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경기유형문화재 383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96호) 파주 보광사 대웅보전 감로도

종 목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96호) 명 칭 파주 보광사 대웅보전 감로도 (坡州 普光寺 大雄寶殿 甘露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2.11.11 소 재 지 경기도 파주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보광사 관 리 자 보광사 ​문화재설명 ​ ‘감로도’는 죽은 이의 영혼을 극락세계로 보내는 영가천도의식을 그린 불화로 영혼들이 고통을 받는 장면부터 사람들의 다채로운 생활들을 한곳에 담아내며 19세기 말 서울과 경기지역의 시대양식을 반영했다. ​ 이들 불화는 1898년 귀인 엄씨와 상궁들의 후원으로 이뤄진 보광사 대웅보전의 중수 시에 조성된 불화로 화기가 잘 남아 있어 제작 시기와 제작자, 봉안처 등을 명확하게 알 수 있어 가치가 높다.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95호) 파주 보광사 대웅보전 치성광여래회도

종 목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95호) 명 칭 파주 보광사 대웅보전 치성광여래회도 (坡州 普光寺 大雄寶殿 熾盛光如來會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2.11.11 소 재 지 경기도 파주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보광사 관 리 자 보광사 ​ 문화재설명 ​ ‘치성광여래회도’는 북극성을 여래화한 치성광여래(熾盛光如來)와 북두칠성을 상징하는 일곱 부처를 그린 불화로 당시 화승들의 모습 등을 시각적으로 처리하며 시대적인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94호) 파주 보광사 대웅보전 현왕도

종 목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94호) 명 칭 파주 보광사 대웅보전 현왕도 (坡州 普光寺 大雄寶殿 現王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2.11.11 소 재 지 경기도 파주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보광사 관 리 자 보광사 ​ 문화재설명 ​ ‘현왕도’는 명부회주(冥府會主)인 현왕(現王)이 여러 권속을 거느리고 망자를 심판하는 모습을 그린 불화로 기존의 권위를 벗어난 표현과 과감한 사선구도를 그리는 등 독창성이 돋보이는 학술적인 작품이다.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93호) 용인 백령사 석조여래좌상

종 목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93호) 명 칭 용인 백령사 석조여래좌상 (龍仁 百寜寺 石造如來坐像)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1구 지 정 일 2022.11.11 소 재 지 경기도 용인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백령사 관 리 자 백령사 ​문화재설명 ​ 용인 백령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이 석조여래좌상은 경주지역에서 채석되는 석재인 불석(zeolite 혹은 옥석)으로 제작된 소형 불상이다. ​ 백령사 석조여래좌상은 각선이 분명하고 옷주름 처리의 특징을 명확하게 드러내는 등 양식적 특징으로 보아 18~19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 경주 불석으로 제작된 불상은 경상도 내륙지역의 가까운 사찰과 배로 이동하기 쉬운 충청도, 전라도 인근 사찰에 봉안되는데, 이 백령사 석조여래좌상..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92호) 남양주 견성암 현왕도

종 목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92호) 명 칭 남양주 견성암 현왕도 (南楊州 見聖菴 現王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2.08.23 소 재 지 경기도 남양주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견성암 관 리 자 견성암 문화재설명 견성암 대웅전 내 서쪽 벽면에 봉안된 는 1882년 견상암 중수 때에 일괄 조성된 불화 중 하나로서, 불화승 혜고봉간과 금화기형이 조성하였다. 수화승인 봉간은 19세기 후반에 서울,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였는데, 활동 초기에 서울, 경기지역의 불화승 경선응석(慶船應碩)과 화산재근(華山在根) 등의 영향을 받았다. 특히 에서 병풍을 배경으로 의자에 앉아 있는 현왕을 중심으로 여러 권속이 둘러싼 구성, 현왕이 앉은 의자 가장자리의 용두(龍..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91호) 남양주 견성암 영산회상도

