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울산유형문화재 42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2호) 성불선원 제석천도

종 목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2호) 명 칭 성불선원 제석천도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기타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2.12.15 소 재 지 울산광역시 북구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성불선원 관 리 자 성불선원 문화재설명 ​ 는 세로 112cm, 가로55.8cm 정도 되는 비단 바탕에 그려졌다. 약 38cm의 비단 한 폭을 화면 중간에서 세로로 잇고, 양옆에 약 9cm 가량의 비단을 연결하여 바탕천을 만들었다. ​ 전체적인 화면구성은 중앙에 의자에 앉아 연꽃줄기를 들고 있는 제석천을 크게 부각시키고, 앞에는 좌우에 공양물이 든 쟁반을 들고 있는 보살형 천녀 2명과 그 옆에 일월관을 쓰고 홀을 든 제왕형 천자 2위가 시립했다. 화면 상부 제석천의 좌우에는 번을 들고 있는 천녀 4..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1호) 덕원사 석가설법도

종 목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1호) 명 칭 덕원사 석가설법도 (德原寺 釋迦說法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2.01.13 소 재 지 울산광역시 중구 성동길 129-10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덕원사 관 리 자 덕원사 일반설명 덕원사 석가설법도는 조선 후기인 1821~1830년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가로 80.3㎝, 세로 82㎝ 크기의 작품이다. 덕원사 석가설법도는 화면의 사방 테두리 부분이 잘려 새로 장황해 액자로 표구한 상태다. 작품에는 비단 바탕에 붉은색을 칠한 뒤 황색선으로 윤곽선이 그려져 있으며, 안료의 전반적인 변색으로 화면이 전체적으로 어두운 상태이고 세로 절흔이 많은 편이다. 화면 구도는 석가여래를 중심으로 보살과 제자를 좌우대칭으..

ㅁ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0호)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2~5

종 목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0호) 명 칭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2~5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卷二-五)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1.06.24 소 재 지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대복리(오봉사)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오봉사 관 리 자 오봉사 문화재설명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은 선(禪)을 닦아 온갖 번뇌로부터 해탈의 경지에 이르는 요의(要義)를 설한 경전이다. 흔히 『수능엄경(首楞嚴經)』, 『능엄경(楞嚴經)』이라 칭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소화엄경(小華嚴經)이라고 불릴 만큼 높이 숭상되던 경전이기도 하다. 당(唐)나라의 반자밀제(般剌蜜帝)가 번역하고..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9호 신흥사 석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및 복장물 일괄

종 목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9호 명 칭 신흥사 석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및 복장물 일괄 (新興寺 石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 및 腹藏物 一括)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량/면적 불상 3구 / 복장물 일괄 지 정 일 2019.01.10 소 재 지 울산광역시 북구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신흥..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8호 간월사지 남‧북 삼층석탑

종 목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8호 명 칭간월사지 남‧북 삼층석탑 (澗月寺址 南‧北 三層石塔) 분 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수량/면적 2기 지 정 일 2019.01.10 소 재 지울산광역시 울주군 알프스온천4길 15 (상북면) 시 대통일신라 소 유 자 울산광역시 관 리 자 울산광역시 문 의..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6호 신흥사 구 대웅전 단청반자

종 목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6호 명 칭 신흥사 구 대웅전 단청반자 (新興寺 舊 大雄殿 丹靑班子)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사찰 수량/면적 내부 단청 일괄 1점 지 정 일 2017.01.19 소 재 지 울산광역시 북구 대안4길 280 (대안동, 신흥사)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신흥사 관 리 자 신흥사 문 의 처 울산광역시 북구 문화홍보과 052-219-7553 일반설명 신흥사 구 대웅전 내부 고단청은 18세기 중반(약 250년 전)에 채화된 작품으로 확인되어 건축채색화문화재로서 역사적인 보존가치가 풍부하다. 단청의 문양구성에 있어서 창의성과 독창성이 있으며, 특히 천정 반자에 채화된 문채(文彩)의 구성과 조형미는 한국건축채색화에서 희소성이 풍부한 예술적 가치를 보여준다. 어간 중앙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