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9 11

사적 (제572-1호) 제5로 직봉 - 여수 돌산도 봉수 유적

종 목사적 (제572-1호)명 칭제5로 직봉 - 여수 돌산도 봉수 유적 (第5路 直烽 - 麗水 突山島 烽燧 遺蹟)분 류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 통신 / 봉수수량/면적▲지정구역 3필지(1,589㎡) ▲보호구역 3필지(4,444㎡)지 정 일2023.11. 22소 재 지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 둔전리 산 248 일원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산림청관 리 자여수시문화재설명​조선시대 통신체계인 ‘봉수(烽燧)’는 약정된 신호 전달체계에 따라 밤에는 횃불로, 낮에는 연기로 외적의 침입 사실을 중앙의 병조와 지방의 읍치 등에 알리기 위해 설치되었으며, 남북의 주요 끝점에서 시작하여 서울 목멱산(현재의 남산)으로 집결하도록 하였다.​『증보문헌비고』(1908년)에 따르면 조선 후기에 중앙정부는 5개의 직봉, 23개의 간봉 노선..

문화재/사적 2024.06.09

사적 (제571호) 장수 침령산성

종 목사적 (제571호)명 칭장수 침령산성 (長水 砧嶺山城)분 류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수량/면적7필지 29,150㎡지 정 일2023.08.02소 재 지전라북도 장수군 계남면 침곡리 1090-1시 대삼국~고려소 유 자장수군관 리 자장수군문화재설명​「장수 침령산성」은 둘레 497m의 산성으로 7세기 초 백제가 축조한 후 고려 초기까지 사용했으며, 낙동강 유역의 신라세력과 금강 유역의 백제 세력의 접경지역에 위치한 전략적 요충지였다.​‘침령’은 침령산성이 위치한 고개의 지명으로 「만기요람」, 「대동지지」, 「해동지도」, 「대동여지도」등의 문헌자료에 ‘침치’, ‘침치고성’, ‘침령’ 으로 기록된 바 있으며, 현재는 침령산성으로 불린다.​침령산성은 2005년 정밀지표조사를 시작으로 2014년부터 ..

문화재/사적 2024.06.09

보물 (제2261호) 남원 대복사 동종

종 목보물 (제2261호)명 칭남원 대복사 동종 (南原 大福寺 銅鍾)분 류유물 / 불교공예 / 의식법구수량/면적1구지 정 일22024.04.25소 재 지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대복사길 61 (왕정동, 대복사)시 대1635년(조선 인조 13)소 유 자대한불교조계종 대복사 관 리 자대한불교조계종 대복사 문화재설명​남원 대복사 동종은 몸체에 새겨져 있는 주종기를 통해 승려 장인인 정우(淨祐)가 신원(信元) 등 7명과 함께 1635년(조선 인조 13) 제작하였음을 명확히 알 수 있는 동종이다. 이 동종은 처음 영원사에 봉안하기 위해 제작되었다가 영원사가 폐사되면서 이후 현재의 봉안 사찰인 남원 대복사로 이안된 것으로 여겨진다.​동종의 제작을 주도한 정우와 신원은 17세기 전반에 재건 불사가 진행되는 경기도, 충청..

문화재/보물 2024.06.09

보물 (제2260호) 김홍도 필 서원아집도 병풍

종 목보물 (제2260호)명 칭김홍도 필 서원아집도 병풍 (金弘道 筆 西園雅集圖 屛風)분 류유물 / 일반회화수량/면적1좌(6폭)지 정 일22024.04.25소 재 지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국유관 리 자국립중앙박물관문화재설명​김홍도 필 서원아집도 병풍은 1778년(조선 정조 2) 김홍도가 그린 작품으로 북송(北宋) 영종(英宗, 재위 1063∼1067)의 부마 왕선(王詵)이 수도 개봉(開封)에 있던 자신의 집 서원(西園)에서 1087년경에 소식(蘇軾)과 이공린(李公麟), 미불(米芾) 등의 여러 문인들과 함께 다양한 문예활동을 즐겼던 ‘서원아집(西園雅集)’을 주제로 한 것이다. 17세기 이래 조선에 유입된 명대 구영(仇英)의 작품에서 도상을 차용하였..

문화재/보물 2024.06.09

보물 (제2259호) 서산 문수사 극락보전

종 목보물 (제2259호)명 칭서산 문수사 극락보전 (瑞山 文殊寺 極樂寶殿)분 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수량/면적1동지 정 일2024.04.02소 재 지충청남도 서산시 문수골길 201 (운산면, 문수사)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문수사 관 리 자문수사 문화재설명​서산 문수사는 1973년 충남 문화유산 발굴조사 시 발견된 문수사 금동여래좌상의 복장유물인 발원문을 통해 금동여래좌상이 1346년(고려 충목왕 2)에 조성되었고, 문수사는 적어도 고려 말 이전부터 존재한 사찰임을 알 수 있다. 이후 1619년(광해군 11)에 편찬된 「호산록」에서 사찰의 화재로 1동만 남았다는 기록 등을 통해 고찰로써의 명맥을 현재까지 유지하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서산 문수사 극락보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

