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서울유형문화재 598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92호) 장세호 유서

종 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92호) 명 칭 장세호 유서 (張世豪 諭書) 분 류 기록유산 / 문서류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1.06.10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중랑구 숙선옹주로 69 (묵동, 무진법장사) 시 대 조선 중종 35년(1540) 소 유 자 무진법장사 관 리 자 무진법장사 일반설명 유서(諭書)는 왕명으로 발급된 문서로서 관찰사나 절도사 등 왕이 중책을 맡긴 관원에게 내린 것이다. 현재까지 확인된 유서 원본은 약 200점 미만이고, 그 가운데 임진왜란 이전에 발급된 것은 10점 미만이다. 임진왜란 이전의 유서 가운데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된 사례가 몇 건 있지만, 해당 문서는 모두 소장처의 여타 자료들과 함께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은 것이다. 법장사 소장 장세호 유서는 이 자료만 홀로..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90호) 대동여지도

종 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90호) 명 칭 대동여지도 (大東輿地圖)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수량/면적 22첩 지 정 일 2021.06.10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중구 시 대 조선 고종 원년(1864) 소 유 자 재*** 관 리 자 재*** 일반설명 김정호가 남긴 3대 전국지도인 청구도.동여도.대동여지도 중의 하나이다. 김정호는 청구도를 4차에 걸쳐 수정 보완하였고, 동여도를 2차에 걸쳐 제작하였으며, 대동여지도도 필사본과 목판본이 있는데, 목판본은 신유본(1861)과 갑자본(1864)의 두 종류가 있다. 신유본은 비교적 많이 남아 있는데 갑자본은 알려진 것이 소수이다. 따라서 서울시 유형문화재로 지정하여 보존할만한 가치가 있다. 대동여지도는 각 층의 도엽(圖葉)을 연폭(連幅)으로 동에서 서..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89호) 불조삼경

종 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89호) 명 칭 불조삼경 (佛祖三經)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1.06.10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중랑구 숙선옹주로 69 (묵동, 무진법장사) 시 대 조선 중종 36년(1541) 소 유 자 무진법장사 관 리 자 무진법장사 일반설명 《불조삼경》은 원나라의 고승인 몽산 덕이(德異)가 불교의 교주인 석가가 설법한 과 부처가 열반에 들어가기 직전에 최후로 설법한 , 그리고 중국 선종의 일파인 위앙종의 개창조로 알려진 위산 영우의 어록인 을 선정하여 합집한 것이다. 이를 몽산은 통칭‘佛祖三經’으로 이름하였다. 몽산이 편찬한 이 책이 고려에 전래된 이래 우리나라에 널리 유통되고 있는데, 현재는 우리나라에만 유전(遺傳)되어 있는..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88호) 배자예부운략

종 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88호 명 칭 배자예부운략 (排字禮部韻略)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1.06.10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중랑구 숙선옹주로 69 (묵동, 무진법장사) 시 대 조선 효종 9년(1658) 소 유 자 무진법장사 관 리 자 무진법장사 일반설명 『배자예부운략(排字禮部韻略)』은 중국 송나라의 정도(丁度) 등이 1037년에 칙명으로 편찬한 것을 바탕으로 조선에서 간행한 책이다. 고려시대에 중국에서 전래된 이후 후대에 만들어진 다른 운서의 체제와 내용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으며, 그 중요성으로 인해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여러 차례 목판과 활자로 간행되었다. 조선에서 간행된 초기간본은 매우 드물게 남아있으며, 법장사 소장 배자예부운략은 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87호) 황명이학명신언행록

종 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87호) 명 칭 황명이학명신언행록 (皇明理學名臣言行錄)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1.06.10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중랑구 숙선옹주로 69 (묵동, 무진법장사) 시 대 조선 명조 17년(1562) 소 유 자 무진법장사 관 리 자 무진법장사 일반설명 『황명이학명신언행록(皇明理學名臣言行錄)』은 명대 관료학자인 양렴의 저술로 조선에 유입되어 읽혀진 책이다. 특히 『황명명신언행록(皇明名臣言行錄)』과 더불어 16세기 조선 유학의 도통(道統) 정립과정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책으로 사상사적인 측면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책이며, 조선에서 간행된 초기간본은 매우 드물게 남아있다. 법장사 소장 황명이학명신언행록은 1562..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86호) 나옹화상행장

