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4/12 23

보물 (제2114-5호) 고려사 <5>

종 목 보물 (제2114-5호) 명 칭 고려사 (高麗史)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활자본 / 금속활자본 수량/면적 139권 33책 지 정 일 2021.02.17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시 대 조선 1613년(광해군 5) 간인, 17∼18세기 후인(後印) 소 유 자 연세대학교 관 리 자 연세대학교도서관 일반설명 『고려사』는 정인지(鄭麟趾‚ 1396∼1478), 정창손(鄭昌孫, 1402∼1487) 등이 1451년(文宗 1)에 기전체(紀傳體)로 찬진한 고려의 정사(正史)로서, 『삼국사기』와 더불어 우리나라 2대 정사 중 하나이다. 고려시대 연구를 위한 가장 중요한 사료로서 고려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자료로서, 세가(世家) 46권, 열전(列傳) 50권, 지(志) 39권, 연..

문화재/보물 2023.04.12

보물 (제2115-4호) 고려사<4>

종 목 보물 (제2115-4호) 명 칭 고려사 (高麗史)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수량/면적 139권 85책 지 정 일 2021.02.17 소 재 지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신림동,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시 대 조선 1613년(광해군 5), 초인(初印)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서울대학교 규장각 ​ 일반설명 『고려사』는 정인지(鄭麟趾‚ 1396∼1478), 정창손(鄭昌孫, 1402∼1487) 등이 1451년(文宗 1)에 기전체(紀傳體)로 찬진한 고려의 정사(正史)로서, 『삼국사기』와 더불어 우리나라 2대 정사 중 하나이다. 고려시대 연구를 위한 가장 중요한 사료로서 고려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자료로서, 세가(世家) 46권, 열전(列傳) 50권, 지(..

문화재/보물 2023.04.12

보물 (제2115-3호) 고려사<3>

종 목 보물 (제2115-3호) 명 칭 고려사 (高麗史)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수량/면적 139권 33책 지 정 일 2021.02.17 소 재 지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신림동,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시 대 조선 1613년(광해군 5) 간인, 17∼18세기 후인(後印)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서울대학교 규장각 ​ 일반설명 『고려사』는 정인지(鄭麟趾‚ 1396∼1478), 정창손(鄭昌孫, 1402∼1487) 등이 1451년(文宗 1)에 기전체(紀傳體)로 찬진한 고려의 정사(正史)로서, 『삼국사기』와 더불어 우리나라 2대 정사 중 하나이다. 고려시대 연구를 위한 가장 중요한 사료로서 고려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자료로서, 세가(世家) 46권, 열전(..

문화재/보물 2023.04.12

보물 (제2114-2호) 고려사<2>

종 목 보물 (제2114-2호) 명 칭 고려사 (高麗史)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활자본 / 금속활자본 수량/면적 98권 32책 지 정 일 2021.02.17 소 재 지 서울특별시 관악구 시 대 조선 1482년(성종 13)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일반설명 『고려사』는 정인지(鄭麟趾‚ 1396∼1478), 정창손(鄭昌孫, 1402∼1487) 등이 1451년(文宗 1)에 기전체(紀傳體)로 찬진한 고려의 정사(正史)로서, 『삼국사기』와 더불어 우리나라 2대 정사 중 하나이다. 고려시대 연구를 위한 가장 중요한 사료로서 고려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자료로서, 세가(世家) 46권, 열전(列傳) 50권, 지(志) 39권, 연표(年表) 2권, 목록(目錄) 2권..

문화재/보물 2023.04.12

보물 (제2114-1호) 고려사 <1>

종 목 보물 (제2114-1호) 명 칭 고려사 (高麗史)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활자본 / 금속활자본 수량/면적 131권 43책 지 정 일 2021.02.17 소 재 지 서울특별시 관악구 시 대 조선 1482년(성종 13)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일반설명 『고려사』는 정인지(鄭麟趾‚ 1396∼1478), 정창손(鄭昌孫, 1402∼1487) 등이 1451년(文宗 1)에 기전체(紀傳體)로 찬진한 고려의 정사(正史)로서, 『삼국사기』와 더불어 우리나라 2대 정사 중 하나이다. 고려시대 연구를 위한 가장 중요한 사료로서 고려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자료로서, 세가(世家) 46권, 열전(列傳) 50권, 지(志) 39권, 연표(年表) 2권, 목록(目錄) 2..

문화재/보물 2023.04.12

보물 (제2113호)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목판

종 목 보물 (제2113호) 명 칭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목판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木板) 분 류 기록유산 / 서각류 / 목판각류 / 판목류 수량/면적 335판(完) 지 정 일 2021.02.17 소 재 지 경상남도 하동군 시 대 조선 1604년(선조37) 소 유 자 쌍계사 관 리 자 쌍계사 일반설명 대방광불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은 부처와 12보살이 주고받는 문답형식을 통해 대승불교의 사상과 체계적인 수행의 절차를 설명한 경전으로 중국과 우리나라에서 널리 읽힌 불교경전이다. 하동 쌍계사 소장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목판’은 1455년(세조 1)에 주조한 금속활자인 을해자(乙亥字)로 간행한 판본을 저본으로 해 1611년(광해군 3) 여름에 경상도 지리산 능인암(能仁庵)에서 번각(飜刻)되어..

