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8376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89호) 산천가숙동국통지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89호) 명 칭 산천가숙동국통지(山泉家塾東國通志) 분 류 기혹유산 / 전적류 / 전적류 / 기타 수량/면적 41책 지 정 일 2023.02.23 소 재 지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봉덕로 52101-1303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박광모 관 리 자 예천박물관보관 문화재설명 ​ 산천가숙동국통지는 조선 후기 예천 지역을 대표하는 학자인 산천 박주종 선생이 1868년 편찬한 것으로 단군에서 순조까지의 역사를 기록한 우리나라 문물 백과사전이다. ​ 이 책의 지리지에는 조선 숙종 때 인물인 안용복이 울릉도·독도 영토 문제를 해결한 사건의 전말이 기록돼 있어 독도가 우리나라 고유의 영토임을 분명히 밝히는 중요한 자료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88호) 선현유적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88호) 명 칭 선현유적(先賢遺蹟) 분 류 기혹유산 / 일반문서 / 필사본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3.02.23 소 재 지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고평길 70-17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정경수 관 리 자 예천박물관보관 문화재설명 ​ 선현유적은 약포선생문집과 이충무공전서에 수록된 상소의 초고로 문집을 편찬할 당시 수정된 기록과 정확한 작성 연대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정탁의 만년필적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87호) 단경왕후 온릉봉릉도감 계병 무이산도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87호) 명 칭 단경왕후 온릉봉릉도감 계병 무이산도(端敬王后 溫陵封陵都監 契屛 武夷山圖) 분 류 유물 / 일반회화 / 기타 수량/면적 1점(8폭) 지 정 일 2023.02.23 소 재 지 경상북도 경산시 대학로 280(영남대학교박물관)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영남대학교 관 리 자 영남대학교박물관 문화재설명 ​ 단경왕후 온릉봉릉도감 계병 무이산도는 조선시대 중종반정으로 폐비되었던 중종의 비인 단경황후(端敬王后, 1487-1557)의 왕후 복위(1739, 영조15)와 관련하여 온릉봉릉도감을 설치하고 이를 기념하기 위하여 제작된 8폭 계병(契屛)이다. 병풍의 앞면에는 무이산도(武夷山圖)가 무이구곡(武夷九曲)의 순서 및 실경과 상관없이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고, 뒷면에는 행사가..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86호) 영천 용화사 신중도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86호) 명 칭 영천 용화사 신중도 (永川 龍華寺 神衆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 수량/면적 1폭 지 정 일 2023.02.23 소 재 지 경상북도 영천시 안야사1길 35 시 대 1850년(조선 철종 원년) 소 유 자 용화사 관 리 자 용화사 문화재설명 ​ 이 불화는 1850년(조선 철종 원년) 창원 광려산 만흥사의 산내암자인 백련암에서 조성된 것이다. 화면 하단의 화기 판독으로 문성, 영화, 문수 모두 3인이 제작하였으며, 화면의 구성과 신중의 도상, 채색기법 등에서 사불산화파 내지는 팔공산화파의 전형적인 화풍을 따르고 있다. ​ 제작연대나 원 봉안처가 명확하며 필선이나 섬세한 묘사가 큰 특징으로 꼽힌다. ​ 19세기 전반에서 후반을 이어주는 신중도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85호) 영천 용화사 석가설법도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85호) 명 칭 영천 용화사 석가설법도 (永川 龍華寺 釋迦說法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기타 수량/면적 1폭 지 정 일 2023.02.23 소 재 지 경상북도 영천시 안야사1길 35 시 대 1850년(조선 철종 원년) 소 유 자 용화사 관 리 자 용화사 문화재설명 ​ 이 불화는 1850년(조선 철종 원년) 제작된 것으로 비교적 잘 알려지지 않은 수화승 문성이 그린 것이다. 