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4/14 15

보물 (제2145호) 대승기신론소 권하

종 목 보물 (제2145호) 명 칭 대승기신론소 권하 (大乘起信論疏 卷下)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수량/면적 1권 1책(33장) 지 정 일 2021.12.22 소 재 지 대구광역시 달성군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사유 관 리 자 달성군 일반설명 『대승기신론소』는 인도 승려 마명(馬鳴)이 짓고 양나라의 진제(眞諦, 499∼569)가 한문으로 번역한 『대승기신론』 을 당나라 승려 법장(法藏, 643∼712)이 주석을 달고 저술한 불교경전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금강경』·『원각경』·『능엄경』 등과 함께 불교전문강원의 사교과(四敎科) 과목으로 예로부터 학습됐던 주요 경전이다. 대구 용문사 소장 ‘대승기신론소 권하’는 법장이 저술한 3권을 저본(底本)으로 하여 조선 1461년(세조 7)에 간경도감(..

문화재/보물 2023.04.14

보물 (제2144호) 무예제보

종 목 보물 (제2144호) 명 칭 무예제보 (武藝諸譜)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수량/면적 1기 지 정 일 2021.12.22 소 재 지 경기도 수원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수원시 일반설명 무예제보(武藝諸譜)는 한교(韓嶠, 1556∼1627)가 왕명을 받고 중국 명나라 장군 척계광(戚繼光)의 기효신서(紀效新書)를 참고하여 조선의 무인이나 대중들의 이해를 돕고자 「대봉(大棒, 곤봉)」ㆍ「등패(藤牌, 방패)」ㆍ「낭선(狼筅, 낭선창)」ㆍ「장창(長鎗, 긴창)」ㆍ「당파(鎲鈀, 삼지창)」ㆍ「장도(長刀, 장검)」 등 무기 6종의 제작법과 도해(圖解)를 수록해 편찬하고 그 내용을 한글로 언해(諺解)하여 1598년(선조 31) 10월 목판으로 간행한 무예서이다. 이 책은 현존하는 우리..

문화재/보물 2023.04.14

보물 (제2143호) 경주 분황사 당간지주

종 목 보물 (제2143호) 명 칭 경주 분황사 당간지주 (慶州 芬皇寺 幢竿支柱)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당간 수량/면적 1기 지 정 일 2021.11.26 소 재 지 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 315-2 시 대 통일신라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분황사 일반설명 1. 경주 분황사의 연혁과 당간지주 경주 芬皇寺는 경주시 구황동에 있는 사찰로 『三國遺事』의 기록에 의하면 七處伽藍 중의 하나로 634년(선덕여왕 3년) 용궁의 북쪽에 창건되었다고 한다. 당시 분황사는 황룡사와 함께 왕실 차원에서 건립되었으며, 선덕여왕을 비롯한 여러 국왕과도 밀접한 관계에 있었다. 신라 선덕여왕은 643년 당나라에서 귀국한 慈藏(590~658년)을 분황사에 머물게 하였으며, 645년에는 자장의 요청으로 皇龍寺塔..

문화재/보물 2023.04.14

보물 (제2142호) 서울 진관사 태극기

종 목 보물 (제2142호) 명 칭 서울 진관사 태극기 (서울 津寬寺 太極旗) 분 류 유물 / 생활공예 / 근대공예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1.10.25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길 73 (진관동, 진관사) 시 대 1919년 경 소 유 자 진관사 관 리 자 진관사 일반설명 ‘서울 진관사 태극기’는 2009년 5월 26일 서울시 은평구 진관사의 부속건물인 칠성각(七星閣)을 해체ㆍ복원하는 과정에서 내부 불단(佛壇) 안쪽 벽체에서 발견된 것으로, 태극기에 보자기처럼 싸인 독립신문류 19점이 함께 발견되었다. 신문류는 「경고문」ㆍ『조선독립신문』ㆍ『자유신종보(自由晨鐘報)』ㆍ『신대한(新大韓)』ㆍ『독립신문』 등 5종으로, 1919년 6월 6일부터 12월 25일까지 발행된 사실로 미루어 진관사 소장 태..

문화재/보물 2023.04.14

보물 (제2141호) 김구 서명문 태극기

종 목 보물 (제2141호) 명 칭 김구 서명문 태극기 (金九 署名文 太極旗) 분 류 유물 / 생활공예 / 근대공예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1.10.25 소 재 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독립기념관로 1 (목천읍, 독립기념관) 시 대 1941년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독립기념관 일반설명 ‘김구 서명문 태극기’는 1941년 3월 16일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위원회 김구(金九, 1876∼1949) 주석이 독립의지를 담은 글귀와 서명을 써 친분이 있던 벨기에 신부 매우사(梅雨絲, 본명 샤를 미우스 Charles Meeus)에게 준 것이다. 이후 미국으로 건너간 매우사 신부는 도산 안창호 선생의 부인 이혜련 여사에게 이 태극기를 전달했고, 후손들이 보관해오다 ‘안창호 유품’ 중 하나로 1985년 3월..

