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보물 2574

보물 (제2210호) 서울 청룡사 비로자나불 삼신괘불도

종 목 보물 (제2210호) 명 칭 서울 청룡사 비로자나불 삼신괘불도 (서울 靑龍寺 毘盧遮那佛 三身掛佛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괘불화 / 삼신불도 수량/면적 1폭 지 정 일 2023.03.09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도만산길 65 (숭인동 청룡사) 시 대 1806 (순조6년) 소 유 자 대한불교조계종 청룡사 관 리 자 대한불교조계종 청룡사 문화재설명 ​ ‘서울 청룡사 비로자나불 삼신괘불도’는 1806년 순조와 순원왕후의 장수를 기원하며 원통사(圓通寺)의 상궁최씨(尙宮崔氏)가 발원하고,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반에 걸쳐 활약한 민관(旻官) 등 5명의 화승이 참여하여 제작한 대형불화이다. 이 괘불도는 18세기 말∼19세기 서울・경기지역의 불화 제작을 전담했던 경성화승집단의 일원인 민관의 ..

문화재/보물 2023.04.17

보물 (제2209호) 창녕 관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종 목 보물 (제2209호) 명 칭 창녕 관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昌寧 觀龍寺 木造地藏菩薩三尊像 및 十王像 一括)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보살상 수량/면적 존상 17구, 발원문 3점 지 정 일 2023.03.09 소 재 지 경상남도 창녕군 화왕산관룡사길 171 (창녕읍) 시 대 1652년(효종 3) 소 유 자 대한불교조계종 관룡사 관 리 자 대한불교조계종 관룡사 문화재설명 ​ ‘창녕 관룡사 목조지장보살좌상 및 시왕상 일괄’은 조각승 응혜(應惠)를 비롯한 9명의 조각승들이 1652년 3월 완성해 관룡사 명부전에 봉안한 17구의 불상이다. 봉안된 존상은 목조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 판관 1구, 귀왕(鬼王) 1구, 금강역사 2구 등이다. 존상 가운데 판관과 귀왕 각 1구, 금강..

문화재/보물 2023.04.17

보물 (제2208호) 나신걸 한글편지

종 목 보물 (제2208호) 명 칭 나신걸 한글편지 (羅臣傑 한글便紙) 분 류 기록유산 / 서간류 / 수량/면적 2점 지 정 일 2023.03.09 소 재 지 대전광역시 유성구 도안대로 398 (상대동, 대전시립박물관) 시 대 1490대 추정 소 유 자 대전시립박물관 관 리 자 대전시립박물관 문화재설명 ​ ‘나신걸 한글편지’는 조선 초기 군관(軍官) 나신걸(羅臣傑, 1461∼1524)이 아내 신창맹씨(新昌孟氏)에게 한글로 써서 보낸 편지 2장으로, 2011년 대전시 유성구 금고동에 있던 조선시대 신창맹씨 묘에서 발견되었다. 제작시기에 대해서는 편지의 내용 중 1470∼1498년 동안 쓰인 함경도의 옛 지명인 ‘영안도(永安道)’라는 말이 보이는 점, 나신걸이 함경도에서 군관 생활을 한 시기가 1490년대라..

문화재/보물 2023.04.17

보물 (제2207호) 남원 실상사 편운화상탑

종 목 보물 (제2207호) 명 칭 남원 실상사 편운화상탑 (南原 實相寺 片雲和尙塔)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2022.12.28 소 재 지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 50 시 대 신라말기 / 910(후백제) 소 유 자 실상사 관 리 자 실상사 문화재설명 ​ 남원 실상사 편운화상탑은 고승인 편운화상에 대한 공양과 추모 등의 의미가 반영된 기념적인 조형물이다. ​ 편운화상탑은 탑신 표면에 명문을 새겨, 법맥과 주인공, 조성 시기 등을 파악할 수 있게 하였다. 그에 따르면 편운화상탑은 후백제와 관련한 문화유산이자 연호와 간지 등에 의하여 910년경에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 신라말 고려초에는 고승을 위한 사리탑은 팔각당형 양식이 주류를 이루었는데, 편..

문화재/보물 2023.04.17

보물 (제2206호) 성남 봉국사 대광명전

종 목 보물 (제2206호) 명 칭 성남 봉국사 대광명전 (城南 奉國寺 大光明殿)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2022.12.28 소 재 지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로 79 (태평동, 봉국사)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봉국사 관 리 자 봉국사 문화재설명 ​ 봉국사는 조선 현종의 딸인 명혜(明慧)와 명선(明善) 두 공주가 병에 걸려 잇달아 세상을 떠나자 이들의 명복을 빌기 위해 왕실 주도로 창건하였다. ​ 각종 기록에 봉국사를 1674년 새로 창건한 것으로 전하는데, 대광명전의 목재 연륜연대 조사에서 주요부재가 17세기 후반의 것으로 확인되어 봉국사 창건과 함께 세워진 불전임을 알 수 있다. ​ 봉국사 대명광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5량가 구조이며 공..

