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4/13 17

보물 (제2130호) 양주 회암사지 사리탑

종 목 보물 (제2130호) 명 칭 양주 회암사지 사리탑 (楊州 檜岩寺址 舍利塔)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1기 지 정 일 2021.06.24 소 재 지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산 14-3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양주시 관 리 자 양주시 ​일반설명 양주 회암사지 사리탑(이하 사리탑)은 조선전기 왕실에서 발원하여 건립한 진신사리탑으로 규모가 장대할 뿐만 아니라 보존상태도 양호하며, 사리탑의 형식과 불교미술의 도상 및 장식문양 등 왕실불교미술의 여러 요소를 알 수 있는 귀중한 탑이다. 사적「양주 회암사지」내에 위치한 사리탑은 발굴조사와 탑의 입지, 기록 등에 대한 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석가모니의 진신사리가 봉안되었던 불탑(佛塔)임을 알 수 있다. 또한, 탑에 새겨진 다양한 ..

문화재/보물 2023.04.13

보물 (제2129호) 무주 한풍루

종 목 보물 (제2129호) 명 칭 무주 한풍루 (茂朱 寒風樓) 분 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조경건축 / 누정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2021.06.23 소 재 지 전라북도 무주군 한풍루로 326-5 (무주읍, 한풍루)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무주군 관 리 자 무주군 일반설명 조선 시대 관아 건물인 「무주 한풍루」는 선조 때 문신 백호(白湖) 임제가 호남의 삼한(三寒)인 무주 한풍루(寒風樓), 남원 광한루(廣寒樓), 전주 한벽당(寒碧堂) 중에서도 으뜸으로 꼽으며 찬사를 아끼지 않았던 문화재이다. 현판은 한석봉이 썼다고 전해지며, 수많은 묵객들이 글과 그림으로 풍류를 즐기던 곳으로 당시 시대상과 문화상을 알 수 있는 건물이다. 정확한 창건 연대는 알 수 없으나, 15세기 조선전기 문신 성임과 ..

문화재/보물 2023.04.13

보물 (제2128호) 송시열 초상

종 목 보물 (제2128호) 명 칭 송시열 초상 (宋時烈 肖像) 분 류 유물 / 일반회화 / 인물화 / 초상화 수량/면적 1축 지 정 일 2021.06.23 소 재 지 충청북도 제천시 시 대 1680년 소 유 자 안*** 관 리 자 의*** 일반설명 ‘송시열 초상’은 조선 중기 정치와 학문에서 뚜렷한 자취를 남긴 성리학의 대가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의 초상화로, 제천의 황강영당(黃江影堂)에 300년 넘게 봉안되어 온 내력이 분명한 작품이다. 송시열은 고위직을 지냈음에도 화면 속 그는 관료의 모습이 아닌 사방건(四方巾, 네모난 형태의 모자)을 쓰고 심의(深衣, 유학자의 평상복)를 입은 청정한 유학자로 표현되었다. 작품 상단에는 “우암 송선생 칠십사세진(尤庵宋先生七十四歲眞)”라는 화제가 전서로 ..

문화재/보물 2023.04.13

보물 (제2127호) 울진 불영사 불연

종 목 보물 제2127호 명 칭 울진 불영사 불연 (蔚珍 佛影寺 佛輦) 분 류 유물 / 불교공예 / 의식법구 수량/면적 불연 2기, 동경 2점 지 정 일 2021.06.23 소 재 지 경상북도 울진군 불영사길 48 (금강송면, 불영사) 시 대 1670년(현종 11년) 소 유 자 불영사 관 리 자 불영사 일반설명 불영사에는 2채의 불연이 있는데, 매년 석가탄신일때 아기부처를 모시고 경내를 도는 시련의식을 행하고 있으며, 이때 이 불연을 사용하고 있다. 불연 1의 받침대 하부에는 조련기가, 불연 2의 받침대 하부에는 시주질이 묵서되어 있는데, 이 명문들에 의해 불연의 제작시기와 제작동기, 공역에 참가한 시주자와 승려들을 확인할 수 있다. 불연 1의 크기는 높이 125 × 난간폭 86 × 길이 311cm이며,..

문화재/보물 2023.04.13

보물 (제2126호) 완주 송광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소조십육나한상 일괄

종 목 보물 제2126호 명 칭 완주 송광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소조십육나한상 일괄 (完州 松廣寺 木造釋迦如來三尊坐像 및 塑造十六羅漢像 一括)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수량/면적 27구(불상3, 나한16, 좌우제석천2, 용녀1, 동녀1, 사자2, 장군2), 발원문 7점 지 정 일 2021.06.23 소 재 지 전라북도 완주군 시 대 1656년(효종 7년) 소 유 자 송광사 관 리 자 송광사 일반설명 ‘완주 송광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소조십육나한상 일괄’은 1656년(효종 7) 만들어진 불상으로, 당시 제작된 나한상 중 수량과 규모면에서 가장 큰 작품이다. 참여한 조각승도 이에 걸맞게 30명 이상 참여하였고 이는 1622년 왕실 사찰인 자수사(慈壽寺)·인수사(仁壽寺) 불상 조성에 참여한 장..