종 목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91호) 명 칭 남양주 견성암 영산회상도 (南楊州 見聖菴 靈山會上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2.08.23 소 재 지 경기도 남양주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견성암 관 리 자 견성암 문화재설명 남양주 견성암 대웅전에 봉안 되어 있는 〈남양주 견성암 영산회상도> 는 불화의 조성 기록인 화기(畫記)가 온전히 남아 있어 1882년이라는 제작 연대, 봉안처, 제작 화승 등을 명확히 알 수 있고 당시 불사(佛事)에 관여한 연화질의 명단과 시주자의 이름까지 온전히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조선 제24대 국왕인 헌종(憲宗, 1827~1849)의 후궁이었던 경빈김씨(敬嬪金氏, 1831~1907)와 그녀의 동생인 김문현(金文鉉) 부부가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90호) 고양 원각사 관음보살도

종 목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90호) 명 칭 고양 원각사 관음보살도 (高陽 圓覺寺 觀音菩薩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2.08.23 소 재 지 경기도 고양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원각사 관 리 자 고양시 문화재설명 ‘고양 원각사 관음보살도’는 해인사 출신의 화승(畵僧)으로 19세기 후반 경상도에서 주로 활동하며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는 수룡당 기전의 작품이다. 다라니(석가의 가르침을 담은 주문)를 불화의 도상으로 적극 활용하는 창의적인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범자 다라니는 제작을 마무리하면서 화면 뒤에 기록한다는 기존의 통념을 깨고 불화 앞면에도 적극적으로 기재해 그림과 별개로 느껴지지 않도록 조화롭게 융합됐다는 점에서 작품성..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89호) 윤씨 자기록

종 목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89호) 명 칭 윤씨 자기록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필사본/ 기타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2.08.23 소 재 지 경기도 화성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화성시 역사박물관 관 리 자 화성시 문화재설명 윤씨 자기록은 1834년에 태어나 17세에 혼인했으나 24세에 남편을 여의고 평생 수절하며 살아간 해평 윤씨의 회고록이다. 회고록은 어린 시절, 결혼, 남편의 투병과 요절, 죽지 않고 살아야 하는 이유 등 4개 부분을 한글로 기록했다. 조선 후기 여성의 글쓰기를 기피하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여성의 목소리로 자신의 인생을 회고했으며, 현존하는 여성의 ‘자기록’이 매우 드문 상태에서 전근대 여성의 삶과 의식을 심층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특히 여성의 회고록이 동아..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88호) 영조 어필 및 홍이원 어전제진시권

종 목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88호) 명 칭 영조 어필 및 홍이원 어전제진시권 (英祖 御筆 및 洪履元 御前製進詩卷) 분 류 유물 / 수량/면적 1종 22점 지 정 일 2022.08.23 소 재 지 경기도 화성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화성시 관 리 자 화성시 문화재설명 영조 어필 및 홍이원 어전제진시권’은 1768년 7월 24일에 영조가 80세, 81세, 89세에 해당하는 노인을 경희궁 숭정전에 불러 모아 위로하면서 직접 ‘유회(諭懷)’라고 써서 하사한 어필 1장, 이때 81세의 사대부 노인인 홍이원이 어전에서 지은 시 1장, 홍이원의 어전시에 대해 친지들이 화운(타인 시의 운자를 써서 화답)한 시와 서문 20수를 모은 자료다. 시문을 통해 국왕의 은택이 민간에 전달되는 과정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는..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87호) 우하영 응지상소에 대한 정조 비답

종 목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87호) 명 칭 우하영 응지상소에 대한 정조 비답 (禹夏永 應旨上疏에 대한 正祖 批答) 분 류 유물 /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2.08.23 소 재 지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행정동로 96 (화성시역사박물관)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화성시 역사박물관 관 리 자 화성시 문화재설명 ‘우하영 응지상소에 대한 정조 비답’은 500여자 분량의 6m가 넘는 최대 규모의 정조 친필이다. 정조의 전형적인 필체 중에서도 유려하고 기상이 두드러지는 작품이다. 1796년 3월 하늘에 하얀 무지개가 해를 꿰뚫는 현상에 대해 정조가 신하와 백성들에게 의견을 구하자 당시 학자였던 우하영이 방책을 13개 조목으로 수록해 상소를 올렸고, 이에 정조가 직접 자세한 비답을 어필로 써서 하사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