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8376

보물 (제2119호) 세종 비암사 극락보전

종 목 보물 (제2119호) 명 칭 세종 비암사 극락보전 (世宗 碑巖寺 極樂寶殿)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2021.02.26 소 재 지 세종특별자치시 비암사길 137 (전의면, 비암사)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비암사 관 리 자 비암사 일반설명 비암사는 마곡사의 말사로 현재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에 위치하고 있다. 비암사(碑岩寺)는 통일신라 도선(道詵)국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오고 그 외에도 여러 창건설이 있으나 확실하지 않다. 그러나 비암사 출토 유물(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癸酉銘全氏阿彌陀佛碑像, 국보, 673년 제작추정) 이나 기축명아미타불비상(己丑銘阿彌陀佛碑像, 보물, 689년 제작추정)이 확인되었고, 지금까지 이 고장에서는 비암사를 ‘삼한고찰(三韓古刹..

문화재/보물 2023.04.13

보물 (제2118호) 지정조격 권1∼12, 23∼34

종 목 보물 (제2118호) 명 칭 지정조격 권1∼12, 23∼34 (至正條格 卷一∼十二, 二十三∼三十四)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수량/면적 2책 지 정 일 2021.02.17 소 재 지 경기도 성남시 시 대 1346년(원 순제 6, 고려 충목왕 2년) 소 유 자 손*** 관 리 자 한*** 일반설명 『지정조격(至正條格)』은 1346년(원나라 순제 6년, 고려 충목왕 2년)에 간행된 원나라 최후의 법전이다. ‘지정조격’은 지정 연간(至正 年間)에 법률 조목의 일종인 ‘조격(條格)’을 모았다는 의미로, 조격과 단례(斷例) 두 종을 판각해 지정 6년(1346) 반포하였다. 원은 1323년, 1346년 두 차례에 걸쳐 법전을 편찬했으며 지금까지 중국에서 원나라 법전은 전혀 발견되지 않은 상태이다..

문화재/보물 2023.04.13

보물 (제2117호) 구미 대둔사 경장

종 목 보물 (제2117호) 명 칭 구미 대둔사 경장 (龜尾 大芚寺 經欌) 분 류 유물 / 불교공예 / 의식법구 수량/면적 1쌍(2좌) 지 정 일 2021.02.17 소 재 지 경상북도 구미시 시 대 조선 1630년(인조 8) 소 유 자 대둔사 관 리 자 대둔사 일반설명 ‘구미 대둔사 경장’은 뒷면에 쓰인 명문을 통해 1630년(인조 8)에 제작한 사실을 알려주는 불교목공예품으로, 제작 시기뿐만 아니라 ‘화원(畵員)’, 인출장인(‘引出匠人)’, ‘태장인(炲匠人)’ 등 경장 제직과 관련된 정보를 모두 알려 주는 귀중한 사례로 주목받은 작품이다. 조선 후기 목공예품으로 목어, 전패, 불연, 경장, 촛대, 업경대, 대좌, 불단, 소통 등 다양한 종류가 제작되었으나, 제작 연대와 제작자를 알 수 있는 작품은 매..

문화재/보물 2023.04.13

보물 (제2116호) 상주 남장사 영산회 괘불도 및 복장유물

종 목 보물 (제2116호) 명 칭 상주 남장사 영산회 괘불도 및 복장유물 (尙州 南長寺 靈山會 掛佛圖 및 腹藏遺物)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괘불화 수량/면적 괘불도 1폭, 동경 1점, 복장낭 1점, 복장낭함 1점 지 정 일 2021.02.17 소 재 지 경상북도 김천시 시 대 조선 ① 괘불 및 복장낭 : 1776년(정조 1), ②복장낭함 : 1783년(정조 7) 소 유 자 남장사 관 리 자 직지사 성보박물관 일반설명 ‘상주 남장사 영산회 괘불도’는 높이가 11m에 이르는 대형 불화로, 1776년(정조 1) 조선 후기 대표적 수화승 유성(有誠)을 비롯한 경상도 지역에서 활약한 화승 23여명이 참여하여 제작한 18세기 후반기 불화의 기준이 되는 작품이다. 이 괘불은 1776년 제작되었지만, 제작된 지..

문화재/보물 2023.04.13

보물 (제2115호) 상주 남장사 영산회 괘불도 및 복장유물

종 목 보물 (제2115호) 명 칭 상주 남장사 영산회 괘불도 및 복장유물 (尙州 南長寺 靈山會 掛佛圖 및 腹藏遺物)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괘불화 수량/면적 괘불도 1폭, 동경 1점, 복장낭 1점, 복장낭함 1점 지 정 일 2021.02.17 소 재 지 경상북도 김천시 시 대 조선 ① 괘불 및 복장낭 : 1776년(정조 1), ②복장낭함 : 1783년(정조 7) 소 유 자 남장사 관 리 자 직지사 성보박물관 일반설명 ‘상주 남장사 영산회 괘불도’는 높이가 11m에 이르는 대형 불화로, 1776년(정조 1) 조선 후기 대표적 수화승 유성(有誠)을 비롯한 경상도 지역에서 활약한 화승 23여명이 참여하여 제작한 18세기 후반기 불화의 기준이 되는 작품이다. 이 괘불은 1776년 제작되었지만, 제작된 지..

