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보물 2574

보물 (제2180호) 함안 말이산 45호분 출토 상형도기 일괄

종 목 보물 (제2180호) 명 칭 함안 말이산 45호분 출토 상형도기 일괄(咸安 末伊山 四十五號墳 出土 象形陶器 一括) 분 류 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도기 수량/면적 5점 지 정 일 2022.10.26 소 재 지 경상남도 함안군 고분길 153-31 (가야읍, 함안박물관) 시 대 5세기 전반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함안박물관 문화재설명 ‘함안 말이산 45호분 출토 상형도기 일괄’은 집모양 도기 2점, 사슴모양 뿔잔 1점, 배모양 도기 1점, 등잔모양 도기 1점 등 총 5점으로 구성된 일괄 출토품이다. 삼국시대 고분에서 이렇게 여러 점의 상형도기가 세트를 이뤄 정식 발굴조사를 통해 출토된 경우는 매우 드물다는 점에서 고고학적 의의가 큰 유물이다. 각각의 도기는 형태와 제작 기법 등에서 가야..

문화재/보물 2023.04.16

보물 (제2179호) 법화현론 권3∼4

종 목 보물 (제2179호) 명 칭 법화현론 권3∼4 (法華玄論 卷三∼四)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2.10.26 소 재 지 대구광역시 남구 시 대 조선461년(세조 7) 소 유 자 개인 관 리 자 김*** 문화재설명 『법화현론』은 『묘법연화경』을 해석할 때 염두에 두어야 할 중심 사상과 개념, 문장 등을 해설하여 총10권으로 편집한 불경이다. 고려 숙종 7년(1102)에 대흥왕사(大興王寺)에서 간행한 원간본을 조선 세조 7년(1461)에 간경도감에서 중수한 번각본으로서, 그동안 대각국사(大覺國師) 의천(義天)이 주도한 교장본(敎藏本)이 아주 일부만 간행되었을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이렇듯 중수본이 발견됨으로써 대흥왕사 교장도감에서 간행한 불경이 훨씬 많았다는 사..

문화재/보물 2023.04.16

보물 (제2178호) 도연사 묘법연화경

종 목 보물 (제2178호) 명 칭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완질본 / 사찰본 수량/면적 7권 2책 지 정 일 2022.08.26 소 재 지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낙산길 393-27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도연사 관 리 자 도연사 문화재설명 청도 도연사 소장 "묘법연화경" 7권 2책은 1405년(태종 5) 음력 3월 하순 도인 신문(信文)이 전라도 운제현의 도솔산에 위치한 안심사(安心寺)에서 조성한 불교경판을 후대 인출한 경전이다. 변상도 1면을 제외하고 완질본의 형태를 잘 갖추고 있다. 동일 경판에서 인출된 판본 중 기존 보물로 지정된 자료와 비교할 때 시주·간행정보 전체가 확인되며, 특히 권1~3은 매우 희소한 권차라는 점에서 자료적인 완전성이 높다. 도연사 소장 ‘..

문화재/보물 2023.04.16

보물 (제2177호) 영천 인종대왕 태실

종 목 보물 (제2177호) 명 칭 영천 인종대왕 태실 (永川 仁宗大王 胎室) 분 류 유적건조물 / 무덤 / 왕실무덤 / 조선시대 수량/면적 2기(태실1, 비1) 지 정 일 2022.08.26 소 재 지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치일리 산 24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영천시 문화재설명 「영천 인종대왕 태실」은 조선 왕실이 태를 봉송(奉送)하여 태실에 봉안하는 의례에 따라 1521년(中宗 16)에 처음 설치되었다. 이후 인종이 즉위하면서 1546년(明宗 1)에 가봉(加封)공사가 완료되었으며, 1680년(肅宗 6)에 개수되었고, 1711년(肅宗 37) 태실비에 대한 재건이 이루어졌다. 이후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에 의하여 전국에 소재한 54개소의 태실에서 태항아리와 태지석 등을 서삼릉으로 이..

문화재/보물 2023.04.16

보물 (제2176호) 금동아미타여래삼존상 및 복장유물

종 목 보물 (제2176호) 명 칭 금동아미타여래삼존상 및 복장유물 (金銅阿彌陀如來三尊像 및 腹藏遺物)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금속조 / 불상 수량/면적 불상 3구, 복장유물 18건 195점 지 정 일 2022.08.26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 대 1333년(충숙왕 2)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재설명 ‘금동아미타여래삼존상 및 복장유물’은 복장발원문을 통해 1333년(충숙왕 2)에 조성된 사실이 밝혀진 불상으로, 본존 아미타여래와 좌우 협시인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로 구성되었다. 고려 14세기 삼존상의 전형적인 특징을 갖추었으며 편년의 기준이 되는 도상과 양식을 지닌 점에서 한국불교조각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불..

