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8376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67호) 진주 영남포정사문루

종 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67호) 명 칭 진주 영남포정사문루 (晉州 嶺南布政司 門樓) 분 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조경건축 / 누정 수량/면적 1동(133.3㎡) 지 정 일 2020.06.11 소 재 지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626 (본성동, 진주성)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진주시 관 리 자 진주시 ​ 일반설명 당해 문화재는 경상남도 관찰사 관문으로 그 중요성이 인정된다. 조선시대 진주목의 행정 건물로 유일하게 원형을 유지해오고 있는 건물로서 매우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영남포정사 문루는 1618년(광해군10) 경상우병사 남이흥(南以興)이 세웠다. 1895년(고종 32)에는 진주관찰부, 1896년(건양*원년)에는 경상남도 관찰사 청사의 정문으로 사용되어 영남포정사 문루라 불렀다.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66호) 진주 촉석루

종 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66호) 명 칭 진주 촉석루 (晉州 矗石樓) 분 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조경건축 / 누정 수량/면적 1동(508.6㎡) 지 정 일 2020.06.11 소 재 지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626 (본성동, 진주성)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진주시 관 리 자 진주시 ​ 일반설명 진주 촉석루(晉州 矗石樓)는 경상남도 진주시 본성동, 진주성내에 위치해 있는 누각이다. 남강변 절벽 뒤편에 있는 촉석루는 진주성의 남쪽 장대로서, 군사를 지휘하는 사람이 올라서서 명령하던 대이기도 했다. 일명 장원루라고도 한다. 1365년(고려 공민왕 14년)에 처음 건립되었으며, 세운 후 7차례의 중건과 보수를 거쳤다. 그 뒤 한국전쟁 때 불타 없어졌다가 1960년 진주고적보존회에서 재건하였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65호) 김해 묘련사 목조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종 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65호) 명 칭 김해 묘련사 목조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金海 妙蓮寺 木造菩薩坐像 및 腹藏遺物)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수량/면적 불상 1구·복장 유물 9건 지 정 일 2020.05.21 소 재 지 경상남도 김해시 시 대 조선시대(1711년,) 소 유 자 묘련사 관 리 자 묘련사 ​ 일반설명 「김해 묘련사 목조보살좌상」은 1711년 법종에 의해 조성된 작품으로 양볼이 볼록한 얼굴, 상반신에 비해 넓은 다리의 신체비례, 부채를 펼쳐 놓은 듯한 옷주름과 다리를 따라 흘러내린 긴 소매자락 등을 특징으로 조각승의 개성 있는 조형감을 엿볼 수 있음.. 법종은 경상도 지역에서는 처음 알려진 조각승으로 18세기 전반에 활동했으며 본 좌상의 발원문을 비롯해 조선후기 경..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64호) 산청 대원사 목조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종 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64호) 명 칭 산청 대원사 목조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山淸 大源寺 木造菩薩坐像 및 腹藏遺物)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보살상 수량/면적 1구 지 정 일 2020.05.21 소 재 지 경상남도 산청군 시 대 조선시대(1700년대) 소 유 자 대원사 관 리 자 대원사 ​ 일반설명 산청 대원사 목조보살좌상」은 화려한 대좌와 함께 조성된 관음보살상으로 가늘고 긴 눈에 뭉툭하면서도 큼직한 코, 미소가 있는 얇은 입술 등이 원만한 인상을 주며 다리 사이에 대칭을 이루는 넓은 옷주름과 옷자락이 대좌를 덮는 상현좌의 형식, 다리선을 따라 흘러내리는 가늘고 끝이 뾰족한 옷자락 등이 특징으로. 조각승(彫刻僧) 색난의 양식을 따른 불상임을 보여주고 있다. 불상 내부에서 발견된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63호) 창원 봉림사 함허당득통화상현정론

종 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63호) 명 칭 창원 봉림사 함허당득통화상현정론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0.05.21 소 재 지 경상남도 창원시 시 대 조선시대(1544년 간행된 불교의 정당성을 논변한 귀중본) 소 유 자 봉림사 관 리 자 봉림사 ​ 일반설명 「함허당득통화상현정론」은 조선전기 승려 기화(己和)가 유생들의 불교에 대한 그릇된 견해와 비판에 대해 승려의 입장에서 반박하고 불교의 정당성을 논변한 책으로 이 자료는 귀중본(貴重本)의 기준이 되는 임진왜란(1592년)을 기점으로 보면, 임란 이전(以前)인 ‘1544년’에 간행하였다는 명확한 간행 기록(刊記)이 수록되어 있고, 본문의 인출(印出) 및 보관상태가 양호한 책이다. 특히 조선 전기의..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62호) 창원 봉림사 중도가

