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4/21 30

세종특별자치시 유형문화재 (제26호) 남이웅 유물 일괄

종 목 세종특별자치시 유형문화재 (제26호) 명 칭 남이웅 유물 일괄 (南以雄 遺物 一括) 분 류 기록유산 / 문서류 / 국왕문서 / 교령류 수량/면적 10점(진무공신교서 1축, 사패교지 1장, 고신교지 1장, 불윤비답 5장, 병인수로조천시 1책, 진무공신교서 보관함 1점) 지 정 일 2021.04.30 소 재 지 세종특별자치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세종특별자치시 관 리 자 세종특별자치시 일반설명 남이웅 유물 일괄은 진무공신교서와 교서함, 불윤비답, 사패교지, 고신교지, 병인수로조천시 등 모두 10점이다. 남이웅(1575~1648)은 인조반정과 이괄의 난, 병자호란 등 17세기 벌어진 역사적 사건과 관계 깊은 인물로, 조선 중기의 대표적 문인이다. 진무공신교서는 조선 인조 때 이괄의 난을 평정한 공..

세종특별자치시 유형문화재 (제25호) 남이웅 초상 일괄

종 목 세종특별자치시 유형문화재 (제25호) 명 칭 남이웅 초상 일괄 (南以雄 肖像 一括) 분 류 유물 / 일반회화 / 인물화 / 초상화 수량/면적 5점(초상 2점, 초본 2점, 초상함 1점) 지 정 일 2020.12.30 소 재 지 세종특별자치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세종특별자치시 관 리 자 세종특별자치시 일반설명 남이웅(1575~1648)은 인조반정과 이괄의 난, 병자호란 등 17세기의 역사적 사건과 관계가 깊은 인물로 조선 중기 대표적인 문인 관료이다. 남이웅 초상 일괄은 각각 중국과 조선에서 제작한 초상화 2점과 초본 2점, 초상함 1점이 남이웅 후손에게 대대로 전해 내려온 가전유물이다. 남이웅 초상화는 명나라 말 중국 초상화법과 17~19세기 조선 초상화법의 변모 과정과 특징을 살펴볼 수 ..

세종특별자치시 유형문화재 (제24호) 정만익 정위필 지석 및 탁본첩

종 목 세종특별자치시 유형문화재 (제24호) 명 칭 정만익 정위필 지석 및 탁본첩 (鄭萬翼 鄭渭弼 誌石 및 拓本帖) 분 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지석 수량/면적 8점 지 정 일 2020.06.01 소 재 지 세종특별자치시 시 대 조선시대(1800년) 소 유 자 세종특별자치시 관 리 자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설명 ◦ 지석(誌石)은 죽은 사람의 인적사항, 묘(墓)의 위치와 좌향(坐向) 등을 적어서 묘에 묻은 판석(板石)이나 도판(陶板)을 말한다. ◦ 정만익 정위필 지석 및 탁본첩은 정만익(鄭萬翼, 1677~1727)과 배위 한산이씨(韓山李氏, 1679~1753)와 그의 아들인 정위필(鄭渭弼, 1696~1747)과 배위 한양조씨(漢陽趙氏, 1695~1766) 지석 등 2종 7장과 지석 매납 이전에..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2호) 성불선원 제석천도

종 목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2호) 명 칭 성불선원 제석천도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기타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2.12.15 소 재 지 울산광역시 북구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성불선원 관 리 자 성불선원 문화재설명 ​ 는 세로 112cm, 가로55.8cm 정도 되는 비단 바탕에 그려졌다. 약 38cm의 비단 한 폭을 화면 중간에서 세로로 잇고, 양옆에 약 9cm 가량의 비단을 연결하여 바탕천을 만들었다. ​ 전체적인 화면구성은 중앙에 의자에 앉아 연꽃줄기를 들고 있는 제석천을 크게 부각시키고, 앞에는 좌우에 공양물이 든 쟁반을 들고 있는 보살형 천녀 2명과 그 옆에 일월관을 쓰고 홀을 든 제왕형 천자 2위가 시립했다. 화면 상부 제석천의 좌우에는 번을 들고 있는 천녀 4..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1호) 덕원사 석가설법도

종 목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1호) 명 칭 덕원사 석가설법도 (德原寺 釋迦說法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2.01.13 소 재 지 울산광역시 중구 성동길 129-10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덕원사 관 리 자 덕원사 일반설명 덕원사 석가설법도는 조선 후기인 1821~1830년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가로 80.3㎝, 세로 82㎝ 크기의 작품이다. 덕원사 석가설법도는 화면의 사방 테두리 부분이 잘려 새로 장황해 액자로 표구한 상태다. 작품에는 비단 바탕에 붉은색을 칠한 뒤 황색선으로 윤곽선이 그려져 있으며, 안료의 전반적인 변색으로 화면이 전체적으로 어두운 상태이고 세로 절흔이 많은 편이다. 화면 구도는 석가여래를 중심으로 보살과 제자를 좌우대칭으..