주목되는 도상적 특징은 보살이 아닌 동자형식으로 표현된 문수동자와 보현동자가 사자와 코끼리위에 앉은 모습이며, 서수좌인 사자와 코끼리에 앉아 석가모니불의 협시로 묘사된 작품은 대체로 19세기 경상도 사불산화파의 불화에서 알 수 있다. ​ 또한, 하단의 화기를 통하여 제작연대와 봉안처가 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84호) 영천 용화사 관음보살도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84호) 명 칭 영천 용화사 관음보살도 (永川 龍華寺 觀音菩薩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보살도 수량/면적 1폭 지 정 일 2023.02.23 소 재 지 경상북도 영천시 안야사1길 35 시 대 조선 1819년(순조 19년) 소 유 자 용화사 관 리 자 용화사 문화재설명 ​ 이 불화는 1819년(조선 순조 19)에 제작된 것으로, 현존하는 단독의 관음보살도로는 비교적 작은 규모인데다 바탕천 및 안료의 박락과 변색이나 도상 오염과 손상이 산재하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원 상태를 잘 보존하고 있다. ​ 특히, 균형잡힌 안정된 구도나 정확한 좌우대칭의 도상, 기물의 구성은 19세기에 유행한 관음보살도의 형식을 잘 나타내고 있다. ​ 이러한 〈관음보살도〉는 조선 후기에..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83호) 경주 방어리 상동계 문서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83호) 명 칭 경주 방어리 상동계 문서(慶州 防禦里 上洞契 文書) 분 류 기록유산 / 일반문서 / 필사본 / 기타 수량/면적 26책 지 정 일 2023.02.23 소 재 지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입실시장길 12-7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상동계 관 리 자 상동계 문화재설명 ​ 경주 외동읍 방어리에 존재했던 17세기 사계와 18세기 동계이다. 무부(武夫)를 중심으로 조직했던 사계와 사족(士族)이 주도한 동계의 역학관계와 호혜를 지향하며 실현했던 협동의 실제를 추적했다. 사계는 습사를 통한 무과 응시 목표를 위해 기물과 계금이라는 공유자산을 관리하기 위한 규약을 마련하고 개정을 거듭했다. 17세기 후반 사계와 동계가 공존하다가 17세기 말 사계와 동계를 함께 주도하던..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82호) 포항 법광사지 삼층석탑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82호) 명 칭 포항 법광사지 삼층석탑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1기 지 정 일 2023.02.13 소 재 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신광면 상읍리 874-3 시 대 통일신라 소 유 자 포항시 관 리 자 포항시 문화재설명 ‘포항 법광사지 삼층석탑’은 기단부·탑신부·상륜부로 구성된 전형적인 통일신라 후기의 석탑이다. 이중 기단에 삼층 탑신을 올린 양식으로, 탑신 맨 아래층의 받침이 굽형 괴임 형식으로 변화했다는 점에서 통일신라 석탑 양식이 발달하는 흐름을 보여준다. 또한, 조탑경이 확인된 석탑 중에서 유일하게 불정존승다라니경(佛頂尊勝陀羅尼經)을 조탑경으로 삼은 석탑이다. 조탑경은 불탑을 세우는 근거로 삼아 탑 안에 넣는 경전. 원래 불탑이나 불..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81호) 퇴계선생수묵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81호) 명 칭 퇴계선생수묵 (退溪先生手墨)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필사본 / 기타류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2.09.05 소 재 지 경상북도 예천군 죽림길 43 (용문면, 예천권씨종택종가별당) (예천박물관 보관)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예천박물관 관 리 자 예천박물관 문화재설명 ‘퇴계선생수묵(退溪先生手墨)’은 퇴계 이황(李滉, 1501-1570)이 초간 권문해(權文海, 1534-1591)에게 필사하여 준 것으로, 송나라 남당(南塘) 진백(陳柏)이 지은 ‘숙흥야매잠’을 직접 작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책의 표지명은 묵서(墨書)로 ‘퇴계선생수묵’이라 제첨(題簽)되어 있으며, 권수제는 ‘숙흥야매잠’이다. 권말 발문을 통해, 임란 이후 권문해의 증손 죽헌공(竹..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80호) 육경합부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80호) 명 칭 육경합부 (六經合部)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사찰본 / 기타류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2.09.05 소 재 지 경상북도 영천시 (영천역사박물관)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영천역사박물관 관 리 자 영천시 문화재설명 이 책은「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대방광불화엄경입불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大方廣佛華嚴經入不思議解脫境界普賢行願品)」,「대불정수능엄신주(大佛頂首楞嚴神呪)」,「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妙法蓮華經觀世音菩薩普門品)」,「불설아미타경(佛說阿彌陀經)」,「관세음보살예문(觀世音菩薩禮文)」이 합철되어 있는 목판본으로, 1488년(조선 성종 19) 4월에 전라도 고산 화암사(花岩寺)에서 개판한 것이다. 순서대로 각각 27장, 23장, 15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