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8376

보물 (제2202호) 구례 천은사 일주문

종 목 보물 (제2202호) 명 칭 구례 천은사 일주문 (求禮 泉隱寺 一柱門)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문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2022.12.28 소 재 지 전라남도 구례군 광의면 방광리 산 1-1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천은사 관 리 자 천은사 문화재설명 ​ 「구례 천은사 일주문」이 위치한 천은사는 신라 헌강왕때 연기(烟起 또는 緣起)조사가 창건했다는 설과 신라 흥덕왕때 덕운(德雲)조사가 창건했다는 설이 있다. 일주문은 사찰의 최근(2015년) 사적기(事蹟記)에 따르면 1723년에 창건되었다고 한다. 일주문의 이름은 알 수 없지만(曺溪門이라는 기록이 있으나 일주문을 의미하는지는 불확실) 앞쪽에는 원교 이광사(圓嶠 李匡師, 1705~1775)가 쓴‘지리산천은사(智異山泉隱寺)’..

문화재/보물 2023.04.17

보물 (제2201호) 문경 봉암사 봉황문

종 목 보물 (제2201호) 명 칭 문경 봉암사 봉황문 (聞慶 鳳巖寺 鳳凰門)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문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2022.12.28 소 재 지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627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봉암사 관 리 자 봉암사 문화재설명 ​ 「문경 봉암사 봉황문」이 위치한 봉암사는 신라시대 말기에 지증도헌(智證道憲) 선사에 의해 창건되었다. 봉황문에 대한 창건 기록은 없으나 대체로 1723년 이전으로 보인다. 일주문 앞쪽에는 희양산봉암사(曦陽山鳳巖寺)라는 현판이 걸려 있고, 뒤쪽에는 봉황문(鳳凰門)이라는 현판이 걸려있다. ​ 봉암사 봉황문은 5량가의 단칸 맞배지붕과 주상포, 주간포의 다포식 공포로 되어있다. 축부(軸部)는 문경지역에 편중된 궁판형(기둥 중간과 ..

문화재/보물 2023.04.17

보물 (제2200호) 순천 선암사 일주문

종 목 보물 (제2200호) 명 칭 순천 선암사 일주문 (順天 仙巖寺 一柱門)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문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2022.12.28 소 재 지 전라남도 순천시 선암사길 450 (승주읍, 선암사)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선암사 관 리 자 선암사 문화재설명 ​ 「순천 선암사 일주문」이 위치한 선암사는 통일신라시대 도선국사가 창건했다는 설과 신라시대 아도화상이 창건했다는 설이 있다. 조계문으로도 불리는 일주문에 대한 기록은 1540년 중창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현 일주문 앞쪽에는 ‘조계산선암사(曹溪山仙巖寺)’라는 현판이 뒤쪽에는 ‘고청량산해천사*(古淸涼山海川寺)’ 현판이 걸려있다. ​ * 1759년 화재 이후 선암사에서 해천사로 이름을 바꾸었다가 1823년 다시 선암..

문화재/보물 2023.04.17

보물 (제2199호) 이봉창 의사 선서문

종 목 보물 (제2199호) 명 칭 이봉창 의사 선서문 (李奉昌 義士 宣誓文) 분 류 등록문화재 / 기타 / 동산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2.12.27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동6가 168-6 국립중앙박물관 시 대 1931년 12월 13일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재설명 ​ ‘이봉창 의사 선서문(李奉昌 義士 宣誓文)’은 1931년 12월 13일에 작성된 것으로 이봉창 의사(1900∼1932)가 일본에 대한 의거를 다짐한 국한문혼용의 선서문이다. 이 선서문은 김구(金九)가 결성한 항일독립운동단체인 한인애국단(韓人愛國團)에 제출된 것이다. 1931년 12월 13일 서명을 마친 이봉창 의사는 같은 날 안중근 의사의 막내동생이자 한인애국단 임원이었던 안공근(安恭根)의 집에서..

문화재/보물 2023.04.17

보물 (제2198호)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66

종 목 보물 (제2198호) 명 칭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66 (初雕本 瑜伽師地論 卷六十六)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수량/면적 1책(1권) 지 정 일 2022.12.27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용산동6가, 국립한글박물관) 시 대 고려 11세기 경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국립한글박물관 문화재설명 ​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은 중국 당나라 때 현장(玄奘)이 한역한 것으로 모두 100권으로 구성되었으며, 미륵보살이 4개월 동안 매일 설법한 내용이라고 한다. 내용은 유가(瑜伽)를 행하는 사람의 수행 단계와 유식학(唯識學)과 관련된 용어를 풀이하였으며, 대승불교의 근본 사상을 이룬다. ​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66’은 전 100권 중에 권66에 해당하는..