ㅁ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0호)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2~5

종 목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0호) 명 칭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2~5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卷二-五)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1.06.24 소 재 지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대복리(오봉사)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오봉사 관 리 자 오봉사 문화재설명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은 선(禪)을 닦아 온갖 번뇌로부터 해탈의 경지에 이르는 요의(要義)를 설한 경전이다. 흔히 『수능엄경(首楞嚴經)』, 『능엄경(楞嚴經)』이라 칭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소화엄경(小華嚴經)이라고 불릴 만큼 높이 숭상되던 경전이기도 하다. 당(唐)나라의 반자밀제(般剌蜜帝)가 번역하고..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 (제60호) 청주한씨세보

종 목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 (제60호) 명 칭 청주한씨세보 (淸州韓氏世譜)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2.05.16 소 재 지 대전광역시 중구 뿌리공원로 79 (침산동, 뿌리공원) 한국족보박물관 시 대 조선1617년(광해군 9) 소 유 자 한국족보박물관 관 리 자 한국족보박물관 문화재설명 본《청주한씨세보(淸州韓氏世譜)》는 1617년(광해군 9) 봄에 한효중(韓孝仲)을 비롯한 청주한씨 종친과 보살사(菩薩寺) 승려들의 주도하에 각자장(刻字匠) 임무광(林武光)의 각자로 조성된 청주한씨 족보의 초간본으로, 보학 및 청주한씨의 인물 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17세기 초에 제작되었음에도 여타 과도기적 성격의 17세기 족보보다 오히려 조선후기 부계 혈족 중심의 족보 ..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2호) 삼한시귀감

종 목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2호) 명 칭 삼한시귀감 (三韓詩龜鑑)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전적류 수량/면적 2책 지 정 일 2022.07.19 소 재 지 광주광역시 북구 시 대 여말선초 소 유 자 전남대학교 관 리 자 전남대학교 도서관 문화재설명 ​ '삼한시귀감'은 고려말 조운흘(趙云仡, 1332~1404)이 최해(崔瀣, 1287~1340)의 '동인지문오칠(同人之文五七)'에서 뛰어난 시를 뽑아 편찬한, 현전하는 가장 오래되고 완전한 형태의 시선집(詩選集)이며 시비평집이다. ​ 초간본(初刊本)은 현재 전하지 않고 1566년(명종 21) 순천(順天) 중간본(重刊本)도 국내외 단 2곳에 남아 있는 희귀본이다. 전남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은 그동안 학계에 알려지지 않은 판본으로 중간본과 글씨체는 같으..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1호) 광주 운암서원 해광집목판

종 목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1호) 명 칭 광주 운암서원 해광집목판 (光州 雲巖書院 海狂集木板) 분 류 기록유산 / 서각류 / 목판각류 / 판목류 수량/면적 54매 지 정 일 2020.07.20 소 재 지 광주광역시 북구 시 대 조선시대 후기 소 유 자 운암서원 관 리 자 운암서원 일반설명 해광집 목판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인학자이며 임진왜란기에 의병활동을 한 해광 송제민(1549~1602)의 문집을 간행하기 위해 제작한 목판이다. 조선 후기(1783년(정조 7)) 간행(초간본)했다가 근대(1933년)에 중간하였고, 현재의 목판은 초간본(46매)과 중간본(8매)을 합해 전체 54매로 완질이 보존되어 있다. 《광주목지(光州牧誌)》인물조의 “문집이 있어 세상에 알려졌다[有文集 行于世]”는 기록과 《광주읍..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0호) 도은선생집

종 목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0호) 명 칭 도은선생집 (陶隱先生集)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관판본 수량/면적 1책(5권) 지 정 일 2020.07.20 소 재 지 광주광역시 북구 시 대 고려시대 말기 ~ 조선시대 초기 소 유 자 전남대학교 관 리 자 전남대학교 일반설명 도은선생집(陶隱先生集)은 이숭인(李崇仁, 1347~1392)의 문집이다. 이숭인은 고려 말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로 본관은 성주, 자는 몽가(蒙哥), 자안(子安), 호는 도은(陶隱)이다. 목은 이색(牧隱 李穡, 1328~1396), 포은 정몽주(圃隱 鄭夢周, 1337~1392)와 함께 고려 삼은(三隱)으로 불리운다. 도은선생집(陶隱先生集)은 권수에 주탁(周倬)ㆍ정도전(鄭道傳)ㆍ권근(權近)의 서문 3편에 이어 권1~3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