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8376

보물 (제2172호) 장조 태봉도

종 목 보물 (제2172호) 명 칭 장조 태봉도 (莊祖 胎封圖) 분 류 유물 / 일반회화 / 산수화 수량/면적 1폭 지 정 일 2022.08.26 소 재 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 시 대 1785년(정조 9) 경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재설명 ‘장조 태봉도’는 1785년(정조 9) 제작된 것으로, 정조(正祖)의 아버지 사도세자(1735∼1762, 후에 장조로 추존)의 태실(胎室)을 그린 산수도(山水圖)이다. 장조는 1735년 1월에 태어난 후, 윤4월에 경상북도 예천군 상리면 명봉리 명봉사 뒤편에 태실을 만들어 태를 모셨다. 이후 정조의 사도세자 추숭에 따라 1785년 왕에 해당하는 태실가봉(胎室加封)으로 격상하여 난간석(欄干石) 등 석물..

문화재/보물 2023.04.16

보물 (제2171호) 경주 옥산서원 무변루

종 목 보물 (제2171호) 명 칭 경주 옥산서원 무변루 (慶州 玉山書院 無邊樓) 분 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서원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2022.07.29 소 재 지 경상북도 경주시 옥산서원길 216-27 (안강읍) 시 대 조선 16세기 소 유 자 옥산서원 관 리 자 옥산서원 문화재설명 경주 옥산서원 무변루는 『옥산서원기(玉山書院記)』(1574)에서 1572년에 서원 초창 당시부터 누각으로 건립되었으며, 납청루(納淸樓)라 불렸다고 한다. 이후 노수신이 제액을 찬하면서 무변루(無邊樓)로 명칭을 고쳐 지었다. 무변루에 설치된 기와 중에서 1674년(숭정 38), 1782년(건륭 47), 1839년(도광 기해) 명문이 확인되고 있으므로 이때에도 중수하였을 것이고, 이후 1844년에도 ..

문화재/보물 2023.04.16

보물 (제569호 추가-5) 안중근의사 유묵 – 세심대

종 목 보물 (제569호 추가-5) 명 칭 안중근의사 유묵 – 세심대 (安重根義士 遺墨 - 洗心臺) 분 류 기록유산 / 서간류/ 서예/ 서예 수량/면적 1폭 지 정 일 2022.06.23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시 대 1910년 3월 소 유 자 장*** 관 리 자 장*** ​일반설명 ‘안중근의사 유묵 - 세심대’는 안중근의사(1879∼1910)가 중국의 여순감옥(旅順監獄)에 투옥 중이던 1910년 3월에 쓴 글씨로, 누구에게 써 준 것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중앙에 ‘세심대(洗心臺)’라는 3글자를 우종서(右縱書)로 썼고, 왼쪽에는 작은 글씨로 2행에 ‘경술삼월 여순감옥에서 대한국인 안중근 쓰다(庚戌三月 於旅順獄中 大韓國人 安重根 書)’라고 방서(傍書)한 다음 아래에는 손바닥 도장인 장인(掌印)을 찍었..

문화재/보물 2023.04.16

보물 (제569호 추가-4) 안중근의사 유묵 - 지사인인살신성인

종 목 보물 (제569호 추가-4) 명 칭 안중근의사 유묵 - 지사인인살신성인 (安重根義士遺墨 - 志士仁人殺身成仁) 분 류 기록유산 / 서간류/ 서예/ 서예 수량/면적 1폭 지 정 일 2022.06.23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198 (세종로,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시 대 1910년 3월 소 유 자 안중근의사숭모회 관 리 자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일반설명 ‘안중근의사 유묵 - 지사인인살신성인’은 안중근의사(1879∼1910)가 중국의 여순감옥(旅順監獄)에 투옥 중이던 1910년 3월에 쓴 글씨이다. 글씨는 중앙에 ‘지사인인살신성인(志士仁人殺身成仁)’이라는 여덟 글자를 1행의 해서에 가까운 서체로 썼고, 왼쪽에 작은 글씨로 1행의 ‘경술년(1910) 3월 여순 감옥에서 대한국인 안중근 쓰다(..

문화재/보물 2023.04.16

보물 (제569호 추가-3) 안중근의사 유묵-황금백만냥불여일교자

종 목 보물 (제569호 추가-3) 명 칭 안중근의사 유묵-황금백만냥불여일교자 (安重根義士 遺墨 - 黃金百萬兩 不如一敎子) 분 류 기록유산 / 서간류/ 서예/ 서예 수량/면적 1폭 지 정 일 2022.06.23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198 (세종로,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시 대 1910년 3월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일반설명 ‘안중근의사 유묵 - 황금백만냥불여일교자’는 안중근의사(1879∼1910)가 중국의 여순감옥(旅順監獄)에 투옥 중이던 1910년 3월에 쓴 글씨이다. 글씨는 중앙에 ‘황금백만냥 불여일교자(黃金百萬兩 不如一敎子)’라는 열 글자를 1행에 해행서(楷行書, 해서와 행서를 섞어 쓴 글씨)로 썼고, 왼쪽에 작은 글씨로 1행에 ‘경술삼월 여순감옥에서 대한..

