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4/07 10

사적 (제560호) 태안 안흥진성

종 목 사적 (제560호) 명 칭 태안 안흥진성 (泰安 安興鎭城) 분 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수량/면적 75,803.9㎡ 지 정 일 2020.11.02 소 재 지 충청남도 태안군 근흥면 정죽리 1155-1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태안군 관 리 자 태안군 문화재설명 ​ 태안 안흥진성은 둘레가 1,714m인 석축산성으로 태안지역에 분포해 있는 성 중 가장 큰 규모임. 각자성석을 통해 초축시기를 추정할 수 있으며, 체성 상부의 여장까지 잔존하고 있어 축조 당시의 규모를 파악할 수 있음. 서해안에 자리한 관방유적으로 잔존유구가 잘 남아 있어 성벽 구조와 축성방법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뛰어남

문화재/사적 2023.04.07

사적 (제559호) 거창 거열산성

종 목 사적 (제559호) 명 칭 거창 거열산성 (居昌 居列山城) 분 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전적지 / 기타전적지 수량/면적 68,746㎡ 지 정 일 2020.09.24 소 재 지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상림리 산 45-2 시 대 삼국시대 소 유 자 거창군 관 리 자 거창군 문화재설명 ​ 거열산성은 거열주의 치소성(治所城)으로 추정되는 중요한 성곽으로, 삼국시대 신라와 백제의 영토 확장 각축장으로 문헌기록에서 확인되는 거창지역 삼국시대 산성 중 최대규모임. 6세기 중엽에 조성된 1차성과, 7세기 후엽 이후 1차성에 증축된 2차성의 구조가 학술조사를 통해 확인되어, 신라 석성 축성법의 변화 과정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등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뛰어남 ​

문화재/사적 2023.04.07

사적 (제558호) 의정부지

종 목 사적 (제558호) 명 칭 의정부지 (議政府址) 분 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관아 수량/면적 11,300㎡ 지 정 일 2020.09.24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길 45 (세종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종로구 관 리 자 종로구 문화재설명 ​ 의정부는 조선시대 백관을 통솔하고 정무전반을 총괄하는 최고의 행정기관으로 그 위상에 맞추어 광화문 좌측 첫 번째 자리에 위치했음. 500년 동안 조선왕조의 최고 통치기구로서 그 역사성이 매우 높고, 학술조사를 통해 의정부의 주요 건물지 3동(정본당, 협선당, 석획당)과 근대건물지 등이 확인되어 원래의 장소적 가치도 확인 되는 등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뛰어남

문화재/사적 2023.04.07

사적 (제557호) 인천 팔미도 등대

종 목 사적 (제557호) 명 칭 인천 팔미도 등대 (仁川 八尾島燈臺) 분 류 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 근대교통·통신시설 / 해운 수량/면적 25.8㎡(등대 및 돌담) 지 정 일 2020.09.15 소 재 지 인천광역시 중구 팔미로 28 (무의동) 시 대 1903년 소 유 자 해*** 관 리 자 해*** 문화재설명 ​ 인천 팔미도 등대는 한반도에 처음으로 들어선 근대식 등대로, 1902년에 착공해서 1903년에 준공되었다. 최초 점등일은 1903년 6월 1일이다. 등대의 총 높이는 약 8m이며, 형태는 지름 약 4.67m의 원통형이다.[2] 처음 건설했을 때의 형태가 아직도 잘 남아 있는 편이다. 다만, 등대를 세우기는 대한제국 정부가 세운 것이긴 하나, 실제 건설에는 일본제국의 입김이 많이 작용했다...

문화재/사적 2023.04.07

사적 (제556호) 인천 계양산성

종 목 사적 (제555호) 명 칭 인천 계양산성 (인천 계양산성) 분 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수량/면적 문화재구역 17필지 62,863㎡, 문화재보호구역 28필지 41,607㎡ 지 정 일 2020.05.22 소 재 지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동 산 10-1 시 대 삼국시대~조선시대 소 유 자 인천광역시 외42인 관 리 자 인천광역시 일반설명 삼국시대 최초 축조된 이후 구간별로 개보수되어 통일신라 시대를 거쳐 고려, 조선시대까지 사용되었던 석산성으로 삼국시대의 축성기술 뿐만 아니라 후대에 개보수하면서 사용한 흔적을 잘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시기별 성곽 시설물을 비교해 볼 수 있는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뛰어남

