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8 12

보물 (제2252호) 보은 법주사 천왕문

종 목보물 (제2252호)명 칭보은 법주사 천왕문 (報恩 法住寺 天王門)분 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문수량/면적1동지 정 일2024.04.02소 재 지충청북도 보은군 법주사로 405 (속리산면, 법주사)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법주사 관 리 자법주사 문화재설명​「보은 법주사 천왕문」은 정확한 창건 연대를 알 수 없으나, 정유재란(丁酉再亂)이후 법주사 재건이 이루어지던 17세기 초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2018년 천왕문 기둥과 사천왕상에 대한 연륜연대 분석결과, 기둥이 1619년과 1620년에 수렴하는 건축연대가 측정되어 있어 역사적 가치가 크다.​건물 규모는 정면 5칸, 측면 2칸으로 현존 천왕문 중 가장 크고 넓으며, 좌·우 협칸과 퇴칸에는 소조사천왕 2구씩 4구가 안치되어 있는데, 우리..

문화재/보물 2024.06.08

보물 (제2251호) 완주 송광사 금강문

종 목보물 (제2251호)명 칭완주 송광사 금강문 (完州 松廣寺 金剛門)분 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문수량/면적1동지 정 일2024.04.02소 재 지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송광수만로 255-16 (소양면, 송광사)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송광사 관 리 자송광사 문화재설명​「완주 송광사 금강문」은 창건 연대를 알 수 없으나, , 의 기록과 사천왕상 조성 연대가 1649년(인조 27)임을 감안할 경우, 1649년 이전에 건립한 것으로 추정되며, 특히 살미의 형태가 송광사에서 17세기에 건립되어 보물로 지정된 대웅전, 종루와 유사하여, 건립 연대 추정을 뒷받침하고 있어 역사적 가치가 있다.​사찰(寺刹) 가람배치에서 일주문 – 금강문* – 천왕문이 직선축선상에 배치되는 임진왜란 이후 사찰진입의 시대적 ..

문화재/보물 2024.06.08

보물 (제2250호) 홍천 수타사 대적광전

종 목보물 (제2250호)명 칭홍천 수타사 대적광전 (洪川 壽陀寺 大寂光殿)분 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수량/면적1동지 정 일2024.02.28소 재 지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수타사로 473 (영귀미면)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대한불교조계종 수타사 관 리 자대한불교조계종 수타사 문화재설명​홍천 수타사는 17세기에 이르러 수타사의 역사를 기록한 『홍천현동공작산수타사사적(洪川縣東孔雀山水墮寺事蹟)』과 『건봉사급건봉사말사사적(乾鳳寺及乾鳳寺末寺史蹟)』등에 따르면 신라시대 원효(元曉)가 우적산(牛跡山)에 일월사(日月寺)를 창건하였으며, 조선 1569년(선조 2)에 현 위치인 공작산으로 옮겨 지으면서 수타사(水墮寺)*로 명칭이 바뀌었다고 한다. 이후 임진왜란(1592년)을 겪으면서 사찰건물이 전소되었는데 ..

문화재/보물 2024.06.08

보물 (제2249호) 여지도서

종 목보물 (제2249호)명 칭여지도서 (輿地圖書)분 류기록유산 / 전적류 / 전적류수량/면적55책지 정 일2024.02.21소 재 지서울특별시 중구 삼일대로 330 (저동1가, 평화빌딩) 4층, 한국교회사연구소시 대1757년(조선 영조 33)∼1765년(조선 영조 41)소 유 자한국교회사연구소관 리 자한국교회사연구소문화재설명​(재)한국교회사연구소 소장 여지도서는 조선 후기 새로운 사회 변화 과정에서 효율적인 지방 통치를 위한 기본 자료의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편찬된 관찬 지리지이다. 영조대 각 군현에서 작성한 자료를 각 도의 감영을 통해 모아 성책한 것이기 때문에 기록 내용이 통일되지 않고 다양한 모습을 보인다. 대체로 각 군현에서 자료를 작성한 시기는 1760년대 전후로 추정되며 각 읍지의 호구(戶口)..

카테고리 없음 2024.06.08

보물 (제2248호) 예념미타도량참법 권6∼10

종 목보물 (제2248호)명 칭예념미타도량참법 권6∼10 (禮念彌陀道場懺法 卷六∼十)분 류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수량/면적5권1책지 정 일2024.02.21소 재 지경상남도 거제시 신부로4길 40 (장승포동, 총명사)시 대1474년(조선 성종 5) 판각, 후인소 유 자대한불교조계종 총명사 관 리 자대한불교조계종 총명사 문화재설명​『예념미타도량참법(禮念彌陀道場懺法)』은 극락왕생을 기원하며 죄업을 참회하고 염불할 때 행하는 「귀의서방삼보(歸依西方三寶)」・「극락장엄(極樂莊嚴)」・「발원왕생(發願往生)」 등 13편의 의례 절차가 수록된 10권본의 불교 의식집이다. 왕자성(王子成)이 결집한 이 책은 ‘미타참(彌陀懺)’으로 약칭되기도 하며, ‘정토문(淨土文)’이라 불리기도 한다.​총명사 소장 예념미타도량참법 권..