문화재/보물 2024.06.09

보물 (제2258호) 김천 직지사 천왕문

종 목보물 (제2258호)명 칭김천 직지사 천왕문 (金泉 直指寺 天王門)분 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문수량/면적1동지 정 일2024.04.02소 재 지경상북도 김천시 직지사길 95 (대항면)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직지사 관 리 자직지사 문화재설명​「김천 직지사 천왕문」은 고려말에서 조선초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며, 1596년(선조 29) 임진왜란 때 왜적의 방화로 직지사 모든 건물이 소실되었으나, 천불전, 자하문과 함께 피해를 입지 않고 유지되어 오다 1665년(현종 6) 사천왕상을 새로 조성하기 이전에 중건(重建)한 것으로 추정된다.​구조로는 정면 3칸, 측면 3칸으로 보은 법주사 천왕문 다음으로 큰 규모를 가지고 있으며, 어칸은 통로로 사용되고, 좌·우 협칸에는 1665년(현종 6) 전라도..

문화재/보물 2024.06.09

보물 (제2257호) 포항 보경사 천왕문

종 목보물 (제2257호)명 칭포항 보경사 천왕문 (浦項 寶鏡寺 天王門)분 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문수량/면적1동지 정 일2024.04.02소 재 지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보경로 523 (송라면, 보경사)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보경사 관 리 자보경사 문화재설명​「포항 보경사 천왕문」은 창건에 대한 기록은 없으나, 의민스님이 지은 에 의해 1679년(숙종 5) 중창한 후, 1761~1767년(영조 37~43)에 중건(重建)한 것으로 확인되며, 17세기 이후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사찰 천왕문의 조성과 시기적 변화양상을 살필 수 있는 사례로 역사적 가치가 있다.​구조로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단층 팔작지붕으로 가운데 칸은 통로칸으로 삼고, 쌍여닫이 띠장널문을 달았는데, 진입영역의 산문(山門)이라기..

문화재/보물 2024.06.09

보물 (제2256호) 영광 불갑사 천왕문

종 목보물 (제2256호)명 칭영광 불갑사 천왕문 (靈光 佛甲寺 天王門)분 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문수량/면적1동지 정 일2024.04.02소 재 지전라남도 영광군 불갑사로 450 (불갑면)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불갑사 관 리 자불갑사 문화재설명​「영광 불갑사 천왕문」은 창건년대는 명확하지 않으나, 이건(移建)에도 불구하고 건립당시의 모습을 잘 유지하고 있어 역사적, 학술적 가치가 높다.​구조로는 정면 3칸, 측면 2칸, 5량가, 겹처마, 맞배지붕으로 양 협칸에는 우물마루를 두고 사천왕상을 안치하였다. 대량(大梁)은 2개의 부재를 이어 사용한 합보로 이음부는 꺽쇠로 보강하고 하부에는 심주(心柱)를 세워 받쳤는데, 다른 사문(寺門)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구조 기법으로 학술적인 가치가 있다...

문화재/보물 2024.06.09

보물 (제2255호) 구례 화엄사 천왕문

종 목보물 (제2255호)명 칭구례 화엄사 천왕문 (求禮 華嚴寺 天王門)분 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문수량/면적1동지 정 일2024.04.02소 재 지전라남도 구례군 화엄사로 539 (마산면)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화엄사 관 리 자화엄사 문화재설명​「구례 화엄사 천왕문」은 고려 후기에 처음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임진왜란 이후 소실되었던 것을 벽암각성(碧巖覺性 1575~1660)에 의해 1636년(인조 14)에 중창된 것으로 기록에 의해 확인된다. 또한 화엄사로 진입하는 일주문-금강문-천왕문의 구성은 당대의 시대상을 반영함과 동시에 우리나라 중세사원제도에서 경계와 입구를 상징하는 보편성을 보여주고 있어 역사적 가치가 있다.​구조로는 정면 3칸, 측면 3칸, 겹처마, 맞배지붕 건물로 좌·우 ..

문화재/보물 2024.06.09

보물 (제2254호) 순천 송광사 사천왕문

종 목보물 (제2254호)명 칭순천 송광사 사천왕문 (順天 松廣寺 四天王門)분 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문수량/면적1동지 정 일2024.04.02소 재 지전라남도 순천시 송광사안길 100 (송광면)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송광사 관 리 자송광사 문화재설명​「순천 송광사 사천왕문」은 최초 창건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알 수 없으나, “송광사 사천왕문 중창 상량문(松廣寺 四天王門 重創 上梁文 1612)”과 2004년 사천왕문 해체보수 과정에서 확인된 상량묵서를 통해 1612년(광해군 1) 중창(重創)된 것이 확인되며, 1951년 송광사 대화재 시에 재난을 피한 건물로 건립연대가 명확하여 역사적, 학술적 가치가 높다.​사천왕문은 정면 3칸, 측면 3칸, 2고주, 5량가 다포계 맞배건물로 계류(溪流)인 ..

문화재/보물 2024.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