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4/15 29

보물 (제569호 추가-2) 안중근의사 유묵 – 일통청화공

종 목 보물 (제569호 추가-2) 명 칭 안중근의사 유묵 – 일통청화공 (安重根義士 遺墨 - 日通淸話公) 분 류 기록유산 / 서간류/ 서예/ 서예 수량/면적 1폭 지 정 일 2022.06.23 소 재 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 시 대 1910년 3월 소 유 자 이*** 관 리 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일반설명 ‘안중근의사 유묵 - 일통청화공’은 안중근의사(1879∼1910)가 중국의 여순감옥(旅順監獄)에 투옥 중이던 1910년 3월에 쓴 글씨이다. 세로 41.0cm, 가로 74.3cm의 장방형 형태의 유묵으로, 흰 비단에 먹으로 썼다. 글씨는 상관(上款)ㆍ본문ㆍ하관(下款) 세 부분으로 나누어 썼다. 본문 오른쪽 상관(上款)에 ‘증청전선생(贈淸田先生)’이란 다섯 글..

문화재/보물 2023.04.15

보물 (제569호 추가-1) 안중근의사 유묵 – 인무원려필유근우

종 목 보물 (제569호 추가-1) 명 칭 안중근의사 유묵 – 인무원려필유근우 (安重根義士 遺墨 - 人無遠慮必有近憂) 분 류 기록유산 / 서간류/ 서예/ 서예 수량/면적 1폭 지 정 일 2022.06.23 소 재 지 경기도 구리시 시 대 1910년 3월 소 유 자 사유 관 리 자 김*** ​일반설명 ‘안중근의사유묵 - 인무원려필유근우’는 안중근 의사(1879∼1910)가 중국의 여순감옥(旅順監獄)에서 순국하기 전인 1910년 3월에 쓴 글씨로, 대련세관(大連稅關)에 근무하던 카미무라 쥬덴[上村重傳, 1871∼1943]에게 써준 것으로 추정된다. 형태는 세로가 긴 축장(軸裝)으로, 글씨는 중앙에 ‘인무원려필유근우(人無遠慮必有近憂)’라는 여덟 글자를 1행의 해행서(楷行書, 해서와 행서가 섞인 글자)로 썼고,..

문화재/보물 2023.04.15

보물 (제2170호) 경국대전 권4∼6

종 목 보물 (제2170호) 명 칭 경국대전 권4∼6 (經國大典 卷四∼六)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활자본 / 금속활자본 수량/면적 2책 지 정 일 2022.06.23 소 재 지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창룡대로 21 (매향동, 수원화성박물관) 시 대 조선 16세기 소 유 자 공유 관 리 자 수원화성박물관 문화재설명 『경국대전(經國大典)』은 조선의 통치체제의 대강을 규정한 최고의 성문법전이다. 1455년(세조 즉위) 최항(崔恒)ㆍ노사신(盧思愼)ㆍ서거정(徐居正) 등에게 편찬할 것을 명하자 몇 차례의 수정과 증보를 거쳐, 1485년(성종 16) 소위 “을사대전(乙巳大典)”이 완성되었다. 경국대전은 완성 이후 조선 말기까지 조선의 가장 기본이 된 법전으로서 조문의 수정 없이 적용되었다. 따라서 조선 전기의 ..

카테고리 없음 2023.04.15

보물 (제2169호) 경국대전 권1∼3

종 목 보물 (제2169호) 명 칭 경국대전 권1∼3 (經國大典 卷一∼三)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활자본 / 금속활자본 수량/면적 2책 지 정 일 2022.06.23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 (반포동, 국립중앙도서관) 시 대 조선 16세기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국립중앙도서관 문화재설명 『경국대전(經國大典)』은 조선의 통치체제의 대강을 규정한 최고의 성문법전이다. 1455년(세조 즉위) 최항(崔恒)ㆍ노사신(盧思愼)ㆍ서거정(徐居正) 등에게 편찬할 것을 명하자 몇 차례의 수정과 증보를 거쳐, 1485년(성종 16) 소위 “을사대전(乙巳大典)”이 완성되었다. 경국대전은 완성 이후 조선 말기까지 조선의 가장 기본이 된 법전으로서 조문의 수정 없이 적용되었다. 따라서 조선 전기의 법..

문화재/보물 2023.04.15

보물 (제2168호) 경국대전 권1∼2

종 목 보물 (제2168호) 명 칭 경국대전 권1∼2 (經國大典 卷一∼二)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활자본 / 금속활자본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2.06.23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시 대 조선 16세기 소 유 자 삼성출판(주) 관 리 자 삼성출판박물관 문화재설명 『경국대전(經國大典)』은 조선의 통치체제의 대강을 규정한 최고의 성문법전이다. 1455년(세조 즉위) 최항(崔恒)ㆍ노사신(盧思愼)ㆍ서거정(徐居正) 등에게 편찬할 것을 명하자 몇 차례의 수정과 증보를 거쳐, 1485년(성종 16) 소위 “을사대전(乙巳大典)”이 완성되었다. 경국대전은 완성 이후 조선 말기까지 조선의 가장 기본이 된 법전으로서 조문의 수정 없이 적용되었다. 따라서 조선 전기의 법제사・제도사의 연구에 있어 핵심이 ..