종 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86호) 명 칭 나옹화상행장 (懶翁和尙行狀)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1.03.11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시 대 1534년 소 유 자 종로도서관 관 리 자 종로도서관 일반설명 무학대사의 스승인 나옹화상은 고려말 태고 보우(普愚)와 함께 조선시대 불교의 초석을 세운 고승으로 평가받고 있다. 나옹화상의「행장」과「어록」,「가송」은 그의 행적과 사상을 연구하 는데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기록이며, 이색(李穡)이 글을 지어 세운 비와 부도 등 현전하는 유적 과 연관지어 살펴보고 연구해야 할 내용이 많은 자료이기도 하다. 조사대상 자료는 고려말에 간행 된 책을 바탕으로 1534년 진산 서대사에서 다시 판각하여 인쇄한 책으로 초기 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85호) 십우도송

종 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85호) 명 칭 십우도송 (十牛圖頌)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1.03.11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시 대 1509(중종 4)년 소 유 자 종로도서관 관 리 자 종로도서관 일반설명 겉표지에 『심우도(尋牛圖)』라 표제를 붙인 이 책은 곽암화상(廓庵和尙)의 십우도송(十牛圖 頌)과 청량화상(淸涼和尙)의 십현담주(十玄談註)를 합본하여 인쇄한 것이다(同安察十玄談淸涼和 尙註). 이 책은 곽암의 십우도송이다. 곽암은 송대 임제종 승려로 법명은 사원(師遠)이며 정주(鼎州) 양산(梁山)에 상주했다고 한다. 이 십우도는 각 단계마다 서(序)ㆍ송(頌)ㆍ화(和)ㆍ우(又)의 4종 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원(慈遠)이 지은 서, 삽화와 곽암의 게송..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84호) 남명천화상송증도가

종 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84호) 명 칭 남명천화상송증도가 (南明泉和尙頌證道歌)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수량/면적 1책(34장) 지 정 일 2021.03.11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시 대 1526(중종 21)년 소 유 자 종로도서관 관 리 자 종로도서관 일반설명 는 현각의 증도가에 송나라 남명화상 법천(法泉) 선사가 각 구절마다 게 송을 붙여 깨달음의 진면목을 설파한 책으로 저자의 표기도 “法泉頌”이라고 되어 있다. 남명이 게송한『증도가』는 영가대사의 게송 1구에 대해 내용을 해설하듯 3구씩 게송을 읊은 것으로 319편의 절구이고 본문은 8,659자로 구성되어 있다. 근래 고려 금속활자 증도가자가 발견되어 세간의 주목을 받았는데, 향후 이 자료는 증도가자의 진위 문제를 고증..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83호) 청동은입사향완

종 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83호) 명 칭 청동은입사향완 (靑銅銀入絲香垸) 분 류 유물 / 생활공예 / 금속공예 수량/면적 1건 1점 지 정 일 2021.03.11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송파구 시 대 고려시대 소 유 자 서울 공예박물관 관 리 자 서울 공예박물관 문화재설명 ​ 사찰의 불단에 놓이던 향로의 일종이다. 14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등과 그 형태와 문양 구성 등이 유사하다. 몸체 네 부분에 란자체로 된 범자(梵字) 네 글자를 각각 두 줄의 원 안에 면입사(面入絲)하고, 그 나머지는 모두 연꽃넝쿨 무늬로 장식했다. 입술 테두리에는 번개 무늬(雷文)를 두르고, 그 안쪽에 넝쿨 무늬를 표현하였다. 받참대 전체를 용(龍)이 둘러싸고 있는데, 고려 후기 이후 용은 불..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82호) 봉원사 도량장엄용 불화(칠여래도‧사보살도‧팔금강도)

종 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82호) 명 칭 봉원사 도량장엄용 불화(칠여래도‧사보살도‧팔금강도) (奉元寺 道場莊嚴用 佛畵(七如來圖‧四菩薩圖‧八金剛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괘불화 수량/면적 1건 19점 지 정 일 2021.03.11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봉원사길 120 (봉원사) 시 대 20세기 초 소 유 자 봉원사 관 리 자 봉원사 일반설명 한국불교태고종의 본산인 봉원사에 전하는 야외의식용 불화이다. 야외 의식에 사용된 칠여래도7점, 사보살도 4점, 팔금강도 8점 등 총 19점이 현존한다. 19점의 불화는 대체로 세로122~126cm, 가로 76cm 크기의 면본에 그렸다. 존격이나 도상의 구분 없이 동일한 화폭을 미리갖춰둔 후 하나의 세트로 제작했으며, 상축 위쪽에 원형 고리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