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8376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56호) 아산 삼도수군해방총도

종 목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56호 명 칭 아산 삼도수군해방총도 (牙山 三道水軍海防摠圖) 분 류 유물 / 일반회화 / 근대회화 / 동양화 수량/면적 1건 8폭 지 정 일 2020.09.10 소 재 지 충청남도 아산시 충무로 123 (권곡동, 온양민속박물관)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온양민속박물관 관 리 자 온양민속박물관 일반설명 아산 삼도수군해방총도는 병풍 8폭의 넓은 화면 위에 충청, 전라, 경상 등 삼남지방의 수군 배치현황을 상세히 수록한 대형지도와 함께 이 지역의 수군 총 현황을 정리한 상세한 통계를 실은 희귀한 자료로 19세기 초에 제작되었다. 삼도수군해방총도는 전국 단위의 국방 지도의 내용 중에서 해역의 방어, 즉 해방과 관련된 내용을 특화해서 담은 지도이다. 삼남지방을 대상으로 수영(水營)..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55호) 공주 학림사 호법론

종 목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55호 명 칭 공주 학림사 호법론 (公州 鶴林寺 護法論)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0.09.10 소 재 지 충청남도 공주시 시 대 고려말 조선시대 소 유 자 학림사 관 리 자 학림사 일반설명 호법론은 송나라 때 장상영이 척불론자들을 상대로 척불과 공덕무용론의 부당성을 지적하고 불법의 우수성을 변호함과 동시에 불교,유교, 도교 등 삼교의 공존공생 및 유불불이를 제창한 것. 중국 송나라에서 두 차례 간행되었고, 그 중간본이 고려에 전래되어 1372년 청룡사에서 간행이 이루어졌으며 조선시대에도 두 차례 간행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음. 공주 학림사 호법론은 1372년 충주 청룡사에서 목판본으로 간행된 것임.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54호) 천안 은석사 아미타불회도와 초본

종 목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54호 명 칭 천안 은석사 아미타불회도와 초본 (天安 銀石寺 阿彌陀佛會圖와 草本)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 수량/면적 1건 2점 지 정 일 2020.09.10 소 재 지 충청남도 천안시 시 대 조선시대 (1861년) 소 유 자 은석사 관 리 자 은석사 일반설명 '천안 은석사 아미타불회도와 초본'은 1861년(철종12)에 금어, 즉 단청이나 불화를 그리는 승려인 봉은, 창훈, 향림 등이 조성한 불화다. 2016년 천안 은석사 아미타불회도를 보존처리하는 과정 중 불화 뒷면에서 밑그림인 초본이 발견됐는데, 이는 1861년 4월 봉은을 보좌하는 보조화승 향림이 출초한 것으로 역사적 가치가 높다. 아미타불화도는 초본과 다르게 본존의 향 오른쪽의 보살을 지장보살로 바..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53호 유효걸 초상과 교서 일괄

종 목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53호 명 칭 유효걸 초상과 교서 일괄 (柳孝傑 肖像과 敎書 一括) 분 류 유물 / 일반회화 / 인물화 / 초상화 수량/면적 1건 5점 지 정 일 2020.09.10 소 재 지 충청남도 천안시 시 대 조선시대 (17세기) 소 유 자 유ㅁㅁ 관 리 자 유ㅁㅁ 일반설명 '유효걸 초상과 교서 일괄'은 1624년 이괄의 난을 진압한 공으로 진무공신에 책록된 무관 유효걸과 관련된 자료다. '유효걸 초상'은 17세기 공신 화상의 전형적 도상과 화법의 특징을 살펴볼 수 있는 기준작이다. 역사적 위상, 회화사적 의의 등에서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유효걸 진무공신 교서'는 진무공신에 책록된 31명에게 지급된 교서로 현재 4점이 남아 있어 희소성이 높다. '유효걸 시호 교지'는..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93호) 진주 미륵암 지장시왕도

종 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93호) 명 칭 진주 미륵암 지장시왕도 (晉州 彌勒庵 地藏十王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 수량/면적 1폭/본지 세로 175cm, 가로190.5cm 지 정 일 2023.01.19 소 재 지 경상남도 진주시 개양로 170-90 (가좌동, 미륵암) 시 대 19세기 소 유 자 미륵암 관 리 자 미륵암 문화재설명 - 종목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 소유자(관리자) : 대한불교조계종 미륵암 - 소재지 : 경상남도 진주시 - 수량 : 1폭 - 규격 : 본지 세로 175cm, 가로 190.5cm - 재질 : 絹本彩色(비단바탕에 채색) - 조성연대 : 조선후기(道光年間 1821년∼1850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92호) 남해 화방사 신중탱

