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8376

보물 (제2159호) 앙부일구

종 목 보물 (제2159호) 명 칭 앙부일구(2022-1) (仰釜日晷(2022-1)) 분 류 유물 / 과학기술 / 천문지리기구 / 천문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2.02.22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로 12 (세종로, 국립고궁박물관)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국립고궁박물관 일반설명 ‘앙부일구(仰釜日晷)’는 앙부일영(仰釜日影)으로도 쓰며, 솥이 하늘을 바라보는 듯한 모습을 한 해시계라는 의미이다. 1434년(세종 16) 장영실(蔣英實), 이천(李蕆), 이순지(李純之) 등이 왕명에 따라 처음 만들었으며, 그 해 10월 종묘 앞과 혜정교(惠政橋)에 각 1대씩 설치하였다. 그 후 조선 말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궁궐과 관공서에 널리 보급되었다. 조선 초기에 제작된 앙부일구..

문화재/보물 2023.04.15

보물 (제2158호) 거제 기성관

종 목 보물 (제2158호) 명 칭 거제 기성관 (巨濟 岐城館) 분 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관아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2021.12.27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거제시 일반설명 「거제 기성관」은 거제현 및 거제도호부의 객관으로서 1665년(현종 6) 창건 이래, 1726년(영조 2), 1801년(순조 1), 1892년(고종 29)의 중수를 거쳐 1909년경까지 기능을 유지하였다. 이후 20세기 초 객사의 제사가 철폐되면서 보통학교의 교사로 전용되어 사용되다가 일부 중수를 거쳐 현재에 이른다. 2007년에는 질청 및 관아 터와 함께 사적 「거제현 관아」로 지정되었다. 1974년의 해체수리 시에 종도리 아래에서 창건시의 상량묵서와 함께, 3건의 상량문이 발견되었..

문화재/보물 2023.04.15

보물 (제2157호) 원주 강원감영 선화당

종 목 보물 (제2157호) 명 칭 원주 강원감영 선화당 (原州 江原監營 宣化堂) 분 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관아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2021.12.27 소 재 지 강원도 원주시 원일로 77 (일산동)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원주시 일반설명 「원주 강원감영 선화당」은 조선시대 강원도 감영의 정당(正堂)으로서 중앙에서 파견된 관찰사가 정무를 보던 공간이다. 특히 강원감영 선화당은 정문인 포정문도 원형으로 남아있어 조선시대 감영의 구성 중 핵심적인 공간인 진입공간의 위계를 보존하고 있는 유일한 감영이다. 기록상 1665~1667년에 건립된 것으로 전해지는 강원감영 선화당은 정면 7칸 측면 4칸의 평면에, 가구는 2고주 7량가이며, 팔작지붕 겹처마에 양성을 하였..

문화재/보물 2023.04.15

보물 (제2156호) 강릉 칠사당

종 목 보물 (제2156호) 명 칭 강릉 칠사당 (江陵 七事堂) 분 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관아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2021.12.27 소 재 지 강원도 강릉시 경강로 2045 (명주동, 칠사당)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강릉시 일반설명 「강릉 칠사당」은 강릉대도호부 관아 구역 내에 있으며, 조선시대 지방 수령의 집무처로 사용되어 온 건물로, 칠사당이라는 명칭은 조선시대 수령의 주요 업무가 칠사(七事)로 규정되었던 데서 연유하여 명명한 것으로 보인다. 칠사란 농사, 호구, 교육 병무, 세금, 재판, 풍속을 말한다. 칠사당의 최초 건립연대는 확실치 않으나, 1632년(인조 10)에 중건하고, 1726년(영조 2)에 확장‧중수하였으며, 이후 1867년(고종 4)..

문화재/보물 2023.04.15

보물 (제2155호) 안성 객사 정청

종 목 보물 (제2155호) 명 칭 안성 객사 정청 (安城 客舍 正廳) 분 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관아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2021.12.27 소 재 지 경기도 안성시 보개면 양복리 238-2 시 대 고려말~조선초기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안성시 일반설명 안성 객사는 공민왕 12년(1363) 이전에 건립된 이후 조선후기에 지붕기와를 바꾸었고, 근대기인 1931년, 1995년 2차에 걸쳐 이건했음에도 항아리형 보와 포작의 구성법, 첨차의 형태 등이 고려말의 건축적 수법을 간직하고 있다. 따라서 고려시대 건립된 객사로 현존하는 객사 건축 중에서 가장 오래 되었다. 일반적인 지방의 객사들과 마찬가지로 1908년 안성 객사를 수리하여 교사로 사용하게 되었다. 이때 부속건물은 모두..

