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8376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79호) 아비달마대비바사론 권제20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79호) 명 칭 아비달마대비바사론 권제20(阿毗達磨大毘婆沙論 卷第二十)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기타류 수량/면적 1첩 지 정 일 2022.09.05 소 재 지 경상북도 영천시 (영천역사박물관)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영천역사박물관 관 리 자 영천역사박물관 문화재설명 『아비달마대비바사론 권제20(阿毗達磨大毘婆沙論 卷第二十)』으로 총24장으로 이루어진 목판본이다. 인출 시기에 대한 명확한 기록은 알 수 없으나 지질과 발의 수, 폭 등을 고려해 볼 때 조선전기(15세기)에 인출된 인본(印本)으로 판단되며, 표지는 후대에 개장(改裝)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비달마대비바사론』은 중국 당나라 때 현장(玄奘, 602-664)이 한역한 논서로 전체 200권으로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78호) 포항 원법사 소장 사리불아비담론 권제30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78호) 명 칭 포항 원법사 소장 사리불아비담론 권제30 (浦項 元法寺 所藏 舍利弗阿毘曇論 卷第三十)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수량/면적 1첩 지 정 일 2022.09.05 소 재 지 경상북도 포항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원법사 관 리 자 원법사 일반설명 '사리불아비담론 권제30'은 총 24장으로 이루어진 목판본으로, 해인사에 소장되어 있는 고려 재조대장경을 조선 전기에 인출하여 절첩본으로 장정한 것이다. '사리불아비담론'은 중국 후진의 담마야사와 담마굴다 등이 장안에서 407년부터 415년까지 한역한 책으로 소승에서 말한 모든 법의 명의를 해석한 책이다. 국내에 잔존하고 있는 재조대장경의 인본들은 인출 시기가 조선 말기에서 일제강점기에 인출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77호) 구미 남화사 석조약사여래좌상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77호) 명 칭 구미 남화사 석조약사여래좌상 (龜尾 南華寺 石造藥師如來坐像)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1구 지 정 일 2022.06.02 소 재 지 경상북도 구미시 선기로3길 38-37 (남통동, 남화사) 시 대 고려시대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구미시 일반설명 이 불상은 과거에 예천 복천사지(福泉寺址)에서 수습되었다고 전하는 석조약사여래좌상이다. 고려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불상은 높이 128cm의 석불좌상으로, 불신과 연꽃형 광배가 하나의 돌로 조성되어 있다. 수인은 왼손에 둥글고 위가 편평한 약함을 들고 있고, 오른손은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으며, 상의와 대의를 갖춰 입은 이중착의법을 하고 있다. 불신이 고부조로 조각되어 있고 측..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76호) 포항 원법사 소장 대혜보각선사서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76호) 명 칭 포항 원법사 소장 대혜보각선사서 (浦項 元法寺 所藏 大慧普覺禪師書)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2.06.02 소 재 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신광면 호리 693-1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원법사 관 리 자 원법사 일반설명 포항 원법사 소장 『대혜보각선사서(大慧普覺禪師書)』는 1537년(중종 32)지리산 신흥사에서 개판한 총 116장으로 이루어진 목판본으로, 대혜가 42인의 문인 사대부들에게 간화선법(看話禪法)을 말하며, 사악한 견해를 깨뜨리고 정법의 눈을 열어주기 위해 보낸 편지를 모은 책이다. 권수제 기록을 통해 중국 송나라의 대혜종고(大慧宗杲, 1088-1163)가 남긴 글을 문인 혜연(慧然)이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75호) 문경 대승사 윤필암 후불도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75호) 명 칭 문경 대승사 윤필암 후불도 (聞慶 大乘寺 潤筆庵 後佛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 수량/면적 1폭 지 정 일 2022.03.21 소 재 지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전두리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윤필암 관 리 자 윤필암 일반설명 문경 대승사 윤필암 후불도는 1830년(도광10) 8월 24일 대승사 윤필암에 봉안된 아미타후불도로, 제작자는 19세기 전반에 걸쳐 경상도에서 활동했던 수화승 무경당 관주(無鏡堂 觀周)를 우두머리로 모두 4명의 화승이 참여하여 제작된 것이다. 