문화재/보물 2023.04.17

보물 (제2205호) 상주 대산루

종 목 보물 (제2205호) 명 칭 상주 대산루 (尙州 對山樓) 분 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조경건축 / 누정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2022.12.28 소 재 지 경상북도 상주시 채릉산로 799-46 (외서면)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정춘목 관 리 자 진주정씨종중 문화재설명 ​ 「상주 대산루」는 우복 정경세*(愚伏 鄭經世, 1563~1633)가 낙향한 후 우산리에 들어와 은거하고 학문을 닦는 장소로 1602년에 처음 짓고 1778년에 현재와 같은 모습으로 다듬어진 누정 겸 서실(書室)이다. 종갓집의 학문과 교류의 거점 역할을 하였으며, 조선시대 지방 선비의 학문적 생활을 엿볼 수 있는 역사적 자료이다. ​ * 17세기 영남학파의 전통을 잇는 학자로서 예학(禮學)에 조예가 깊어 김장생(金長生..

문화재/보물 2023.04.17

보물 (제2204호) 고성 옥천사 자방루

종 목 보물 (제2204호) 명 칭 고성 옥천사 자방루 (固城 玉泉寺 滋芳樓)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각루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2022.12.28 소 재 지 경상남도 고성군 개천면 북평리 408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옥천사 관 리 자 옥천사 문화재설명 ​ 「고성 옥천사 자방루」는 상량문 등 기록에 따르면 1664년에 법당 맞은 편에 위치한 정문(正門)으로 처음 건립되었고, 1764년에 누각형태로 중창되어 ‘정루(正樓)’ 또는‘채방루(採芳樓)’라 지칭하였다. 옥천사 사역 내로 진입하는 길은 자방루 양쪽에 있는 출입구를 이용하는 방식(隅角出入, 문루 아래를 통하지 않고 옆으로 출입하는 방식)이다. 정면에는 ‘옥천사(玉泉寺)’ 라는 편액이, 배면에는 ‘자방루(滋芳樓)’ 가는 편..

문화재/보물 2023.04.17

보물 (제2203호) 대구 동화사 봉황문

종 목 보물 (제2203호) 명 칭 대구 동화사 봉황문 (大邱 桐華寺 鳳凰門)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문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2022.12.28 소 재 지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 산 124-1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동화사 관 리 자 동화사 문화재설명 ​ 「대구 동화사 봉황문」이 위치한 동화사는 신라시대에 창건(極達和尙 또는 心地王師 창건)된 것으로 전해진다. 봉황문으로 불리는 일주문은 조선후기 1633년(선조 11년)에 최초 건립되었다. 원래는 옹호문(擁護門) 자리에 위치하였으나 1965년에 현 위치로 이건하였다. 봉황문 앞쪽에는 ‘팔공산동화사봉황문(八公山桐華寺鳳凰門)’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 동화사 봉황문은 5량가의 단칸 팔작지붕이며 주심포와 주간포를 가진 다포식이다..

문화재/보물 2023.04.17

보물 (제2202호) 구례 천은사 일주문

종 목 보물 (제2202호) 명 칭 구례 천은사 일주문 (求禮 泉隱寺 一柱門)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문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2022.12.28 소 재 지 전라남도 구례군 광의면 방광리 산 1-1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천은사 관 리 자 천은사 문화재설명 ​ 「구례 천은사 일주문」이 위치한 천은사는 신라 헌강왕때 연기(烟起 또는 緣起)조사가 창건했다는 설과 신라 흥덕왕때 덕운(德雲)조사가 창건했다는 설이 있다. 일주문은 사찰의 최근(2015년) 사적기(事蹟記)에 따르면 1723년에 창건되었다고 한다. 일주문의 이름은 알 수 없지만(曺溪門이라는 기록이 있으나 일주문을 의미하는지는 불확실) 앞쪽에는 원교 이광사(圓嶠 李匡師, 1705~1775)가 쓴‘지리산천은사(智異山泉隱寺)’..

문화재/보물 2023.04.17

보물 (제2201호) 문경 봉암사 봉황문

종 목 보물 (제2201호) 명 칭 문경 봉암사 봉황문 (聞慶 鳳巖寺 鳳凰門)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문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2022.12.28 소 재 지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627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봉암사 관 리 자 봉암사 문화재설명 ​ 「문경 봉암사 봉황문」이 위치한 봉암사는 신라시대 말기에 지증도헌(智證道憲) 선사에 의해 창건되었다. 봉황문에 대한 창건 기록은 없으나 대체로 1723년 이전으로 보인다. 일주문 앞쪽에는 희양산봉암사(曦陽山鳳巖寺)라는 현판이 걸려 있고, 뒤쪽에는 봉황문(鳳凰門)이라는 현판이 걸려있다. ​ 봉암사 봉황문은 5량가의 단칸 맞배지붕과 주상포, 주간포의 다포식 공포로 되어있다. 축부(軸部)는 문경지역에 편중된 궁판형(기둥 중간과 ..

문화재/보물 2023.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