문화재/보물 2024.06.08

보물 (제2247호) 예념미타도량참법 권6∼10

종 목보물 (제2247호)명 칭예념미타도량참법 권6∼10 (禮念彌陀道場懺法 卷六∼十)분 류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수량/면적5권1책지 정 일2024.02.21소 재 지부산광역시 사상구 백양대로804번길 42-123 (덕포동) 선광사시 대1474년(조선 성종 5) 판각, 1483년(조선 성종 14) 인출소 유 자대한불교법화종 선광사 관 리 자대한불교법화종 선광사 문화재설명​『예념미타도량참법(禮念彌陀道場懺法)』은 극락왕생을 기원하며 죄업을 참회하고 염불할 때 행하는 「귀의서방삼보(歸依西方三寶)」・「극락장엄(極樂莊嚴)」・「발원왕생(發願往生)」 등 13편의 의례 절차가 수록된 10권본의 불교 의식집이다. 왕자성(王子成)이 결집한 이 책은 ‘미타참(彌陀懺)’으로 약칭되기도 하며, ‘정토문(淨土文)’이라 불리..

문화재/보물 2024.06.08

보물 (제2246호) 금강반야경소론찬요조현록

종 목보물 (제2246호)명 칭금강반야경소론찬요조현록 (金剛般若經疏論纂要助顯錄)분 류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수량/면적2권1책지 정 일2024.02.21소 재 지부산광역시 강서구 낙동남로 754-16 (녹산동) 수능엄사시 대1373년(고려 공민왕 22) 판각, 후인소 유 자재단법인 선학원 수능엄사 관 리 자재단법인 선학원 수능엄사 문화재설명​『금강반야경소론찬요조현록』은 구마라집(鳩摩羅什)의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한역본에 당나라 종밀(宗密)이 논소(論疏)를 붙여 찬술한 『금강반야경소론찬요(金剛般若經疏論纂要)』를 바탕으로 남송의 승려 혜정(慧定)이 쉽게 주해한 것이다. 『금강반야바라밀경』은 ‘금강반야경’, ‘금강경’으로 약칭되기도 하며 우리나라에서 널리 신봉되는 대표 불경으로 공혜(空慧)..

문화재/보물 2024.06.08

보물 (제2245호) ‘천수원’명 청동북

종 목보물 (제2245호)명 칭‘천수원’명 청동북 (‘薦壽院’銘 金鼓)분 류유물 / 불교공예 / 공양구수량/면적1구지 정 일2024.02.21소 재 지충청남도 아산시 충무로 123 (권곡동, 온양민속박물관)시 대1162년(고려 의종 16)소 유 자(재)구정문화재단 관 리 자온양민속박물관 문화재설명​사찰에서 사용하는 청동북은 부처님의 자비광명을 시각화한 것으로 둥근 형태 및 표면의 둥근 선들은 불법과 광명의 확산을 의미하는 것이다. 청동북은 각종 의례나 법회 등에서 대중을 규합하는 용도로 치기도 하지만, 그 울림소리를 통해 인간이 지은 잘못을 뉘우치게 하여 결국 깨달음에 이르게 해주는 종교적 기능도 가지고 있다​온양민속박물관 소장 ‘천수원’명 청동북은 표면을 굵고 가는 선을 통해 중심에서부터 당좌구→내구→..

문화재/보물 2024.06.08

보물 (제2244호) 칠곡 송림사 석조삼장보살좌상 및 목조시왕상 일괄

종 목보물 (제2244호)명 칭칠곡 송림사 석조삼장보살좌상 및 목조시왕상 일괄 (漆谷 松林寺 石造三藏菩薩坐像 및 木造十王像 一括)분 류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수량/면적존상 24구, 발원문 3점, 후령통 5점지 정 일2024.02.21소 재 지경상북도 칠곡군 송림길 73 (동명면, 대한불교조계종 송림사)시 대조선 현종6년(1665년)소 유 자대한불교조계종 송림사 관 리 자대한불교조계종 송림사 문화재설명​칠곡 송림사 석조삼장보살좌상 및 목조시왕상 일괄은 수조각승 승일(勝一)을 비롯, 성조(性照), 자규(自圭) 등의 조각승들이 1665년(현종 6) 완성해 송림사 명부전에 봉안한 것이다. 삼장보살은 천상, 지상, 지옥의 세계를 아우르는 개념으로 조선시대 사찰에서 봉행한 천도재의 하나인 수륙재에서 공양..

문화재/보물 2024.06.08

보물 (제2243호) 협주석가여래성도기

종 목보물 (제2243호)명 칭협주석가여래성도기 (夾註釋迦如來成道記)분 류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수량/면적1권 1책지 정 일2024.02.21소 재 지서울특별시 광진구시 대1253년(고려 고종 40)소 유 자이*** 관 리 자이*** 문화재설명​주석가여래성도기는 중국 당나라 때 왕발(王勃)이 지은 ?석가여래성도기?에 송나라 혜오대사(慧悟大師) 도성(道誠)이 주해를 붙인 주해서이다. 석가모니의 탄생・성장부터 깨달음과 열반에 이르는 일대기를 담고 있다. 이 자료는 1권 완질본으로 표지가 탈락되어 있으나 대체로 보존 상태가 양호하고, 본문에는 조선 초기의 구결과 함께 교정 또는 벽자(僻字)의 음을 표시한 묵서가 있다.​이 책은 권미제 아래 공란 부분에 ‘癸丑歲分司大藏都監重彫’라는 간행 정보가 양각되어 있..

문화재/보물 2024.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