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보물 (제2123호) |
명 칭 | 장성 백양사 아미타여래설법도 및 복장유물(長城 白羊寺 阿彌陀如來說法圖 및 腹藏遺物) |
분 류 | 유물 / 불교회화 / 괘불화 |
수량/면적 | 불화 1폭, 복장유물 6건 10점 |
지 정 일 | 2021.04.21 |
소 재 지 | 전라남도 영광군 불갑사로 450 (불갑면, 불갑사성보박물관) |
시 대 | 조선시대 1775년(영조 51) |
소 유 자 | 대한불교조계종 백양사 |
관 리 자 | 불갑사성보박물관 |
일반설명 ‘장성 백양사 아미타여래설법도’는 1775년(영조 51) 수화승 색민(嗇敏)을 비롯한 총 11명의 화승들이 참여해 제작한 불화로, 1775년 극락전 아미타불상을 중수하면서 새롭게 제작된 작품으로, 1994년 9월에 도난당했으나 2006년 9월 회수되었다. 대시주 겸 화주(化主)인 환월당 민숙(喚月堂 旻肅)이 외조모 유씨 부부와 어머니 봉씨 부부의 극락왕생을 기원할 목적으로 발원할 것으로, 복장발원문에 ‘불상개금 백월당개금 색민비구 상단탱도화원 계헌비구(佛像改金 白月堂大師 嗇旻比丘, 上壇幀都畫員 戒憲比丘)’라고 기록되어 있어 색민이 불상개금 및 불화조성의 총책임을 맡았고 불화의 조성은 계헌을 중심으로 여러 화승들이 담당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수화승 색민은 18세기 전반의 대화승 의겸의 문하에서 그림을 배운 인물로, 그 역시 뛰어난 필력으로 대형 괘불도에서부터 칠성도에 이르기까지 모든 분야의 불화를 그려내었던 18세기를 대표하는 화승 중 한명이다. 색민의 활동상 이 작품은 만년기에 해당하지만, 계헌의 입장에서는 첫 수화승으로 그린 작품이자 초기 또는 중반기의 작품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 ‘장성 백양사 극락보전 아미타여래설법도’는 의겸에서 색민, 색민에서 다시 계헌으로 이어지는 의겸 화풍의 전승과 발전 과정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장황은 일부 개장되었으나 본 화면은 제작 당시의 원형을 큰 손상 없이 간직하고 있다. 본존인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8대보살과 6위의 제자, 사천왕, 2위의 팔부중을 배치한 간략한 화면구성, 본존의 두광에서부터 제자상과 팔대보살 등 권속들을 따라가며 화면을 꽉 채우는 큰 원형구도, 세로로 긴 화면, 화면을 압도하는 본존불, 날씬한 협시보살의 모습 등에서 전체적으로 장중함과 상승감을 느끼게 한다. 이러한 특징은 색민이 제작한 화엄사 삼신불도(1757년)과 대흥사 괘불도(1764년) 등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장성 백양사 아미타여래설법도’는 안정되고 짜임새 있는 구도와 구성력을 갖추었으며, 간결한 필치와 안정되고 중후한 색감, 원만한 인물의 표현 등에서도 18세기 후반의 시대적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는 대표적인 불화로 평가된다. 아울러 제작 당시의 복장유물이 온전하게 잘 남아 있어 18세기 후반 불화 복장 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제공해준다. |
'문화재 > 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2125호) 나주 정촌고분 출토 금동신발 (0) | 2023.04.13 |
---|---|
보물 (제2124호) 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 (0) | 2023.04.13 |
보물 (제2122호) 순천 팔마비 (0) | 2023.04.13 |
보물 (제2121호) 의성 대곡사 범종루 (0) | 2023.04.13 |
보물 (제2120호) 공주 갑사 대웅전 (0) | 2023.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