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8376

보물 (제2149호) 울산 신흥사 석조아미타여래좌상

종 목 보물 (제2149호) 명 칭 울산 신흥사 석조아미타여래좌상 (蔚山 新興寺 石造阿彌陀如來坐像)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불상 1구, 발원문 1점, 후령통 1점, 복장직물 8점, 보석류 1점 지 정 일 2021.12.22 소 재 지 울산광역시 북구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신흥사 관 리 자 신흥사 일반설명 ‘울산 신흥사 석조아미타여래좌상’은 신흥사 대웅전에 봉안된 대세지-관음보살좌상으로 구성된 아미타삼존상 중 본존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재질은 불석(拂石, 규산염의 일종으로 흰색의 광물)이다. 이 불상은 발원문에 1649년 불석의 산지였던 어천(현재 포항 오천읍)에서 돌을 채석해 조성하고 배를 이용해 신흥사까지 옮겨온 사실이 밝혀져 있어 당시 불석 불상의 제작지와 이동 경..

문화재/보물 2023.04.15

보물 (제2148호) 강릉 보현사 목조문수보살좌상

종 목 보물 (제2148호) 명 칭 강릉 보현사 목조문수보살좌상 (江陵 普賢寺 木造文殊菩薩坐像)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보살상 수량/면적 보살상 1구 등 지 정 일 2021.12.22 소 재 지 강원도 강릉시 시 대 고려 말∼조선 초 소 유 자 보현사 관 리 자 보현사 일반설명 ‘강릉 보현사 목조문수보살좌상’은 제작 시기가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1599년 중수기(重修記)와 전체적인 조각양식을 통해 고려 말∼조선 초에 조성된 작품으로 추정된다. 복장(腹藏) 후령통 안에서 발견된 중수기에 의하면, 이 보살상은 조각승 석준(釋俊)과 원오(元悟)가 1599년에 상원사 문수동자상과 함께 중수한 것으로, 이 중수기는 상원사 문수동자상에서 발견된 중수기와 형식과 내용이 거의 일치한다. 물론 보현..

문화재/보물 2023.04.15

보물 (제2147호) 강진 무위사 감역교지

종 목 보물 (제2147호) 명 칭 강진 무위사 감역교지 (康津 無爲寺 減役敎旨) 분 류 기록유산 / 문서류 / 국왕문서 수량/면적 1첩 지 정 일 2021.12.22 소 재 지 전라북도 진안군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무위사 관 리 자 무위사 일반설명 ‘강진 무위사 감역교지’는 1457년(세조 3) 음력 8월 10일 국왕이 강진 무위사의 잡역을 면제하도록 명령을 내린 국가의 공식적인 교지 문서이다. 세조 연간 불교시책의 일환으로, 1457년 불교 관련 조목을 제정해 예조(禮曹)에 하교하였고, 같은 해 7∼8월 동안 주요 사찰에 잡역을 면제 또는 축소하는 내용의 교지를 발급하였다. 당시 발급된 감역교지로 원문서가 전해지는 것은 무위사 교지를 포함해 , , 가 있으며 이 3건은 모두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문화재/보물 2023.04.15

보물 (제2146호) 초조본 아비달마대비바사론 권175

종 목 보물 (제2146호) 명 칭 초조본 아비달마대비바사론 권175 (初雕本 阿毗達磨大毗婆沙論 卷一百七十五)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수량/면적 1권 1축 지 정 일 2021.12.22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중랑구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법장사 관 리 자 법장사 일반설명 ‘초조본 아비달마대비바사론 권175’는 1011년(현종 2)부터 1087년(선종 4) 사이에 완성된 고려 초조대장경에 속한 경전으로서, 총 200권 중 권175의 1권에 해당하는 두루마리 형태의 경전이다. 『대비바사론(大毗婆沙論)』 등으로 줄여 부르는 『아비달마대비바사론』은 『아비달마발지론(阿毗達磨發智論)』의 주석서로,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 소승불교의 한 분파)의 이론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다른 부파와 정도(正道)에서 ..

문화재/보물 2023.04.15

보물 (제2145호) 대승기신론소 권하

종 목 보물 (제2145호) 명 칭 대승기신론소 권하 (大乘起信論疏 卷下)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수량/면적 1권 1책(33장) 지 정 일 2021.12.22 소 재 지 대구광역시 달성군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사유 관 리 자 달성군 일반설명 『대승기신론소』는 인도 승려 마명(馬鳴)이 짓고 양나라의 진제(眞諦, 499∼569)가 한문으로 번역한 『대승기신론』 을 당나라 승려 법장(法藏, 643∼712)이 주석을 달고 저술한 불교경전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금강경』·『원각경』·『능엄경』 등과 함께 불교전문강원의 사교과(四敎科) 과목으로 예로부터 학습됐던 주요 경전이다. 대구 용문사 소장 ‘대승기신론소 권하’는 법장이 저술한 3권을 저본(底本)으로 하여 조선 1461년(세조 7)에 간경도감(..

