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2 7

국가민속문화유산 (제306호) 하동 칠불사 아자방 온돌

종 목국가민속문화유산 (제306호)명 칭하동 칠불사 아자방 온돌 (河東 七佛寺 亞字房 溫突)분 류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지수량/면적일곽(468㎡)지 정 일2023.12.22소 재 지경상남도 하동군 범왕길 528 (화개면, 칠불사 아자방)시 대신라시대소 유 자대한불교조계종 칠불사관 리 자대한불교조계종 칠불사문화재설명​지리산 반야봉 남쪽 자락에 위치하고 있는 칠불사(七佛寺)는 대한불교조계종 13교구 본사인 쌍계사(雙溪寺)의 말사(末寺)로, 1세기경 가락국(駕洛國) 김수로왕(金首露王)의 일곱 왕자가 출가하여 성불하였던 암자인 칠불암(七佛庵)이 이어진 곳으로 전해지고 있다.​칠불사 경내에는 이른바, ‘아자방(亞字房)’으로 불리는 독특한 형태의 선방(禪房)이 있는데, 이는 스님들이 벽을 향해 수행할 수 있..

국가민속문화유산 (제305호) 남양주 16세기 여성 묘 출토복식

종 목국가민속문화유산 (제305호)명 칭남양주 16세기 여성 묘 출토복식 (南楊州 16世紀 女性 墓 出土服飾)분 류유물 / 생활공예 / 복식공예 / 의복수량/면적10점지 정 일2023.09.26소 재 지경기도 파주시 헤이리로 30 (탄현면, 국립민속박물관 파주)시 대조선시대(16세기)소 유 자국립민속박물관 파주 관 리 자국립민속박물관 파주문화재설명​○ 16세기 중기 복식 연구 자료로서 가치가 높으며, 당시의 복식과 장례 문화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귀중한 유물임​○ 특히 ‘직금사자흉배 운문단 접음단 치마’는 조선전기 연금사(撚金絲)로 비단 바탕에 무늬를 짜 넣어 만든 사자흉배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임. 16세기 단령이나 원삼 등 남녀 예복용 포에 사용했던 옷감을 하의인 치마에 활용하였다는 사..

천연기념물 (제578호) 영월 분덕재동굴

종 목천연기념물 (제578호)명 칭영월 분덕재동굴 (寧越 分德岾 洞窟)분 류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지구과학기념물 / 천연동굴수량/면적1개소지 정 일2024.02.19소 재 지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산 산 109외시 대신생대소 유 자영월군관 리 자영월군문화재설명​○ 영월 분덕재동굴은 터널공사 중 발견되어 보호 조치된 최초 사례로, 얇은 실 형태의 곡석 등 석회암동굴 중 가장 다양한 모양과 굵기의 곡석과 3m 길이에 달하는 종유관이 발달하고 있는 등 종유석, 석주, 유석, 석화 등의 다양하고 독특한 동굴 생성물과 용식공, 건열 등의 동굴 미지형이 원형대로 잘 보존되고 있음​○ 마차리층이 갖는 특성에 의한 동굴내부의 형태적 특징과 독특하고 다양한 동굴생성물의 분포가 넓은 등 희소성 및 차별성 ..

천연기념물 (제577호) 포항 금광동층 신생대 화석산지

종 목천연기념물 (제577호)명 칭포항 금광동층 신생대 화석산지 (浦項 金光洞層 新生代 化石産地)분 류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지구과학기념물 / 지질지형수량/면적201,199㎡지 정 일2023.12.28소 재 지경상북도 포항시시 대신생대소 유 자포항시 관 리 자포항시 문화재설명​○ 동해의 형성 및 확장과 관련된 신생대 퇴적층은 전기 마이오세 육성 퇴적층 및 화산암(효동리안산암, 범곡리층군, 장기층군)과 중기 마이오세 해성퇴적층(연일층군)으로 구분되며, 금광동층은 전기 육성 퇴적층임. 금광동층은 호수 퇴적층으로 눌대리응회암 상부에 정합적으로 퇴적되어 있으며, 금광동층 상부는 응회암 및 응회질 퇴적암으로 구성된 신정리층이 분포하고 있음. 따라서 금광동층은 화산 휴지기 동안 호수에서 퇴적된 퇴적암임.​○ 포..

천연기념물 (제576호) 부안 위도 진리 대월습곡

종 목천연기념물 (제576호)명 칭부안 위도 진리 대월습곡 (扶安 蝟島 鎭里 大月褶曲)분 류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지구과학기념물 / 지질지형수량/면적13,335㎡지 정 일2023.10.10소 재 지전라북도 부안군 위도면 진리 산 271시 대신생대소 유 자김***관 리 자부안군 문화재설명​○ 위도 대월습곡의 1) 다양한 주향을 보이는 정단층과 역단층이 모두 관찰되는 특징, 2) 이암과 사암의 경계에서 관찰되는 연질퇴적변형구조, 3) 방사성동위원소 분석에 의해 확인된 퇴적시기 (백악기, 8천7백만년 전 – 8천6백만년 전), 4) 습곡층 상, 하부에 나타나는 비변형 퇴적층은 대월습곡이 광역압축응력에 의해 형성된 습곡이 아님을 지시함.​○ 퇴적 이후, 퇴적층 내에서 사태(slumping)가 발생하게 되면 ..

천연기념물 (제575호) 포항 오도리 주상절리

종 목천연기념물 (제575호)명 칭포항 오도리 주상절리 (浦項 烏島里 柱狀節理)분 류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지구과학기념물 / 지질지형수량/면적3필지/12,022㎡지 정 일2023.08.17소 재 지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오도리 산 91 일원시 대신생대소 유 자산림청 관 리 자포항시 문화재설명​○ 오도리 주상절리는 신생대 제3기 연일층군(주로 해양 퇴적암으로 구성) 내부에 소규모로 분포하고 있는데, 이러한 특징은 포항 달전리에 연일층군을 관입하고 있는 달전현무암에 층서적으로 대비될 것으로 판단됨​○ 달전현무암이 약 14Ma(Ar-Ar 연령측정법)로 측정된 바 있어 오도리 주상절리도 이와 비슷한 시기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됨​○ 오도리 주상절리는 작은 수로들에 의해 최소 3~4개 정도의 작은 섬으로 ..

사적 (제573호) 탕춘대성

종 목사적 (제573호)명 칭탕춘대성 (蕩春臺城)분 류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수량/면적문화재구역 36필지 11,055㎡, 문화재보호구역 70필지 195,453㎡지 정 일2024.04.09소 재 지서울특별시 종로구 부암동 산 22-1 외 35필지시 대조선시대 (숙종 41년~영조 30년)소 유 자산림청관 리 자서울특별시 문화재설명​탕춘대성은 한양도성 서북쪽 인왕산 기차바위에서 시작해 북한산 향로봉 아래까지 이어지는 약 5㎞ 길이의 산성이다. 조선 후기 도성의 방어체계를 보여주는 독특한 구조의 방어성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숙종 28년인 1702년에 우의정 신완의 건의를 받아 1715년부터 성곽을 쌓기 시작했고 영조시대인 1754년 완성됐다.​탕춘대성은 도성 서쪽을 방어하면서 군량을 보관하고, 전..

문화재/사적 2024.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