문화재/보물 2023.04.16

보물 (제569호 추가-2) 안중근의사 유묵 – 일통청화공

종 목 보물 (제569호 추가-2) 명 칭 안중근의사 유묵 – 일통청화공 (安重根義士 遺墨 - 日通淸話公) 분 류 기록유산 / 서간류/ 서예/ 서예 수량/면적 1폭 지 정 일 2022.06.23 소 재 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 시 대 1910년 3월 소 유 자 이*** 관 리 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일반설명 ‘안중근의사 유묵 - 일통청화공’은 안중근의사(1879∼1910)가 중국의 여순감옥(旅順監獄)에 투옥 중이던 1910년 3월에 쓴 글씨이다. 세로 41.0cm, 가로 74.3cm의 장방형 형태의 유묵으로, 흰 비단에 먹으로 썼다. 글씨는 상관(上款)ㆍ본문ㆍ하관(下款) 세 부분으로 나누어 썼다. 본문 오른쪽 상관(上款)에 ‘증청전선생(贈淸田先生)’이란 다섯 글..

문화재/보물 2023.04.15

보물 (제569호 추가-1) 안중근의사 유묵 – 인무원려필유근우

종 목 보물 (제569호 추가-1) 명 칭 안중근의사 유묵 – 인무원려필유근우 (安重根義士 遺墨 - 人無遠慮必有近憂) 분 류 기록유산 / 서간류/ 서예/ 서예 수량/면적 1폭 지 정 일 2022.06.23 소 재 지 경기도 구리시 시 대 1910년 3월 소 유 자 사유 관 리 자 김*** ​일반설명 ‘안중근의사유묵 - 인무원려필유근우’는 안중근 의사(1879∼1910)가 중국의 여순감옥(旅順監獄)에서 순국하기 전인 1910년 3월에 쓴 글씨로, 대련세관(大連稅關)에 근무하던 카미무라 쥬덴[上村重傳, 1871∼1943]에게 써준 것으로 추정된다. 형태는 세로가 긴 축장(軸裝)으로, 글씨는 중앙에 ‘인무원려필유근우(人無遠慮必有近憂)’라는 여덟 글자를 1행의 해행서(楷行書, 해서와 행서가 섞인 글자)로 썼고,..

문화재/보물 2023.04.15

보물 (제2170호) 경국대전 권4∼6

종 목 보물 (제2170호) 명 칭 경국대전 권4∼6 (經國大典 卷四∼六)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활자본 / 금속활자본 수량/면적 2책 지 정 일 2022.06.23 소 재 지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창룡대로 21 (매향동, 수원화성박물관) 시 대 조선 16세기 소 유 자 공유 관 리 자 수원화성박물관 문화재설명 『경국대전(經國大典)』은 조선의 통치체제의 대강을 규정한 최고의 성문법전이다. 1455년(세조 즉위) 최항(崔恒)ㆍ노사신(盧思愼)ㆍ서거정(徐居正) 등에게 편찬할 것을 명하자 몇 차례의 수정과 증보를 거쳐, 1485년(성종 16) 소위 “을사대전(乙巳大典)”이 완성되었다. 경국대전은 완성 이후 조선 말기까지 조선의 가장 기본이 된 법전으로서 조문의 수정 없이 적용되었다. 따라서 조선 전기의 ..

카테고리 없음 2023.04.15

보물 (제2169호) 경국대전 권1∼3

종 목 보물 (제2169호) 명 칭 경국대전 권1∼3 (經國大典 卷一∼三)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활자본 / 금속활자본 수량/면적 2책 지 정 일 2022.06.23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 (반포동, 국립중앙도서관) 시 대 조선 16세기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국립중앙도서관 문화재설명 『경국대전(經國大典)』은 조선의 통치체제의 대강을 규정한 최고의 성문법전이다. 1455년(세조 즉위) 최항(崔恒)ㆍ노사신(盧思愼)ㆍ서거정(徐居正) 등에게 편찬할 것을 명하자 몇 차례의 수정과 증보를 거쳐, 1485년(성종 16) 소위 “을사대전(乙巳大典)”이 완성되었다. 경국대전은 완성 이후 조선 말기까지 조선의 가장 기본이 된 법전으로서 조문의 수정 없이 적용되었다. 따라서 조선 전기의 법..

문화재/보물 2023.04.15

보물 (제2168호) 경국대전 권1∼2

종 목 보물 (제2168호) 명 칭 경국대전 권1∼2 (經國大典 卷一∼二)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활자본 / 금속활자본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2.06.23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시 대 조선 16세기 소 유 자 삼성출판(주) 관 리 자 삼성출판박물관 문화재설명 『경국대전(經國大典)』은 조선의 통치체제의 대강을 규정한 최고의 성문법전이다. 1455년(세조 즉위) 최항(崔恒)ㆍ노사신(盧思愼)ㆍ서거정(徐居正) 등에게 편찬할 것을 명하자 몇 차례의 수정과 증보를 거쳐, 1485년(성종 16) 소위 “을사대전(乙巳大典)”이 완성되었다. 경국대전은 완성 이후 조선 말기까지 조선의 가장 기본이 된 법전으로서 조문의 수정 없이 적용되었다. 따라서 조선 전기의 법제사・제도사의 연구에 있어 핵심이 ..

문화재/보물 2023.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