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1 19

사적 (제572-16호) 제5로 직봉 - 강화 망산 봉수 유적

종 목사적 (제572-16호)명 칭제5로 직봉 - 강화 망산 봉수 유적 (第5路 直烽 - 江華 望山 烽燧 遺蹟)분 류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 통신 / 봉수수량/면적▲지정구역 2필지(1,437㎡) ▲보호구역 1필지(2,103㎡)지 정 일2023.11. 22소 재 지인천광역시 강화군 내가면 외포리 산 131 일원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강화군관 리 자강화군문화재설명​조선시대 통신체계인 ‘봉수(烽燧)’는 약정된 신호 전달체계에 따라 밤에는 횃불로, 낮에는 연기로 외적의 침입 사실을 중앙의 병조와 지방의 읍치 등에 알리기 위해 설치되었으며, 남북의 주요 끝점에서 시작하여 서울 목멱산(현재의 남산)으로 집결하도록 하였다.​『증보문헌비고』(1908년)에 따르면 조선 후기에 중앙정부는 5개의 직봉, 23개의 간봉 노선..

문화재/사적 2024.06.11

사적 (제572-15호) 제5로 직봉 - 평택 괴태곶 봉수 유적

종 목사적 (제572-15호)명 칭제5로 직봉 - 평택 괴태곶 봉수 유적 (第5路 直烽 - 平澤 塊台串 烽燧 遺蹟)분 류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 통신 / 봉수수량/면적▲지정구역 1필지(1,535㎡) ▲보호구역 2필지(6,768㎡)지 정 일2023.11. 22소 재 지경기도 평택시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국유 관 리 자평택시문화재설명​조선시대 통신체계인 ‘봉수(烽燧)’는 약정된 신호 전달체계에 따라 밤에는 횃불로, 낮에는 연기로 외적의 침입 사실을 중앙의 병조와 지방의 읍치 등에 알리기 위해 설치되었으며, 남북의 주요 끝점에서 시작하여 서울 목멱산(현재의 남산)으로 집결하도록 하였다.​『증보문헌비고』(1908년)에 따르면 조선 후기에 중앙정부는 5개의 직봉, 23개의 간봉 노선을 운영하였으며, 전체 노선에는..

문화재/사적 2024.06.11

사적 (제572-14호) 제5로 직봉 - 천안 대학산 봉수 유적

종 목사적 (제572-14호)명 칭제5로 직봉 - 천안 대학산 봉수 유적 (第5路 直烽 - 天安 大鶴山 峰燧 遺蹟)분 류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 통신 / 봉수수량/면적▲지정구역 1필지(1,140㎡) ▲보호구역 2필지(4,466지 정 일2023.11. 22소 재 지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매당리 산 31-2 일원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산림청관 리 자천안시문화재설명​조선시대 통신체계인 ‘봉수(烽燧)’는 약정된 신호 전달체계에 따라 밤에는 횃불로, 낮에는 연기로 외적의 침입 사실을 중앙의 병조와 지방의 읍치 등에 알리기 위해 설치되었으며, 남북의 주요 끝점에서 시작하여 서울 목멱산(현재의 남산)으로 집결하도록 하였다.​『증보문헌비고』(1908년)에 따르면 조선 후기에 중앙정부는 5개의 직봉, 23개의 간..

문화재/사적 2024.06.11

사적 (제572-13호) 제5로 직봉 - 논산 노성산 봉수 유적

종 목사적 (제572-13호)명 칭제5로 직봉 - 논산 노성산 봉수 유적 (第5路 直烽 - 論山 魯城山 峰燧 遺蹟)분 류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 통신 / 봉수수량/면적▲지정구역 6필지(4,049㎡)지 정 일2023.11. 22소 재 지충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신충리 산 26 일원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산림청관 리 자논산시문화재설명​조선시대 통신체계인 ‘봉수(烽燧)’는 약정된 신호 전달체계에 따라 밤에는 횃불로, 낮에는 연기로 외적의 침입 사실을 중앙의 병조와 지방의 읍치 등에 알리기 위해 설치되었으며, 남북의 주요 끝점에서 시작하여 서울 목멱산(현재의 남산)으로 집결하도록 하였다.​『증보문헌비고』(1908년)에 따르면 조선 후기에 중앙정부는 5개의 직봉, 23개의 간봉 노선을 운영하였으며, 전체 노선에는..

문화재/사적 2024.06.11

사적 (제572-12호) 제5로 직봉 - 논산 황화대 봉수 유적

종 목사적 (제572-12호)명 칭제5로 직봉 - 논산 황화대 봉수 유적 (第5路 直烽 - 論山 皇華臺 烽燧 遺蹟)분 류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 통신 / 봉수수량/면적▲지정구역 3필지(1,757㎡) ▲보호구역 6필지(5,339㎡)지 정 일2023.11. 22소 재 지충청남도 논산시 강산동 산 81-2 일원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논산시관 리 자논산시문화재설명​조선시대 통신체계인 ‘봉수(烽燧)’는 약정된 신호 전달체계에 따라 밤에는 횃불로, 낮에는 연기로 외적의 침입 사실을 중앙의 병조와 지방의 읍치 등에 알리기 위해 설치되었으며, 남북의 주요 끝점에서 시작하여 서울 목멱산(현재의 남산)으로 집결하도록 하였다.​『증보문헌비고』(1908년)에 따르면 조선 후기에 중앙정부는 5개의 직봉, 23개의 간봉 노선을 ..

