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8 12

보물 (제2242호) 안동 선찰사 목조석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종 목보물 (제2242호)명 칭안동 선찰사 목조석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安東 仙刹寺 木造釋迦如來坐像 및 腹藏遺物)분 류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수량/면적불상 1구, 조성발원문 1점, 묵서편 1점, 저고리 1점, 후령통 일괄 5점지 정 일2023.12.26소 재 지경상북도 안동시 웃장터길 91-17 (길안면, 대한불교조계종 선찰사)시 대1622년(조선 광해군 14)소 유 자대한불교조계종 선찰사 관 리 자대한불교조계종 선찰사 문화재설명​‘안동 선찰사 목조석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은 수조각승 현진(玄眞)을 비롯해 응원(應元), 수연(守衍), 성인(性仁), 인균(印均) 등 당대 최고의 기량을 가진 조각승들이 대거 참여하여 1622년(광해군 14) 조성한 불상 및 복장유물이다. 복장에서 발견된 조성발원..

문화재/보물 2024.06.08

보물 (제2241호) 복재선생집

종 목보물 (제2241호)명 칭복재선생집 (復齋先生集)분 류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수량/면적2권1책지 정 일2023.12.26소 재 지경상남도 진주시 진주대로 501 (가좌동, 경상국립대학교 가좌캠퍼스) 고문헌도서관시 대1446년(조선 세종 28) 판각 및 인출소 유 자경상국립대학교관 리 자경상국립대학교 고문헌도서관문화재설명​‘복재선생집’은 조선 개국공신인 복재(復齋) 정총(鄭摠, 1358∼1397)의 유고 시문집이다. 황보량(皇甫良)이 지은 발문(跋文)에 이 책의 간행 경위가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는데, 1446년(세종 28) 그의 둘째 아들 정효충(鄭孝忠)이 수집・편차(編次)하고 손자인 정옥경(鄭沃卿)이 편집하여 강원도 관찰사(觀察使) 이선제(李先齊) 및 도사(都事) 정호연(鄭浩然)에게 ‘복재선생..

문화재/보물 2024.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