1089∼1163)가 간화선법을 물어온 42인에게 사악한 견해를 깨뜨리고 정법의 눈을 열어주기 위해서 보낸 62편의 편지글을 후학이 편찬하여 1166년에 항주의 묘희암에서 처음 간행한 선종 불서로 고려시대 보조국사 지눌(1158~1210)이 수행의 지침서로 삼으면서 널리 보급되었다. 본 책은 간기(刊記)인‘嘉靖二十午年六月日鶴鳳山石頭寺刊施’에 의하면 1546년(명종 1..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99호) 익산 성불사 목우자수심결(언해)

종 목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99호) 명 칭 익산 성불사 목우자수심결(언해) (益山 聖佛寺 牧牛子修心訣(諺解))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2.09.16 소 재 지 전라북도 익산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성불사 관 리 자 성불사 문화재설명 목우자수심결은 고려 승려 보조국사 지눌(知訥, 1158∼1210)이 선종과 교종의 대립을 막고 인간의 참다운 모습을 밝히고자 저술한 것을 조선시대 세조가 경복궁 사정전의 비현합(丕顯閤)에서 구결(口訣)하고 승려 신미(信眉 1403∼1480)가 언해한 불서이다. 본 책의 간기(刊記)인 ‘隆慶元年六月全羅道淳昌地鷲菴開刊’에 의하면 1567년(선조 1)에 전북 순창의 취암에서 간행한 목판본이다. 1책(46장)으로 한..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98호) 익산 성불사 육경합부

종 목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98호) 명 칭 익산 성불사 육경합부 (益山 聖佛寺 六經合部)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2.09.16 소 재 지 전라북도 익산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성불사 관 리 자 성불사 문화재설명 육경합부는 조선조 초기에 널리 읽혔던 「金剛般若波羅密經」외 5가지의 경전을 모아 1책으로 편집한 불서(佛書)이다. 1424년(세종 6)에 전북 고산의 대둔산 안심사에서 간행된 판본이 가장 오래되었으며 20여종 이상이 알려져 있다. 본 책은 간기(刊記)인 ‘弘治元年戊申四月日全羅道高山地花岩寺開板’에 의하면 1488년(성종 19)에 전북 고산의 화암사에서 간행한 목판본이다. 6권 1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장수(張數)는 97장이고 일부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97호) 고창 선운사 도솔암 독성도

종 목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97호) 명 칭 고창 선운사 도솔암 독성도 (高敞 禪雲寺 兜率庵 獨聖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나한조사도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2.07.29 소 재 지 전라북도 고창군 시 대 1896년 소 유 자 선운사 도솔암 관 리 자 선운사 도솔암 문화재설명 도솔암 극락보전에 봉안되어 있는 독성도(獨聖圖)는 조성 기록인 화기(畵記)에 따르면 1896년 화승(畵僧) 봉화(奉華)가 조성했음을 알 수 있다. 탱화의 크기는 전체 가로 65.7㎝, 세로 118.5㎝(화면 59.2×109.3)로 면(綿)에 채색을 하였으며 나무 액자형으로 장황되어 있다. 독성은 홀로 깨달음을 얻은 성자라는 의미이며, 화면에 독성의 머리에는 광배를 두었으며, 산을 배경으로 소나무 아래 긴..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96호) 고창 선운사 도솔암 현왕도

종 목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96호) 명 칭 고창 선운사 도솔암 현왕도 (高敞 禪雲寺 兜率庵 現王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보살도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2.07.29 소 재 지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618 시 대 1896년 소 유 자 선운사 도솔암 관 리 자 선운사 도솔암 문화재설명 도솔암 극락보전에 봉안되어 있는 현왕도(現王圖)는 조성 기록인 화기(畵記)에 따르면 1896년 화승(畵僧) 봉화(奉華)가 수화승으로, 소현(所賢)과 긍엽(亘燁) 등 3명이 제작하여 도솔암 본방에 봉안했음을 알 수 있다. 탱화의 크기는 전체 가로91.7㎝, 세로 111.3㎝(화면 85.2×103.0)로 면(綿)에 채색을 하였으며 나무 액자형으로 장황되어 있다. 불화 전반에 그을음, 촛농자..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95호) 전주 불정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복장유물

종 목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95호) 명 칭 전주 불정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복장유물 (全州 佛頂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과 腹藏遺物)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수량/면적 불상1구, 복장유물1괄 지 정 일 2022.07.29 소 재 지 전라북도 전주시 시 대 1604년 소 유 자 불정사 관 리 자 불정사 문화재설명 전주 불정사에 있는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높이 36.5의 비교적 작은 규모의 불상이다. 이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갸름하고 둥근 얼굴에 부은 듯한 눈과 위엄있는 얼굴 표정 그리고 길쭉한 신체와 넓고 낮은 무릎의 비례, 수직과 수평으로 통일한 옷주름 등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조선후기 16세기말에서부터 17세기 초기에 해당하는 여래좌상에 보이는 시기적 특징이다. 이 목조아미타여래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