문화재/보물 2023.04.15

보물 (제2167호) 정조 한글어찰첩

종 목 보물 (제2167호) 명 칭 정조 한글어찰첩 (正祖 한글御札帖)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필사본 / 기타류 수량/면적 1첩(16점) 지 정 일 2022.06.23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용산동6가, 국립한글박물관) 시 대 (1752~1759)년 ~1798년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국립한글박물관 문화재설명 ‘정조 한글어찰첩’은 정조(正祖, 1752∼1800)가 원손시절부터 세손시절(1759년), 재위시절(1776∼1800)까지 국동 외숙모 여흥민씨에게 한글로 쓴 편지 14점과 대자(大字) 글씨 2점을 모은 서첩이다. 원손 시절에 쓴 편지, 예찰(睿札, 왕세손 시절 쓴 편지)과 어찰(御札, 보위에 오른 후 쓴 편지)에 이르는 글씨 등 시기를 달리해 50여년에 이르는 정..

문화재/보물 2023.04.15

보물 (제2166호) 신ㆍ구법천문도 병풍

종 목 보물 (제2166호) 명 칭 신ㆍ구법천문도 병풍 (新ㆍ舊法天文圖 屛風) 분 류 유물 / 과학기술 / 천문지리기구 / 천문 수량/면적 1건 8폭 지 정 일 2022.06.23 소 재 지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쑥고개로 249 (효자동2가, 국립전주박물관) 시 대 19세기 후반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국립전주박물관 문화재설명 ‘신ㆍ구법천문도 병풍’은 전통적으로 동양에서 그려진 천문도(구법천문도)와 서양에서부터 도입된 새로운 천문도(신법천문도)를 좌우로 배치하여 구성한 것으로, 비단에 채색 필사한 8폭의 병풍으로 제작된 천문도이다.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1·2·3폭은 조선의 대표적인 천문도라 할 수 있는 ‘천상열차분야도(天象列次分野圖)’를 그려 놓았고, 4·5·6·7폭에는 서양의 천문 인식이 담..

문화재/보물 2023.04.15

보물 (제2165호) 춘추경좌씨전구해 권1∼9, 20∼29, 40∼70

종 목 보물 (제2165호) 명 칭 춘추경좌씨전구해 권1∼9, 20∼29, 40∼70 (春秋經左氏傳句解 卷一∼九, 二十∼二十九, 四十∼七十)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수량/면적 50권 5책 지 정 일 2022.04.26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성균관로 25-2 (명륜3가, 성균관대학교) 시 대 조선 1431년(세종 13) 판각, 인출 소 유 자 성균관대학교 관 리 자 성균관대학교박물관 문화재설명 『춘추경좌씨전구해』는 춘추시대 역사서인 『춘추(春秋)』의 주석서로 임효수(林堯叟)의 음주본(音註本)이다. 발문과 간기를 통해 1431년(세종 13) 경상도 청도에서 원판본을 번각한 사실을 알 수 있으며, 지금까지 완질이 확인되지 않았고 전래본도 드문 고간본(古刊本)이다. 이 판본은 간행과정과 참..

문화재/보물 2023.04.15

보물 (제2164호) 달마대사관심론

종 목 보물 (제2164호) 명 칭 달마대사관심론 (達磨大師觀心論)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필사본 / 기타류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2.04.26 소 재 지 경상남도 사천시 백천길 326-2 (백천동, 백천사) 시 대 고려 1335년(충숙왕 복위 4) 판각 소 유 자 백천사 관 리 자 백천사 문화재설명 ‘달마대사관심론’은 중국 선종(禪宗)의 시초인 달마(達磨, ?~528)가 설한 심론(心論)을 정리한 불경으로서 편찬자는 미상이다. 지정 대상은 1335년(고려 충숙왕 복위 4)에 경주 계림부(鷄林府)에서 개판된 목판에서 후쇄(後刷)된 불분권(不分卷) 1책(16장)의 목판본이다. 이 책은 현재 전하는 동일 자료 가운데 시기적으로 가장 앞서는 판본으로, 권말에 책의 조판 발문과 함께 ‘지통 삼..

문화재/보물 2023.04.15

보물 (제2163호) 청구영언

종 목 보물 (제2163호) 명 칭 청구영언 (靑丘永言)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필사본 / 기타류 수량/면적 1책(70장, 표지제외) 지 정 일 2022.04.26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용산동6가, 국립한글박물관) 시 대 조선 후기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국립한글박물관 문화재설명 ‘청구영언’은 조선 후기까지 구비 전승되던 총 580수의 노랫말을 수록한 우리나라 최초의 가집(歌集)이다. 청구(靑丘)는 우리나라, 영언(永言)은 노래를 뜻하는 말로서, 가집은 가곡(歌曲)이라는 우리의 전통 성악곡으로 불리던 시조를 모아 놓은 노랫말(가사) 자료집이다. ‘청구영언’은 조선 후기 시인 김천택(金天澤)이 쓰고 편찬한 책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 그의 친필(親筆)인지는 비교자료가 ..

문화재/보물 2023.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