문화재/보물 2023.04.13

보물 (제2114-6호) 고려사<6>

종 목 보물 (제2114-6호) 명 칭 고려사 (高麗史)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수량/면적 139권 75책 지 정 일 2021.02.17 소 재 지 부산광역시 서구 시 대 조선 1613년(광해군 5) 간인, 17∼18세기 후인(後印) 소 유 자 동아대학교 관 리 자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일반설명 『고려사』는 정인지(鄭麟趾‚ 1396∼1478), 정창손(鄭昌孫, 1402∼1487) 등이 1451년(문종 1)에 기전체(紀傳體)로 찬진한 고려의 정사(正史)로서, 『삼국사기』와 더불어 우리나라 2대 정사 중 하나이다. 고려시대 연구를 위한 가장 중요한 사료로서 고려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자료로서, 세가(世家) 46권, 열전(列傳) 50권, 지(志) 39권, 연표(年表) 2..

문화재/보물 2023.04.13

보물 (제2114-5호) 고려사 <5>

종 목 보물 (제2114-5호) 명 칭 고려사 (高麗史)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활자본 / 금속활자본 수량/면적 139권 33책 지 정 일 2021.02.17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시 대 조선 1613년(광해군 5) 간인, 17∼18세기 후인(後印) 소 유 자 연세대학교 관 리 자 연세대학교도서관 일반설명 『고려사』는 정인지(鄭麟趾‚ 1396∼1478), 정창손(鄭昌孫, 1402∼1487) 등이 1451년(文宗 1)에 기전체(紀傳體)로 찬진한 고려의 정사(正史)로서, 『삼국사기』와 더불어 우리나라 2대 정사 중 하나이다. 고려시대 연구를 위한 가장 중요한 사료로서 고려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자료로서, 세가(世家) 46권, 열전(列傳) 50권, 지(志) 39권, 연..

문화재/보물 2023.04.12

보물 (제2115-4호) 고려사<4>

종 목 보물 (제2115-4호) 명 칭 고려사 (高麗史)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수량/면적 139권 85책 지 정 일 2021.02.17 소 재 지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신림동,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시 대 조선 1613년(광해군 5), 초인(初印)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서울대학교 규장각 ​ 일반설명 『고려사』는 정인지(鄭麟趾‚ 1396∼1478), 정창손(鄭昌孫, 1402∼1487) 등이 1451년(文宗 1)에 기전체(紀傳體)로 찬진한 고려의 정사(正史)로서, 『삼국사기』와 더불어 우리나라 2대 정사 중 하나이다. 고려시대 연구를 위한 가장 중요한 사료로서 고려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자료로서, 세가(世家) 46권, 열전(列傳) 50권, 지(..

문화재/보물 2023.04.12

보물 (제2115-3호) 고려사<3>

종 목 보물 (제2115-3호) 명 칭 고려사 (高麗史)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수량/면적 139권 33책 지 정 일 2021.02.17 소 재 지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신림동,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시 대 조선 1613년(광해군 5) 간인, 17∼18세기 후인(後印)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서울대학교 규장각 ​ 일반설명 『고려사』는 정인지(鄭麟趾‚ 1396∼1478), 정창손(鄭昌孫, 1402∼1487) 등이 1451년(文宗 1)에 기전체(紀傳體)로 찬진한 고려의 정사(正史)로서, 『삼국사기』와 더불어 우리나라 2대 정사 중 하나이다. 고려시대 연구를 위한 가장 중요한 사료로서 고려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자료로서, 세가(世家) 46권, 열전(..

문화재/보물 2023.04.12

보물 (제2114-2호) 고려사<2>

종 목 보물 (제2114-2호) 명 칭 고려사 (高麗史)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활자본 / 금속활자본 수량/면적 98권 32책 지 정 일 2021.02.17 소 재 지 서울특별시 관악구 시 대 조선 1482년(성종 13)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일반설명 『고려사』는 정인지(鄭麟趾‚ 1396∼1478), 정창손(鄭昌孫, 1402∼1487) 등이 1451년(文宗 1)에 기전체(紀傳體)로 찬진한 고려의 정사(正史)로서, 『삼국사기』와 더불어 우리나라 2대 정사 중 하나이다. 고려시대 연구를 위한 가장 중요한 사료로서 고려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자료로서, 세가(世家) 46권, 열전(列傳) 50권, 지(志) 39권, 연표(年表) 2권, 목록(目錄) 2권..

문화재/보물 2023.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