문화재/보물 2023.04.12

보물 (제2112호) 원돈성불론ㆍ간화결의론 합각 목판

종 목 보물 (제2112호) 명 칭 원돈성불론ㆍ간화결의론 합각 목판 (圓頓成佛論ㆍ看話決疑論 合刻 木板) 분 류 기록유산 / 서각류 / 목판각류 / 판목류 수량/면적 11판(完) 지 정 일 2021.02.17 소 재 지 경상남도 하동군 시 대 조선 1604년(선조37) 소 유 자 쌍계사 관 리 자 쌍계사 일반설명 하동 쌍계사 소장 ‘원돈성불론ㆍ간화결의론 합각 목판’은 고려 승려 지눌(知訥, 1158∼1210)이 지은 『원돈성불론(圓頓成佛論)』과 『간화결의론(看話決疑論)』을 1604년(선조 37) 가을 지리산 능인암(能仁庵)에서 판각되어 쌍계사로 이전된 불교 목판으로 11판의 완질본이다. 상권의 『원돈성불론』은 5가지 질문에 대하여 지눌이 답하는 문답형식으로 기술한 것이고, 여기서 그는 당나라 이통현(李通玄..

문화재/보물 2023.04.12

보물 (제2111호) 선원제전집도서 목판

종 목 보물 (제2111호) 명 칭 선원제전집도서 목판 (禪源諸詮集都序 木板) 분 류 기록유산 / 서각류 / 목판각류 / 판목류 수량/면적 22판(完) 지 정 일 2021.02.17 소 재 지 경상남도 하동군 시 대 조선 1603년(선조 36) 소 유 자 쌍계사 관 리 자 쌍계사 일반설명 하동 쌍계사 소장 ‘선원제전집도서 목판’은 경상도 지리산 신흥사(1579)나 전라도 순천 송광사(1608) 계통의 판본을 저본으로 복각(覆刻)된 목판이다. 1603년(선조 36) 겨울에 지리산 능인암(能仁庵)에서 복각되어 쌍계사로 옮겨진 이래 현재까지 22판이 완질로 전해지고 있다. 『선원제전집도서(禪源諸詮集都序)』는 당나라 규봉 종밀(圭峰 宗密, 780∼841)이 자신의 찬술인 『선원제전집』 100여 권에서 요점만 뽑..

문화재/보물 2023.04.12

보물 (제2110호) 고성 옥천사 영산회 괘불도 및 함

종 목 보물 (제2110호) 명 칭 고성 옥천사 영산회 괘불도 및 함 (固城 玉泉寺 靈山會 掛佛圖 및 函)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괘불화 수량/면적 괘불도 1폭, 괘불함 1점 지 정 일 2021.01.05 소 재 지 경상남도 고성군 시 대 조선 1808년(순조 8) 소 유 자 옥천사 관 리 자 옥천사 일반설명 보물 제2110호 ‘옥천사 영산회 괘불도 및 함’은 1808년(순조 8) 수화승 평삼(評三)을 비롯하여 18명의 화승들(評三, 錫奎, 唯性, 度日, 察旻, 璽安, 再澄, 弘泰, 敎桓, 千佑, 趙鑒, 敬朋, 彭憲, 仙己, 仙敏, 演日, 慕訓, 志洪)이 제작한 것으로, 20폭의 화폭을 붙여 만든 높이 10m 이상 크기의 대형불화이다. 도상은 석가여래 삼존과 아난존자와 가섭존자, 6존의 부처를 배치..

문화재/보물 2023.04.12

보물 (제2109호) ‘미륵원’명 청동북

종 목 보물 (제2109호) 명 칭 ‘미륵원’명 청동북 (‘彌勒院’銘 金鼓) 분 류 유물 / 불교공예 / 의식법구 수량/면적 1구 지 정 일 2021.01.05 소 재 지 경상남도 함양군 시 대 1190년(고려 명종 20) 소 유 자 등구사 관 리 자 등구사 일반설명 보물 제2109호 ‘미륵원명 청동북’은 측면에 음각으로 새겨진 명문(明昌 二年 庚戌年)을 통해 1190년(고려 명종 20) 미륵원(彌勒院)에 걸기 위해 제작한 금고(金鼓)임을 알 수 있다. ‘미륵원’은 충남 공주에 있었던 인제원(仁濟院)의 후신(後身)으로, 고려시대 잠시 운영되는 동안 사용되었던 사찰 명칭으로 보이며, 1530년『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이 편찬될 당시에는 다시 원래의 명칭인 인제원으로 불렀던 것으로 추정된다. 청동..

문화재/보물 2023.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