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정한 중미 세력균형 불안정한 중미 세력균형 2차 세계대전 이후 반세기가 훌쩍 넘어버린 현 시점에서 그간 확고해진 미국의 패권영향력을 부정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미국의 패권은 지난 반세기 동안 두 번의 큰 도전에 직면했었다. 첫 번째는 1991년 구소련이 해체되었을 때이다. 이 순간은 기나긴 냉전이 미국의 승리.. 종합상식/세상사는이야기 2011.05.18
5. 인간의 대지 - 쌩 떽쥐뻬리 인간의 대지 - 쌩 떽쥐뻬리 [6] 사막에서 (5) 쥐비에서 오늘 케말과 그의 동생 무얀이 나를 초대했다. 나는 그들의 천막에서 차를 마신다. 무얀이 말없이 나를 쳐다본다. 그는 입술 위까지 덮는 남색 베일을 벗지 않는다. 그것은 미개인의 경계의 표시다. 케말만이 나에게 말을 하며 경의를 표한다. "내 천.. 종합상식/문학관 2011.05.18
4. 인간의 대지 - 쌩 떽쥐뻬리 인간의 대지 - 쌩 떽쥐뻬리 [5] 오아시스 나는 사막에 대해 이미 많이 이야기했다. 그러니 그 이야기를 더 하기에 앞서 오아시스에 대해 이야기하려 한다. 지금 그 모습이 내게 떠오르는 오아시스는 사하라 오지에 숨어 있다. 그런데 비행기의 또 하나의 기적은 당신을 신비의 한가운데로 곧바로 데려다.. 종합상식/문학관 2011.05.18
3.인간의 대지 - 쌩 떽쥐뻬리 인간의 대지 - 쌩 떽쥐뻬리 [3] 비행기 기요메, 자네가 일하는 낮과 밤이 설사 압력계를 점검하고 자이로스코우프로 기체의 평형을 유지하고, 엔진의 숨결을 청진하고, 15톤의 금속을 어깨로 떠받치는 일로 흘러간다한들 그게 무슨 상관인가. 자네에게 부과된 문제들은 결국 인간의 문제이며, 그래서 자.. 종합상식/문학관 2011.05.18
2. 인간의 대지 - 쌩 떽쥐뻬리 인간의 대지 - 쌩 떽쥐뻬리 [2] 동료들 (1) 메르모즈도 그 한 사람이지만, 몇 명 동료들이 귀순하지 않은 사하라 사막을 거쳐 카사블랑카에서 다까르 사이의 프랑스 항공로를 창설했다. 당시의 엔진은 별로 저항력이 없었다. 그래서 한 번은 고장이 메르모즈를 모르인들에게 붙잡히게 했다. 그들은 메르.. 종합상식/문학관 2011.05.18
1. 인간의 대지 - 쌩 떽쥐뻬리 인간의 대지 - 쌩 떽쥐뻬리 대지는 우리들 자신의 대해 모든 책보다도 더 많은 것을 가르쳐 준다. 왜냐하면 대지는 우리에게 저항하기 때문이다. 인간은 어떤 장애물과 겨룰 때 비로소 자신을 발견한다. 그러나 그것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도구가 필요하다. 대패라든가 쟁기가 있어야 한다. 농부는 땅을.. 종합상식/문학관 2011.05.18
3. 패밀리 어페어 - 무라카미 하루키 패밀리 어페어 - 무라카미 하루키 "손재주가 있다면서?"하고 나는 물었다. "그렇습니다."하고 그는 아무 거리낌없이 대답했다. "옛날부터 프라(플라스틱)모델이랑 라디오 조립을 좋아했습니다, 온 집안의 망가진 것을 수리하며 돌아다녔지요. 오디오의 어디가 안됩니까?" "소리가 나오질 않아."하고 내.. 종합상식/문학관 2011.05.18
2. 패밀리 어페어 - 무라카미 하루키 패밀리 어페어 - 무라카미 하루키 얼굴 생김새는 그런 대로 나쁘진 않았지만, 머리가 텅 빈 억지스런 남자였다. 더구나 코끼리 처럼 기억력이 좋아서, 별 하찮은 일도 두고두고 기억하고 있었다. 머리가 텅 빈 부분을 기억력으로 보충하고 있는 것 같았다. "몇 번이나 했니?"하고 나는 물었다. "엉터리 .. 종합상식/문학관 2011.05.18
1. 패밀리 어페어 - 무라카미 하루키. 패밀리 어페어 - 무라카미 하루키. 그런 건 세상에 흔히 있는 일인지도 모르겠지만, 나는 여동생의 약혼자가 애당초 그다지 마음에 들지 패밀리 어페어 - 무라카미 하루키.않았다. 그리고 날이 갈수록, 그런 남자와 결혼할 결심을 하기에 이른 여동생 자체에 대해서도 적잖은 의문을 품기에 이르렀다. .. 종합상식/문학관 2011.05.18
북한이 감추고 있는 백두산 화산의 비밀 http://blog.donga.com/nambukstory/archives/2514 by 주성하기자 2011/04/11 10:43 am 사랑하는 북녘동포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지난달 29일에 남북 대표들이 오랜만에 마주앉아서 백두산 화산 공동 연구를 주제로 회담을 했습니다. 앞으로 남북이 현지답사와 학술토론회를 이어가며 백두산 폭발 가능성을 계속 연구할 예.. 종합상식/뉴스 2011.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