문화재/보물 2023.04.14

보물 (제2140호) 데니 태극기

종 목 보물 (제2140호) 명 칭 데니 태극기 (데니 太極旗) 분 류 유물 / 생활공예 / 근대공예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1.10.25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 대 1880년대∼1890년 이전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국립중앙박물관 일반설명 ‘데니 태극기’는 고종의 외교 고문으로 활동한 미국인 오웬 니커슨 데니(Owen Nickerson Denny, 1838∼1900)가 소장했던 것으로, 1891년 1월 본국으로 돌아가면서 가지고 간 것을 1981년 그의 후손이 우리나라에 기증해 지금은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학계에서는 이 태극기가 데니의 유품 중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에, 그가 조선에 마지막으로 머문 해인 1890년을 제작의 하한..

문화재/보물 2023.04.14

보물 (제2139호) 구례 화엄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사보살입상

종 목 보물 (제2139호) 명 칭 구례 화엄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사보살입상(求禮 華嚴寺 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및四菩薩立像)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수량/면적 7구(불상 3구, 보살상 4구, 불상대좌 3점 포함) 지 정 일 2021.10.25 소 재 지 전라남도 구례군 화엄사로 539 (마산면, 화엄사) 시 대 조선시대 1703년(숙종 29) 소 유 자 화엄사 관 리 자 화엄사 일반설명 「구례 화엄사(華嚴寺)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 및 사보살입상(四菩薩立像)」은 경북 예천 학가산에서 화엄사(華嚴寺)로 온 계파 성능(桂坡 聖能)이 장육전(丈六殿, 지금의 각황전, 覺皇殿)을 중창한 후 1703년 조성한 대형 왕실발원 불상으로서(평균 높이 약 3.3m), 색난(色難)의 ..

문화재/보물 2023.04.14

보물 (제2138호) 김해 은하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종 목 보물 (제2138호) 명 칭 김해 은하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金海 銀河寺 木造地藏菩薩三尊像 및 十王像 一括)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수량/면적 불상 21구, 발원문 2점 지 정 일 2021.10.25 소 재 지 경상남도 김해시 신어산길 167 (삼방동, 은하사) 시 대 조선시대 1687년(숙종 18) 소 유 자 은하사 관 리 자 은하사 문화재설명 「김해 은하사(銀河寺) 목조지장보살삼존상(木造地藏菩薩三尊像)과 시왕상(十王像) 일괄(一括)」은 1687년(숙종 18) 제작되어 김해 신어산(神魚山) ‘서림사(西林寺) 시왕전(十王殿)’에 봉안된 불상으로, 서림사(西林寺) 시왕전(十王殿)은 은하사(銀河寺) 명부전(冥府殿)을 가리킨다. 은하사(銀河寺) 명부전(冥府殿) 존상은..

문화재/보물 2023.04.14

보물 (제2137호) 고흥 능가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 일괄

종 목 보물 (제2137호) 명 칭 고흥 능가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 일괄 (高興 楞伽寺 木造釋迦如來三尊像 및 十六羅漢像 一括)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수량/면적 불상 23구, 불상대좌 3점, 발원문 18점, 후령통 20점 지 정 일 2021.10.25 소 재 지 전라남도 고흥군 팔봉길 21 (점암면, 능가사) 시 대 조선시대 1685년(숙종 11) 소 유 자 능가사 관 리 자 능가사 문화재설명 ‘고흥 능가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 일괄’은 능가사 응진당(應眞堂)에 봉안되어 있는 불상 일괄로, 복장(腹藏)에서 발견된 조성발원문을 통해 1685년 6월 전라도 홍양현(洪陽縣) 팔영산(八影山) 능가사(楞伽寺) 비구(比丘) 상기(尙機)가 불자(佛子)들을 모아 발원하고, 1..

문화재/보물 2023.04.14

보물(제2136호) 광주 덕림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종 목 보물 (제2136호) 명 칭 광주 덕림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光州 德林寺 木造地藏菩薩三尊像 및 十王像 一括)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수량/면적 불상 26구, 발원문 3점, 후령통 2점 지 정 일 2021.10.25 소 재 지 광주광역시 남구 월산로116번길 22 (월산동, 덕림사) 시 대 조선시대 1680년(숙종 6) 소 유 자 덕림사 관 리 자 덕림사 일반설명 ‘광주 덕림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은 지장보살과 도명존자, 무독귀상상의 복장에서 발견된 발원문을 통해 1680년(숙종 6) 색난(色難, 17세기 중반∼18세기 초)이 제작했음을 알 수 있으며, 지금까지 알려진 그의 작품 중 시기적으로 가장 이른 작품에 해당한다. 수조각승 색난은 무염, 인균..

문화재/보물 2023.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