문화재/사적 2024.06.11

사적 (제572-11호) 제5로 직봉 - 부안 점방산 봉수 유적

종 목사적 (제572-11호)명 칭제5로 직봉 - 부안 점방산 봉수 유적분 류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 통신 / 봉수수량/면적▲지정구역 2필지(1,358㎡) ▲보호구역 1필지(5,330㎡)지 정 일2023.11. 22소 재 지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대항리 산 51 일원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산림청관 리 자부안군문화재설명​조선시대 통신체계인 ‘봉수(烽燧)’는 약정된 신호 전달체계에 따라 밤에는 횃불로, 낮에는 연기로 외적의 침입 사실을 중앙의 병조와 지방의 읍치 등에 알리기 위해 설치되었으며, 남북의 주요 끝점에서 시작하여 서울 목멱산(현재의 남산)으로 집결하도록 하였다.​『증보문헌비고』(1908년)에 따르면 조선 후기에 중앙정부는 5개의 직봉, 23개의 간봉 노선을 운영하였으며, 전체 노선에는 총 622개..

문화재/사적 2024.06.11

사적 (제572-10호) 제5로 직봉 - 영광 고도도 봉수 유적

종 목사적 (제572-10호)명 칭제5로 직봉 - 영광 고도도 봉수 유적 (第5路 直烽 - 靈光 古道島 烽燧 遺蹟)분 류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 통신 / 봉수수량/면적▲지정구역 2필지(1,076㎡) ▲보호구역 3필지(7,679㎡)지 정 일2023.11. 22소 재 지전라남도 영광군 백수읍 백암리 산 58 일원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산림청관 리 자영광군문화재설명​조선시대 통신체계인 ‘봉수(烽燧)’는 약정된 신호 전달체계에 따라 밤에는 횃불로, 낮에는 연기로 외적의 침입 사실을 중앙의 병조와 지방의 읍치 등에 알리기 위해 설치되었으며, 남북의 주요 끝점에서 시작하여 서울 목멱산(현재의 남산)으로 집결하도록 하였다.​『증보문헌비고』(1908년)에 따르면 조선 후기에 중앙정부는 5개의 직봉, 23개의 간봉 노선..

문화재/사적 2024.06.11

사적 (제572-9호) 제5로 직봉 - 무안 고림산 봉수 유적

종 목사적 (제572-9호)명 칭제5로 직봉 - 무안 고림산 봉수 유적 (第5路 直烽 - 務安 高林山 烽燧 遺蹟)분 류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 통신 / 봉수수량/면적▲지정구역 4필지(551㎡) ▲보호구역 2필지(2,960㎡)지 정 일2023.11. 22소 재 지전라남도 무안군 청계면 도대리 산 84 일원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산림청관 리 자무안군문화재설명​조선시대 통신체계인 ‘봉수(烽燧)’는 약정된 신호 전달체계에 따라 밤에는 횃불로, 낮에는 연기로 외적의 침입 사실을 중앙의 병조와 지방의 읍치 등에 알리기 위해 설치되었으며, 남북의 주요 끝점에서 시작하여 서울 목멱산(현재의 남산)으로 집결하도록 하였다.​『증보문헌비고』(1908년)에 따르면 조선 후기에 중앙정부는 5개의 직봉, 23개의 간봉 노선을 운..

문화재/사적 2024.06.11

사적 (제572-8호) 제5로 직봉 - 진도 첨찰산 봉수 유적

종 목사적 (제572-8호)명 칭제5로 직봉 - 진도 첨찰산 봉수 유적 (第5路 直烽 - 珍島 僉察山 烽燧 遺蹟)분 류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 통신 / 봉수수량/면적▲지정구역 1필지(1,829㎡) ▲보호구역 2필지(9,839㎡)지 정 일2023.11. 22소 재 지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사천리 산 1 일원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산림청관 리 자진도군문화재설명​조선시대 통신체계인 ‘봉수(烽燧)’는 약정된 신호 전달체계에 따라 밤에는 횃불로, 낮에는 연기로 외적의 침입 사실을 중앙의 병조와 지방의 읍치 등에 알리기 위해 설치되었으며, 남북의 주요 끝점에서 시작하여 서울 목멱산(현재의 남산)으로 집결하도록 하였다.​『증보문헌비고』(1908년)에 따르면 조선 후기에 중앙정부는 5개의 직봉, 23개의 간봉 노선을 ..

문화재/사적 2024.06.11

사적 (제572-7호) 제5로 직봉 - 해남 관두산 봉수 유적

종 목사적 (제572-7호)명 칭제5로 직봉 - 해남 관두산 봉수 유적 (第5路 直烽 - 海南 館頭山 烽燧 遺蹟)분 류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 통신 / 봉수수량/면적▲지정구역 2필지(1,414㎡) ▲보호구역 1필지(4,870㎡)지 정 일2023.11. 22소 재 지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 관동리 산 79-1 일원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해*** 관 리 자해남군문화재설명​조선시대 통신체계인 ‘봉수(烽燧)’는 약정된 신호 전달체계에 따라 밤에는 횃불로, 낮에는 연기로 외적의 침입 사실을 중앙의 병조와 지방의 읍치 등에 알리기 위해 설치되었으며, 남북의 주요 끝점에서 시작하여 서울 목멱산(현재의 남산)으로 집결하도록 하였다.​『증보문헌비고』(1908년)에 따르면 조선 후기에 중앙정부는 5개의 직봉, 23개의 간봉..

문화재/사적 2024.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