문화재/보물 2023.04.17

보물 (제2197호) 불조역대통재

종 목 보물 (제2197호) 명 칭 불조역대통재 (佛祖歷代通載)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수량/면적 14책(22권) 지 정 일 2022.12.27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9길 15-14 (사직동, 종로도서관) 시 대 1472년(성종 3) 소 유 자 서울특별시 관 리 자 서울특별시교육청 종로도서관 문화재설명 ​ ‘불조역대통재(佛祖歷代通載)’ 22권 14책은 명나라에서 1430년(명 선덕 5) 중간된 판본을 저본(底本)으로 활용하여 우리나라에서 복각(復刻)된 목판을 1472년(성종 3년) 인수대비(仁粹大妃)의 발원으로 찍은 인출본 총 30건 가운데 한 건이다. 후대에 개장ㆍ수리되었고 분책되기도 했지만 전권이 남아 있는 완질본이다. ​ 『불조역대통재』는 원나라 승려 염상(念常, 1282..

문화재/보물 2023.04.17

보물 (제2196호) 대방광불화엄경소 권88

종 목 보물 (제2196호) 명 칭 대방광불화엄경소 권88 (大方廣佛華嚴經疏 卷八十八)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수량/면적 1첩(1권) 지 정 일 2022.12.27 소 재 지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 (부민동2가, 동아대학교박물관) 시 대 고려 12세기 소 유 자 동아대학교 관 리 자 동아대학교박물관 문화재설명 ​ 동아대학교 소장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 권88’은 북송의 승려 정원(淨源, 1011∼1088)이 당의 승려 징관(澄觀, 738∼839) 지은 『화엄경수소연의초(華嚴經隨疏演義鈔)』에 대하여 상세하게 주석을 단 『대방광불화엄경소』의 전체 120권 중 권88에 해당하는 불경이다. ​ 『대방광불화엄경』은 화엄종의 근본경전으로 『묘법연화경』과 함께 한국 불교사상을 확립하..

문화재/보물 2023.04.17

보물 (제2195호) 사시찬요

종 목 보물 (제2195호) 명 칭 사시찬요 (四時纂要)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활자본 / 금속활자본본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2.12.27 소 재 지 경상북도 예천군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김*** 관 리 자 예천박물관 문화재설명 ​ 『사시찬요(四時纂要)』는 중국 당나라 말기인 996년에 한악(韓鄂)이 편찬한 농업 서적으로, 춘하추동(春夏秋冬) 사계절을 12달로 나누고 월별의 농법과 금기 사항, 가축 사육법 등을 수록해 놓은 책이다. 농업과 생활, 농수산품 가공, 가축의 질병, 의약 위생, 상업 경영, 농기구의 수리와 보관법 등이 주된 내용이다. 『사시찬요』는 조선 초기 농정(農政)과 현실 문제를 해결하고자 국가적 차원에서 적극 도입해 세종 때 『농사직설(農事直設)』이 편찬되기 전까..

문화재/보물 2023.04.16

보물 (제2194호) 손소 적개공신교서

종 목 보물 (제2194호) 명 칭 손소 적개공신교서 (孫昭 敵愾功臣敎書)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필사본 수량/면적 1축 지 정 일 2022.12.27 소 재 지 경기도 성남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손*** 관 리 자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재설명 ​ ‘손소 적개공신교서’는 경상북도 경주시 양동마을에 세거해 온 경주손씨의 손소(孫昭, 1433∼1484)가 하사받은 적개공신교서 1점이다. 적개공신은 1467년(세조 13)에 세조가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한 공신들에게 내린 교서로 총 45명을 녹훈하였으며, 1등은 이준(李浚) 등 10명, 2등은 김국광(金國光) 등 23명, 3등은 이부(李溥) 등 12명이다. 이 중 2등공신 장말손, 3등공신 정종의 교서가 이미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 손소는..

문화재/보물 2023.04.16

보물 (제2193호) 경주 (전)염불사지 동·서 삼층석탑

종 목 보물 (제2193호) 명 칭 경주 (전)염불사지 동·서 삼층석탑 (慶州 傳 念佛寺地 東‧西 三層石塔)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1기 지 정 일 2022.11.25 소 재 지 경상북도 경주시 남산동 1129-3 시 대 통일신라시대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경주시 문화재설명 「경주 (전)염불사지 동ㆍ서 삼층석탑{慶州 (傳)念佛寺地 東‧西 三層石塔}」은 2003년과 2008년에 걸쳐 진행된 발굴조사를 거쳐, 8세기 초반에 창건되어 12세기에 폐사된 사찰로 추정된다. 이 사지에 위치한 동ㆍ서 삼층석탑은 통일신라시기인 8세기 전반에 건립된 5.85m 높이의 삼층석탑이다. 두 탑은 모두 상, 하 2층의 기단으로 구성되어 있고, 탑신(塔身, 몸돌)과 옥개석(屋蓋石, 지붕돌)은..

문화재/보물 2023.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