문화재/보물 2023.04.13

보물 (제2125호) 나주 정촌고분 출토 금동신발

종 목 보물 제2125호 명 칭 나주 정촌고분 출토 금동신발 (羅州 丁村古墳 出土 金銅飾履) 분 류 유물 / 생활공예 / 금속공예 수량/면적 1쌍(2점) 지 정 일 2021.04.21 소 재 지 전라남도 나주시 시 대 5세기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일반설명 ‘나주 정촌고분 출토 금동신발’은 삼국 시대 대형 분구묘인 정촌고분의 1호 석실에서 2014년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가 발굴한 것이다. 5∼6세기 무렵 영산강유역에는 복암리 고분군, 정촌고분, 영동리 고분군 등 대형 고분이 축조되었는데, 그 중 정촌고분은 1,500여 년 전 백제‧마한 문화를 가장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고분이면서 도굴 피해를 입지 않아 매장의 원형을 알 수 있어 고고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무덤이다. 정촌고분 1호 석실 ..

문화재/보물 2023.04.13

보물 (제2124호) 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

종 목 보물 제2124호 명 칭 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 (高敞 鳳德里 一號墳 出土 金銅飾履) 분 류 유물 / 생활공예 / 금속공예 수량/면적 1쌍(2점) 지 정 일 2021.04.21 소 재 지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쑥고개로 249 (효자동2가, 국립전주박물관) 시 대 5세기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국립전주박물관 일반설명 ‘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은 전라북도 고창 봉덕리에 위치한 4기의 대형 분구묘(墳丘墓, 분구를 조성한 다음 그 안에 매장시설을 설치하는 무덤양식) 중 규모가 가장 큰 1호분의 제4호 석실에서 2009년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가 발굴했다. 4호 석실은 전혀 도굴되지 않은 무덤으로, 여기에서 금동신발 한 쌍이 무덤 주인공의 양쪽 발에 신겨져 거의 훼손되지 않..

문화재/보물 2023.04.13

보물 (제2123호) 장성 백양사 아미타여래설법도 및 복장유물

종 목 보물 (제2123호) 명 칭 장성 백양사 아미타여래설법도 및 복장유물(長城 白羊寺 阿彌陀如來說法圖 및 腹藏遺物)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괘불화 수량/면적 불화 1폭, 복장유물 6건 10점 지 정 일 2021.04.21 소 재 지 전라남도 영광군 불갑사로 450 (불갑면, 불갑사성보박물관) 시 대 조선시대 1775년(영조 51) 소 유 자 대한불교조계종 백양사 관 리 자 불갑사성보박물관 일반설명 ‘장성 백양사 아미타여래설법도’는 1775년(영조 51) 수화승 색민(嗇敏)을 비롯한 총 11명의 화승들이 참여해 제작한 불화로, 1775년 극락전 아미타불상을 중수하면서 새롭게 제작된 작품으로, 1994년 9월에 도난당했으나 2006년 9월 회수되었다. 대시주 겸 화주(化主)인 환월당 민숙(喚月堂 旻..

문화재/보물 2023.04.13

보물 (제2122호) 순천 팔마비

종 목 보물 (제2122호) 명 칭 순천 팔마비 (順天 八馬碑) 분 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수량/면적 1기 지 정 일 2021.03.25 소 재 지 전라남도 순천시 중앙로 95 (영동, 순천문화재단)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순천시 관 리 자 순천시 일반설명 「순천 팔마비」는 1281년(충렬왕 7) 이후에 승평부사(昇平府使) 최석(崔碩)의 청렴함을 기리기 위해 승평부(지금의 순천)에 건립한 비석이다. 최석의 행적과 승평부의 읍민들이 팔마비를 건립한 사실은 「고려사」의 열전(列傳)에 나타난다. 이 기록에 따르면, 승평부에서는 수령이 교체되면 말 8필을 기증하는 관례가 있었는데, 최석은 비서랑의 관직을 받아 개성으로 떠난 후 자신이 기증받은 말과 자신의 말이 승평부에 있을 때 낳은 망아..

문화재/보물 2023.04.13

보물 (제2121호) 의성 대곡사 범종루

종 목 보물 (제2121호) 명 칭 의성 대곡사 범종루 (義城 大谷寺 梵鐘樓)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2021.03.25 소 재 지 경상북도 의성군 대곡사길 80 (다인면)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대곡사 관 리 자 대곡사 일반설명 대곡사 중창기와 사적기를 통해 고려말 공민왕 당시의 왕사인 지공대사가 창건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고, 1960년 대곡사 앞 텃밭에서 출토된 금동불상의 양식이 통일 신라후기로 추정되어 사찰의 창건 시기는 신라 말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되며, 최소한 고려 중기 이전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의성 대곡사 범종루는 〈대곡사 창건 전후 사적기〉의 기록을 통해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의 병화로 전소되어 17세기 중·후반인 ..

문화재/보물 2023.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