종 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92호) 명 칭 남해 화방사 신중탱 (南海 花芳寺 神衆幀)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 수량/면적 1폭 지 정 일 2022.12.15 소 재 지 경상남도 남해군 시 대 1860년 소 유 자 화방사 관 리 자 화방사 문화재설명 ​ 화면 상단에는 제석천을 화면 하단에는 동잔보살을 중심으로 화면 좌우에 용왕 및 협시 권속들을 배치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어두운 적색, 녹색, 남색이 주조색을 이룬다. 의습선은 정두철선묘를 사용하고 부분적으로 금색 세선으로 이중선을 그은 것이 특징적이다. ​ 이 신중탱은 아미타 후불탱과 같이 1860년 고성 와룡산 운흥사에서 관음존상 개금불사와 동시에 쌍운, 금담 금어에 의하여 조성되어 아미타 후불탱과 같이 화방사로 이봉된 이래 지금까..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91호) 남해 화방사 아미타후불탱

종 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91호) 명 칭 남해 화방사 아미타후불탱 (南海 花芳寺 阿彌陀後佛幀)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 수량/면적 1폭 지 정 일 2022.12.15 소 재 지 경상남도 남해군 시 대 1860년 소 유 자 화방사 관 리 자 화방사 문화재설명 ​ 원 바탕은 오랜 세월 동안 습기의 피해로 퇴색 상태이나 약간의 보수를 거쳐 수장고에 보관하고 있다. 아미타 후불탱은 1860년에 고성 와룡산 운흥사에서 관음존상 개금불사 시에 쌍운, 영담 금어에 의하여 조성되고 화방사로 이봉된 내용이 화기에 남아 있다. 19세기 중반에 조성된 아미타 회상도로서 시대적 특징은 역력하며, 앞으로의 보다 안전한 보존관리를 위하여 수장고에 보관하고 있다. ​ 의습선이나 구름 등의 표현에 있어서 돋..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90호) 창원 길상사 몽산화상육도보설

종 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90호) 명 칭 창원 길상사 몽산화상육도보설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전적류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2.08.18 소 재 지 경상남도 창원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길상사 관 리 자 길상사 ​문화재설명 창원 길상사 소장 [몽산화상육도보설]은 고려 말 이래 한국불교사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몽산 덕이의 저서라는 점에서 의미가 큼 간행시기도 연산동 31년(1497)으로 비교적 이른시기이며 전라도 진안의 용출산 현암이라고 간행장소를 명확하게 밝힘.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89호) 거제 심원사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종 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89호) 명 칭 거제 심원사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巨濟 深源寺 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수량/면적 1권 1책 지 정 일 2022.08.18 소 재 지 경상남도 거제시 반송재로 68-56 (삼거동, 심원사) 시 대 조선시대(선조 21년 1588년) 소 유 자 심원사 관 리 자 심원사 ​문화재설명 「거제 심원사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巨濟 深源寺 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는 보조국사 지눌(知訥)이 1209년 중국 화엄종 제5조인 규봉종밀(圭峯宗密: 780-841)이 엮은「법집별행록(法集別行錄)」 가운데서 중요한 부분을 요약하고, 자신의 견해를 더하여 편집한 것을 1588년(선조21년) 청도 운문사에서 인출한 책이며 현재 종밀의「법집..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88호) 거제 심원사 지장보살본원경

종 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88호) 명 칭 거제 심원사 지장보살본원경 (巨濟 深源寺 地藏菩薩本願經)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수량/면적 1권 1책(29.5*18.5cm) 지 정 일 2022.08.18 소 재 지 경상남도 거제시 반송재로 68-56 (삼거동, 심원사)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심원사 관 리 자 심원사 ​문화재설명 지장보살본원경(약칭 지장경)은 지장보살의 본원공덕(本願功德)을 설법한 경전으로 지옥에서 고통받는 중생을 천도(薦度)하여 극락에 오르게 하는 방법을 수록하고 있다. 원래 지장경의 한역본은 당나라에서 2권으로 편성되었지만 우리나라에 유통된 번역본은 상·중·하 3권으로 구성된 법등(法燈)의 한역본이다. 심원사 지장경은 선조 2년(1569) 전라도 무등산 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