문화재/보물 2023.04.15

보물 (제2154호) 남한산성 연무관

종 목 보물 (제2154호) 명 칭 남한산성 연무관 (南漢山城 演武館) 분 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시설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2021.12.27 소 재 지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400-1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경기도 남한산성세계유산센터 일반설명 「남한산성 연무관」은 남한산성을 수축하던 시기인 1625년(인조 3)에 창건되어, 그 직후 1626년에 창설된 중앙 군영인 수어청의 중심 건물로, 1795년 수어청의 경청이 폐지된 이후 수어청의 본영이자 광주유수의 집무처로 사용되었다. 창건 이래 세 번에 걸친 중수의 기록을 상량묵서와 상량문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편액에 있는 연기는 1762년(영조 2)의 것이다. 건축적 특징을 보면 규모는 ..

문화재/보물 2023.04.15

보물 (제2153호) 남한산성 수어장대

종 목 보물 (제2153호) 명 칭 남한산성 수어장대 (南漢山城 守禦將臺) 분 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시설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2021.12.27 소 재 지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815-1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경기도 남한산성세계유산센터 일반설명 「남한산성 수어장대」는 남한산성 서쪽의 청량산 정상에 성의 내외를 모두 굽어 볼 수 있는 군사적 요충에 위치하며, 남한산성의 축조 때부터 성내를 지휘하는 장대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1751년(영조 27) 중층의 장대를 건축하고, 안에는 무망루, 밖에는 서장대라 편액 하였고 현재의 건물은 1836년(헌종 1) 개건된 것이며, 이 때 지금의 ‘수어장대’란 현판을 써서 달았다. 건축적 특징은 하층은 정면 ..

문화재/보물 2023.04.15

보물 (제2152호) 대구 경상감영 선화당

종 목 보물 (제2152호) 명 칭 대구 경상감영 선화당 (大邱 慶尙監營 宣化堂) 분 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관아 수량/면적 3동 지 정 일 2021.12.27 소 재 지 대구광역시 중구 경상감영길 99 (포정동, 감영공원)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대구광역시 중구청 일반설명 「대구 경상감영 선화당」은 조선시대 지방관아 중 최상위 관직자였던 종2품 관찰사가 파견된 감영(監營) 중 경상도 감영의 정당(正堂)을 말한다. 선화당은 1807년에 중건된 이후 몇 차례의 수리를 거치면서 다소 규모의 변화가 보이나 대체로 건립 당시의 건축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경상감영 선화당의 공포와 부재 가공기법은 전반적으로 1807년 중건 시기를 잘 반영하고 있어 조선..

문화재/보물 2023.04.15

보물 (제2151호) 종친부 경근당과 옥첩당

종 목 보물 (제2151호) 명 칭 종친부 경근당과 옥첩당 (宗親府 敬近堂과 玉牒堂) 분 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관아 수량/면적 3동 지 정 일 2021.12.27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 30 (소격동)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문화재청 경복궁관리소 일반설명 「종친부 경근당과 옥첩당」은 조선시대 관공서 중 최고 등급인 정1품아문의 하나인 종친부(宗親府)의 중심건물로, 관아건축이면서 궁궐건축의 격식을 갖춘 건물이다. 흥선대원군 집권 당시 왕권강화의 일환으로 종친부의 권한과 조직을 확대하면서 종친부 건물이 대규모로 늘어날 당시 중건(1866)되었다. 경근당(敬近堂)은 대군, 왕자군 등 종친들의 대청으로 종친부의 중심 건물로서, 좌우로 각각 옥첩당(玉牒堂)과..

문화재/보물 2023.04.15

보물 (제2150호) 서울 흥천사 비로자나불 삼신괘불도

종 목 보물 (제2150호) 명 칭 서울 흥천사 비로자나불 삼신괘불도 (서울 興天寺 毘盧遮那佛 三身掛佛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괘불화 / 삼신불도 수량/면적 괘불도 1폭, 복장낭 1건 3점, 괘불함 1점 지 정 일 2021.12.22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흥천사 관 리 자 흥천사 일반설명 ‘서울 흥천사 비로자나불 삼신괘불도’는 1832년(순조 32)에 수화승 화담신선(華潭慎善)을 비롯해 총 17명의 화승이 조성한 불화이다. 화담신선은 1790년 용주사 불화를 주도했던 상겸, 민관, 연흥 등 서울경기 지역 화원들의 화풍을 계승한 인물로, 19세기 경성화파(京城畵派)를 대표한 화승이다. 이 괘불도는 1832년 순조(재위 1800∼1834)와 왕비, 효명세자의 부인과..

문화재/보물 2023.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