화면 구성이나 도상 배치, 인물 표현 등은 신겸계 및 사불산화파의 영향이 간취되는 수화승 관주의 작품 중 하나로 그의 필력과 기량을 엿 볼 수 있는 중요한 작품이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74호) 문경 봉암사 상봉대사비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74호) 명 칭 문경 봉암사 상봉대사비 (聞慶 鳳巖寺 霜峰大師碑)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기타 수량/면적 1기 지 정 일 2022.03.21 소 재 지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원북길 313 (원북리) 시 대 조선시대(1716년 처음 세워져 후에 수리되어 복구함) 소 유 자 봉암사 관 리 자 봉암사 일반설명 문경 봉암사 상봉대사비는 조선시대 봉암사에서 활동한 고승인 상봉대사 정원과 관련된 비석이다. 이는 형태나 규모, 조각에서 18세기에 유행한 고승비에 영향을 준 점과 문장가 이덕수, 서화가 윤순 등의 초기 작품이었던 점, 상봉대사의 생애를 알 수 있는 유일의 비문인 점, 상봉대사가 조선시기 봉암사 역사와 조선후기 불교 강학사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법맥에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73호) 구미 대둔사 아미타불회도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73호) 명 칭 구미 대둔사 아미타불회도 (龜尾 大芚寺 阿彌陀佛會圖)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기타 수량/면적 1폭 지 정 일 2022.03.21 소 재 지 경상북도 구미시 옥성면 산촌옥관로 691-78 시 대 조선시대 (1761년) 소 유 자 대둔사 관 리 자 대둔사 일반설명 『구미 대둔사 아미타불회도』는 세로 316cm 가로 301cm로 비단 8매를 이어 마련한 화폭에 그려 채색한 불화이다. 아미타불이 서방정토에서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을 비롯한 8대 보살, 사천왕 등을 거느리고 설법하는 모습을 그렸으며, 역시 보물로 지정된 대둔사 대웅전 내부의 건칠아미타여래좌상(보물) 후면에 걸려 있다. 『구미 대둔사 아미타불회도』의 제작과 관련한 내용으로는 불화 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72호) 몽산화상 육도보설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72호) 명 칭 몽산화상 육도보설 (蒙山和尙 六道普說)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1.12.20 소 재 지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창평로 415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장용준 관 리 자 장용준 ​ 일반설명 『몽산화상 육도보설』은 일체유심조의 입장에서 지옥ㆍ아귀(餓鬼)ㆍ축생(畜生)ㆍ아수라(阿修羅)ㆍ인간(人間)ㆍ천상(天上)의 육도(六道)와 성문(聲聞)ㆍ연각(緣覺)ㆍ보살(菩薩)ㆍ불(佛)의 사성(四聖)을 합한 10계를 설하여 범부의 자리를 벗어나 성인의 지위에 들어갈 것을 권하는 내용으로 편찬한 선가(禪家)의 지침서이다. 이번에 문화재로 지정 신청한 책은 몽산의 여러 보설들을 선별하여 우리나라에서 편집한 것으로, 권말의 기..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71호) 청도 장연사 목조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71호) 명 칭 청도 장연사 목조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淸道 長蓮寺木造菩薩坐像 및 腹臟遺物)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보살상 수량/면적 불상1구,발원문1점,복장문21점 지 정 일 2021.12.20 소 재 지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관동1길 58 시 대 조선시대 인조년간(1643년) 소 유 자 장연사 관 리 자 장연사 ​일반설명 청도 장연사 목조보살좌상 및 복장유물은 복장에서 발견된 발원문을 통해 조각승 인균(印均)을 비롯한 6인의 조각승에 의해 1643년에 제작된 불상임을 알 수 있다. 불상에 대한 조성자, 제작연대에 대한 문자 기록이 잘 구비돼 있고, 작품의 예술성도 높으며, 17세기 중반 전라도 지역 불상의 상황을 잘 보여주는 불상으로 가치가 있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70호) 상주 전식조복 및 공예품 일괄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70호) 명 칭 상주 전식조복 및 공예품 일괄 (尙州 全湜朝服 및 工藝品 一括) 분 류 유물 / 생활공예 / 복식공예 / 의복 수량/면적 조복 3점, 공예품 일괄 10점 지 정 일 2021.12.20 소 재 지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관동1길 58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전상룡 관 리 자 전상룡 ​ 일반설명 전식조복은 상태가 양호하지는 않으나 조복 홍의와 훈상, 대대 외에 패옥, 아홀 등 12종의 구성물 중 5종이 함께 소장되어 있는 국내 최고(最古)의 전세 유물로 출토복식에서는 볼 수 없는 당시의 실제 색상을 유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자료로 판단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