종 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62호) 명 칭 창원 봉림사 중도가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0.05.21 소 재 지 경상남도 창원시 시 대 조선시대(1474년이라는 간행기록이 수록된 경자자로 인출한 역사서) 소 유 자 봉림사 관 리 자 봉림사 ​ 일반설명 「증도가」는 영가 대사 현각이 선종의 진리에 관한 깨달음을 칠언으로 노래한 장편시임. 이 책은 귀중본(貴重本)의 기준이 되는 임진왜란(1592년)을 기점으로 보면 임란 이전인 ‘1474년’이라는 명확한 간행 기록(刊記)을 알 수 있고, 본문의 인출(印出) 및 보관상태가 양호한 책임. 특히 역대 수많은 선사들의 수행지침서로서, 고려시대 말기와 조선초기의 불교 사상 연구에 유용한 자료로 가치를 지니며..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61호) 창원 봉림사 자치통감강목

종 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61호) 명 칭 창원 봉림사 자치통감강목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활자본 / 금속활자본 수량/면적 2권2책 지 정 일 2020.05.21 소 재 지 경상남도 창원시 시 대 조선시대( 1428년이라는 간행기록이 수록된 경자자로 인출한 역사서) 소 유 자 봉림사 관 리 자 봉림사 ​ 일반설명 창원 봉림사 자치통감강목은 조선전기 집현전 학자들이 세종의 명으로 주희(朱熹)의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을 훈의(訓義)하여 간행한 역사서임. 이 자료는 세종 초기에 경자자(庚子字)로 간행된 책이다. 이 책의 권말에 ‘1428년‘이라는 명확한 간행 기록(刊記)이 수록되어 있고, 본문의 인출(印出) 및 보관상태가 양호한 책이며 1420년에 주조된 경자자본(庚子字本)의 간본(刊本)은..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60호) 사천 백천사 목조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종 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60호) 명 칭 사천 백천사 목조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泗川 白泉寺 木造菩薩坐像 및 腹藏遺物)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수량/면적 1구, 일괄 지 정 일 2020.05.21 소 재 지 경상남도 사천시 시 대 고려시대( 至正 24년(1364)) 소 유 자 백천사 관 리 자 백천사 ​ 일반설명 사천 백천사 소장 목조보살좌상은 至正 24년(1364) 천성산 관음사의 아미타여래삼존상으로 조성되었고 이후 弘治 15년(1502) 전 흥교사 주지 道裕의 후원으로 관음과 대세지보살상을 다시 만들었다고 하며 이 보살상은 1502년에 만든 협시보살상으로 원래는 평안남도 순천군 천성산 관음사에 봉안되었던 것임을 복장기를 통해 확인됨. 이 목조보살좌상은 단순한 형태와 당당하면..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59호) 고성 거산리 마애약사여래좌상

종 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59호 명 칭 고성 거산리 마애약사여래좌상 (固城 巨山里 磨崖藥師如來坐像)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1좌 지 정 일 2020.02.06 소 재 지 경상남도 고성군 거류면 거산리 산 43-2 시 대 고려시대 소 유 자 고성군 관 리 자 고성군 ​ 일반설명 고성 거산리 마애약사여래좌상은 전체 높이가 약 3m에 이르는 거대한 마애불로서 왼손에 둥근 보주를 든 약사여래상임. 얼굴은 얕은 도들새김으로 조각한 반면 신체부위로 내려갈수록 선각으로 조각되었으며 이러한 조각기법과 약사불 형식은 통일신라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계승되는 특징임. 마애불의 특징은 좁은 콧대에 큰 콧방울과 도드라진 큰 입술, 편단우견으로 추정되는 대의 형식으로 법주사 마애여래의좌상 등 고..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90호) 울진 수진사 신중도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90호) 명 칭 울진 수진사 신중도 (蔚珍 修眞寺 神衆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기타 수량/면적 1폭 지 정 일 2023.02.23 소 재 지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 오곡2길 330-78 (수진사)​ 시 대 조선 1803년(순조 3년) 소 유 자 수진사 관 리 자 수진사 문화재설명 ​ 이 神衆幀畵는 帝釋·天龍幀畵로서, 제석천과 天龍八部衆을 함께 그린 그림이다. 천룡은 위태천을 중심으로 팔부중과 사천왕 등 武將의 神衆을 일컫는 말로서 화면의 위쪽에는 일월천자, 보살, 천부중을 거느리는 제석천을 배치하고 아래에는 위태천을 위시한 팔부중을 배치한 형식을 취하고 있다. 천룡의 대장격인 위태천은 佛法수호신으로 머리에 새 날개깃으로 장식된 화려한 투구를 쓰고, 몸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