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오탁시형의 명당 * 광주이씨 선대 산소 비오탁시형의 명당 보성지역 음·양택 명당(하) 보성지역도 산세의 기운이 중후하고 아름다워 크고 작은 음택명당이 많기로 소문난 지역이다. 그런데 보성도 고흥과 마찬가지로 호남대지 56대 혈에 드는 음택대지는 한 곳도 기록되지 않아 의아심을 떨칠 수 없다. 우리나라 풍수.. 풍수지리/음택지 2008.01.31
억불산 아래 장군출진형 “반세기동안 황골 보존시킨 명당 地氣실감” 장흥지역 음·양택 명당 (억불산 아래 장군출진형) 장흥지역에서 호남 56대 명혈대지의 반열에 오른 음택명당은 단 1곳이다. 관산읍 학산아래 군신봉조형(신하들이 임금을 받들어 조배하는 모습)이 그 주인공이다. 호남대지 제3품 1위에 드는 수혈(秀穴)이.. 풍수지리/풍수지리 2008.01.31
기장 옥녀가 비단 짜는 명당 * 기장 옥녀가 비단 짜는 명당…인물 발복 세계화 시대에 지방자치화란 갓 쓰고 자전거 타는 꼴이 아니냐는 지적이 될 수도 있다. 국가 단위의 경제전쟁에서 중앙집권적인 국력이 필요한데, 오히려 국력을 지방자치로 분산시킨다는 우려에서 그러하다. 그러나 이러한 지적과는 정반대의 흐름을 보여.. 풍수지리/음택지 2008.01.31
풍수와 주역과 시초 점 풍수와 주역과 시초 점 --> 시초점은 시초라는 빳빳한 풀나무를 사용하는 점성술, 집에서는 대나무 김발 등을 이용한다 깨끗한 것 5 0개를골라시초통을따로마련하는등신성성을부여해소중히다루는것이첫걸음 점을 칠땐 50개 중 하나를 제외하고 남은 49개를 두손에 모아잡는다. 다음엔 점칠 내용을 머.. 종합상식/만물창고 2008.01.31
◈ 사명당(四溟堂)과 덕천가강(德川家康)의 강화담판 ◈ 사명당(四溟堂)과 덕천가강(德川家康)의 강화담판 ◈ ◇ 덕천가강(德川家康 도쿠가와이에야스): 1542.12.26. ~ 1616.4.17. ◇ 사명당(四溟堂): 1544.10.17. ~ 1610.8.26. 해인사 입적(海印寺 入寂) * 1604년 2월 오대산에서 스승 휴정의 부음을 받고 묘향산으로 가던 중 선조의 부름을 받고 조정으로 가서 일본과의 .. 종합상식/명문록 2008.01.31
금낭경(錦囊經) 하권(下卷) 원문과 해석 * 금낭경(錦囊經) 하권(下卷) 원문과 해석 금낭경 下 제6 귀혈편(貴穴編) 夫外氣所以聚內氣, 過水所以止來龍. 千尺之勢, 宛委頓息, 外無以聚, 內氣散於地中. 부외기소이취내기, 과수소이지내용. 천척지세, 완위돈식, 외무이취, 내기산어지중. 經曰 不蓄之穴, 腐骨之藏也. 경왈 불축지혈, 부골지장야. <.. 풍수지리/풍수지리 2008.01.31
금낭경(錦囊經) 상권(上卷) 원문과 해석 * 금낭경(錦囊經) 상권(上卷) 원문과 해석 錦囊經 上 금낭경 상 제1 기감편(氣感編) 葬者乘生氣也. 五氣行乎地中. 人受體於父母, 本骸得氣, 遺體受蔭. 장자승생기야. 오기행호지중. 인수체어부모, 본해득기, 유체수음. <역> 장사(葬事)는 생기(生氣)를 받아야 한다. 오기(五氣)가 땅속으로 흐른다. 사.. 풍수지리/풍수지리 2008.01.31
청오경(靑烏經) 원문과 해석 *청오경(靑烏經) 원문과 해석 청오경 靑烏經 盤古渾淪, 氣萌大朴. 分陰分陽 爲淸爲濁, 生老病死 誰實主之, 無其始也. 無有議焉, 반고혼윤, 기맹대박. 분음분양 위청위탁, 생노병사 수실주지, 무기시야. 무유의언, 不能無也. 吉凶形焉. 曷如其無, 何惡其有. 불능무야. 길흉형언. 갈여기무, 하오기유. <.. 풍수지리/풍수지리 2008.01.31
坐向과 羅經 사용법 * 坐向과 羅經 사용법 羅經에 대한 사용방법이 어렵게 설명되어있어 사용하는데 혼란을 초래함으로 이해하고 사용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생각되어 쉽게 설명해 보기로 한다. 羅經구성의 원리를 자세히 살펴보면 어느 경우에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가를 그렇게 어렵지 않게 판단할 수 있다고 생각한.. 풍수지리/풍수지리 2008.01.31
혈좌(穴坐)의 특성 * 혈좌(穴坐)의 특성 * 해좌(亥坐) 저(猪), 돼지는 혈재비습처(穴在卑濕處)로서 혈판국(穴坂局)은 와(窩)라야 진(眞)이다, 혈심(穴深)은 삼척팔촌(三尺八寸)이 길(吉)하다. 또 해좌(亥坐)는 건입수(乾入首) 해좌(亥坐)라야 길하다. * 술좌(戌坐) 술(戌)은 흙이 한토(寒土)이자 건토(乾土)이다. 무용지물(無用.. 풍수지리/풍수지리 2008.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