문화재/사적 2023.04.07

사적 (제555호) 의성 금성면 고분군

종 목 사적 (제555호) 명 칭 의성 금성면 고분군 (義城 金城面 古墳群) 분 류 유적건조물 / 무덤 / 무덤 / 고분군 수량/면적 253필지 630,038㎡ 지 정 일 2020.04.01 소 재 지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대리리, 학미리, 탑리리 일대 시 대 삼국시대 소 유 자 의성군 관 리 자 의성군 일반설명 5~6세기경에 조성된 대규모의 고총고분으로 의성지역만의 독특한 문화를 향유하고 있어 이 지역의 독자적 문화를 밝힐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유적임과 동시에, 묘제와 출토유물 양상을 볼 때 신라의 지방지배 방식의 변화를 잘 보여주고 있어 역사적·학술적·문화적 가치가 높은 유적임

문화재/사적 2023.04.07

국보 (제340호)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

종 목 국보 (제340호) 명 칭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 (益山 彌勒寺址 西塔 出土 舍利莊嚴具) 분 류 유물 / 불교공예 / 장엄구 수량/면적 총 9점(금제 사리봉영기 1점, 금동사리외호 1점, 금제 사리내호 1점, 청동합 6점) 지 정 일 2022.12.27 소 재 지 전라북도 익산시 미륵사지로 362 (금마면, 국립익산박물관) 시 대 백제 639년(무왕 40)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국립익산박물관 문화재설명 ​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는 2009년 익산 미륵사지 서탑 심주석(心柱石)의 사리공(舍利孔)에서 출토된 유물로서, 639년(무왕 40) 절대연대가 기록된 금제 사리봉영기(金製 舍利奉迎記)와 함께 금동사리외호(金銅舍利外壺), 금제 사리내호(金製 舍利內壺)를 비롯해 각..

문화재/국보 2023.04.07

국보 (제339호)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

종 목 국보 (제339호) 명 칭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 (陜川 海印寺 大寂光殿 木造毘盧遮那佛坐像 및 腹藏遺物)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수량/면적 불상 1구, 복장유물 52건 53점 지 정 일 2022.10.26 소 재 지 경상남도 합천군 해인사길 132-13 (가야면, 해인사) 시 대 신라 9세기 후반 소 유 자 대한불교조계종 해인사 관 리 자 대한불교조계종 해인사 ​문화재설명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은 현재 해인사의 주전각인 대적광전에 봉안되었으나 지금은 그 오른쪽에 위치한 대비로전(大毗盧殿)에 봉안된 비로자나불상과 그 복장유물 일괄이다.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은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과 비교해 크기, 제작기법 등이 ..

문화재/국보 2023.04.07

국보 (제338호)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

종 목 국보 (제338호) 명 칭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 (陜川 海印寺 法寶殿 木造毘盧遮那佛坐像 및 腹藏遺物)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수량/면적 불상 1구, 복장유물 63건 104점 지 정 일 2022.10.26 소 재 지 경상남도 합천군 해인사길 132-13 (가야면, 해인사) 시 대 신라 9세기 후반 소 유 자 대한불교조계종 해인사 관 리 자 대한불교조계종 해인사 문화재설명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은 원래의 봉안전각은 알 수 없으나 한동안 팔만대장경이 봉안된 법보전의 주불로 봉안되었다가 지금은 주불전인 대적광전의 오른쪽에 위치한 대비로전(大毗盧殿)에 봉안된 불상과 그 복장유물이다. 불상의 제작 시기는 불상의 양식과 도상, 과학..

문화재/국보 2023.04.07

국보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종 목 국보 (제337호) 명 칭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靑陽 長谷寺 金銅藥師如來坐像 및 腹藏遺物)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금속조 / 불상 수량/면적 불상 1구, 복장유물 13건 18점 지 정 일 2022.06.23 소 재 지 충청남도 청양군 장곡길 241 (대치면, 대한불교조계종 장곡사) 시 대 고려시대 (1346년(충목왕 2)) 소 유 자 장곡사 관 리 자 장곡사 일반설명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으나, 이후 발원문을 포함한 복장유물이 추가로 연구됨에 따라 제작시기와 발원자 등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게 되었다. 발원문에는 1346년(고려 충목왕 2)이라는 정확한 제작시기가 있어, 고려 후기 불상 연구의 절대 기준을 제시해주고 있다. 고려 후기 불상조각 중 정확한 약기인(藥器印)을..

문화재/국보 2023.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