문화재/보물 2023.04.16

보물 (제2175호) 건칠보살좌상

종 목 보물 (제2175호) 명 칭 건칠보살좌상 (乾漆菩薩坐像)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건칠조 / 보살상 수량/면적 1구 지 정 일 2022.08.26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 대 고려 말 ~ 조선 초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재설명 ‘건칠보살좌상’은 고려 말∼조선 초에 제작된 보살상으로, 머리에 화려한 보관을 쓰고 두 손은 설법인(說法印)을 결한 좌상이다. 제작기법은 건칠(乾漆)로서, 건칠은 흙으로 빚은 소조상을 만든 뒤 그 위에 여러 겹의 천을 바르고 옻칠한 다음 소조상을 제거한 기법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 건칠불상의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사례는 신라 말~고려 초 제작으로 추정되는 ‘봉화 청량사 건칠약사여래좌상’이며, 그..

문화재/보물 2023.04.16

보물 (제2174호) 헌종 태봉도

종 목 보물 (제2174호) 명 칭 헌종 태봉도 (헌종 胎封圖) 분 류 유물 / 일반회화 / 산수화 수량/면적 1폭 지 정 일 2022.08.26 소 재 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 시 대 1847년(헌종 13) 경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재설명 ‘헌종 태봉도’는 헌종이 1827년에 태어난 후,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옥계리에 태실을 만들어 태를 안치한 태실과 주변 경관을 그린 작품이다. 헌종이 1834년 즉위한 후, 13년이 지난 1847년에서야 태실가봉(胎室加封)이 이루어졌으며, 이 그림은 당시 그려진 것으로 추정된다. 1847년에 이루어진 태실가봉 과정은『(헌종)성상태실가봉석난간조배의궤(聖上胎室加封石欄干造排儀軌)』에 자세하게 기록되어 ..

문화재/보물 2023.04.16

보물 (제2173호) 순조 태봉도

종 목 보물 (제2173호) 명 칭 순조 태봉도 (純祖 胎封圖) 분 류 유물 / 일반회화 / 산수화 수량/면적 1폭 지 정 일 2022.08.26 소 재 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 시 대 1806년(순조 6)경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재설명 ‘순조 태봉도’는 순조가 1790년에 태어난 후, 충청북도 보은군 내속리면 사내리에 태실을 만들어 태를 안치한 태실의 형상과 그 주변 지형을 그린 것이다. 순조의 태실은 순조가 1800년 즉위한 후 6년이 지난 1806년(순조 6)이 되어서야 태실가봉(胎室加封)으로 격상시켜 난간석 등 석물을 추가로 배치하였다. S자 형태의 경계에서 오른편 위에 둥근 봉우리를 배치하고 그 위에 태실을 표현했으며, 왼편 ..

문화재/보물 2023.04.16

보물 (제2172호) 장조 태봉도

종 목 보물 (제2172호) 명 칭 장조 태봉도 (莊祖 胎封圖) 분 류 유물 / 일반회화 / 산수화 수량/면적 1폭 지 정 일 2022.08.26 소 재 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 시 대 1785년(정조 9) 경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재설명 ‘장조 태봉도’는 1785년(정조 9) 제작된 것으로, 정조(正祖)의 아버지 사도세자(1735∼1762, 후에 장조로 추존)의 태실(胎室)을 그린 산수도(山水圖)이다. 장조는 1735년 1월에 태어난 후, 윤4월에 경상북도 예천군 상리면 명봉리 명봉사 뒤편에 태실을 만들어 태를 모셨다. 이후 정조의 사도세자 추숭에 따라 1785년 왕에 해당하는 태실가봉(胎室加封)으로 격상하여 난간석(欄干石) 등 석물..

문화재/보물 2023.04.16

보물 (제2171호) 경주 옥산서원 무변루

종 목 보물 (제2171호) 명 칭 경주 옥산서원 무변루 (慶州 玉山書院 無邊樓) 분 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서원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2022.07.29 소 재 지 경상북도 경주시 옥산서원길 216-27 (안강읍) 시 대 조선 16세기 소 유 자 옥산서원 관 리 자 옥산서원 문화재설명 경주 옥산서원 무변루는 『옥산서원기(玉山書院記)』(1574)에서 1572년에 서원 초창 당시부터 누각으로 건립되었으며, 납청루(納淸樓)라 불렸다고 한다. 이후 노수신이 제액을 찬하면서 무변루(無邊樓)로 명칭을 고쳐 지었다. 무변루에 설치된 기와 중에서 1674년(숭정 38), 1782년(건륭 47), 1839년(도광 기해) 명문이 확인되고 있으므로 이때에도 중수하였을 것이고, 이후 1844년에도 ..

문화재/보물 2023.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