문화재/보물 2023.04.14

보물 (제2144호) 무예제보

종 목 보물 (제2144호) 명 칭 무예제보 (武藝諸譜)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수량/면적 1기 지 정 일 2021.12.22 소 재 지 경기도 수원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수원시 일반설명 무예제보(武藝諸譜)는 한교(韓嶠, 1556∼1627)가 왕명을 받고 중국 명나라 장군 척계광(戚繼光)의 기효신서(紀效新書)를 참고하여 조선의 무인이나 대중들의 이해를 돕고자 「대봉(大棒, 곤봉)」ㆍ「등패(藤牌, 방패)」ㆍ「낭선(狼筅, 낭선창)」ㆍ「장창(長鎗, 긴창)」ㆍ「당파(鎲鈀, 삼지창)」ㆍ「장도(長刀, 장검)」 등 무기 6종의 제작법과 도해(圖解)를 수록해 편찬하고 그 내용을 한글로 언해(諺解)하여 1598년(선조 31) 10월 목판으로 간행한 무예서이다. 이 책은 현존하는 우리..

문화재/보물 2023.04.14

보물 (제2143호) 경주 분황사 당간지주

종 목 보물 (제2143호) 명 칭 경주 분황사 당간지주 (慶州 芬皇寺 幢竿支柱)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당간 수량/면적 1기 지 정 일 2021.11.26 소 재 지 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 315-2 시 대 통일신라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분황사 일반설명 1. 경주 분황사의 연혁과 당간지주 경주 芬皇寺는 경주시 구황동에 있는 사찰로 『三國遺事』의 기록에 의하면 七處伽藍 중의 하나로 634년(선덕여왕 3년) 용궁의 북쪽에 창건되었다고 한다. 당시 분황사는 황룡사와 함께 왕실 차원에서 건립되었으며, 선덕여왕을 비롯한 여러 국왕과도 밀접한 관계에 있었다. 신라 선덕여왕은 643년 당나라에서 귀국한 慈藏(590~658년)을 분황사에 머물게 하였으며, 645년에는 자장의 요청으로 皇龍寺塔..

문화재/보물 2023.04.14

보물 (제2142호) 서울 진관사 태극기

종 목 보물 (제2142호) 명 칭 서울 진관사 태극기 (서울 津寬寺 太極旗) 분 류 유물 / 생활공예 / 근대공예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1.10.25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길 73 (진관동, 진관사) 시 대 1919년 경 소 유 자 진관사 관 리 자 진관사 일반설명 ‘서울 진관사 태극기’는 2009년 5월 26일 서울시 은평구 진관사의 부속건물인 칠성각(七星閣)을 해체ㆍ복원하는 과정에서 내부 불단(佛壇) 안쪽 벽체에서 발견된 것으로, 태극기에 보자기처럼 싸인 독립신문류 19점이 함께 발견되었다. 신문류는 「경고문」ㆍ『조선독립신문』ㆍ『자유신종보(自由晨鐘報)』ㆍ『신대한(新大韓)』ㆍ『독립신문』 등 5종으로, 1919년 6월 6일부터 12월 25일까지 발행된 사실로 미루어 진관사 소장 태..

문화재/보물 2023.04.14

보물 (제2141호) 김구 서명문 태극기

종 목 보물 (제2141호) 명 칭 김구 서명문 태극기 (金九 署名文 太極旗) 분 류 유물 / 생활공예 / 근대공예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1.10.25 소 재 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독립기념관로 1 (목천읍, 독립기념관) 시 대 1941년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독립기념관 일반설명 ‘김구 서명문 태극기’는 1941년 3월 16일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위원회 김구(金九, 1876∼1949) 주석이 독립의지를 담은 글귀와 서명을 써 친분이 있던 벨기에 신부 매우사(梅雨絲, 본명 샤를 미우스 Charles Meeus)에게 준 것이다. 이후 미국으로 건너간 매우사 신부는 도산 안창호 선생의 부인 이혜련 여사에게 이 태극기를 전달했고, 후손들이 보관해오다 ‘안창호 유품’ 중 하나로 1985년 3월..

문화재/보물 2023.04.14

보물 (제2140호) 데니 태극기

종 목 보물 (제2140호) 명 칭 데니 태극기 (데니 太極旗) 분 류 유물 / 생활공예 / 근대공예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1.10.25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 대 1880년대∼1890년 이전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국립중앙박물관 일반설명 ‘데니 태극기’는 고종의 외교 고문으로 활동한 미국인 오웬 니커슨 데니(Owen Nickerson Denny, 1838∼1900)가 소장했던 것으로, 1891년 1월 본국으로 돌아가면서 가지고 간 것을 1981년 그의 후손이 우리나라에 기증해 지금은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학계에서는 이 태극기가 데니의 유품 중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에, 그가 조선에 마지막으로 머문 해인 1890년을 제작의 하한..

문화재/보물 2023.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