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8376

전라북도 기념물 (제141호) 장수 침령산성

종 목 전라북도 기념물 제141호 명 칭 장수 침령산성 (長水 砧嶺山城) 분 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수량/면적 29,150㎡ 지 정 일 2020.07.24 소 재 지 전라북도 장수군 계남면 침곡리 1090-1 시 대 삼국~후삼국 소 유 자 산림청 외 관 리 자 장수군 일반설명 장수 침령산성은 삼국 ~ 후삼국시대 호남 동부권의 지정학적 요충지에 위치한 산성이다. 성벽 및 문지, 치, 여장, 대형 집수시설 등이 양호하게 남아 있어 고대 산성의 구조 및 관방체계를 이해하기 위한 학술적 가치가 높은 유적이다. 침령산성은 장수군 장계면 침곡리 사곡마을의 서쪽을 감싸고 있는 금남호남정맥 지맥 정상부에 위치한다. 산성의 전체적인 형태는 북쪽이 좁고 남쪽이 넓은 사다리꼴이다. 상부와 남쪽의 계곡을 ..

전라북도 기념물 (제140호) 부안 점방산 봉수

종 목 전라북도 기념물 제140호 명 칭 부안 점방산 봉수 (扶安 占方山 烽燧) 분 류 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 통신 / 봉수 수량/면적 1기 / (문화재구역 1필지 773㎡) 지 정 일 2020.03.20 소 재 지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대항리 산51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부안군 관 리 자 부안군 일반설명 변산면 대항리 산51번지에 위치하고 있는 조선시대 봉수대로서 서해로 돌출한 해발 77m 산봉우리 정상에 위치한다. 세종실록지리지와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남쪽의 월고리봉수, 북쪽의 계화도 봉수와 호응한다고 기록되어 있어 조선시대 전기부터 중요한 군사시설로 이용되었다. 2019년 시굴조사 결과 동서 30m, 남북 33m의 평면 원형의 외곽 석축단 위에 다시 직경 17m 내외의 내부 석축단을 구축하였..

전라북도 기념물 (제139호) 완주 탄현봉수

종 목 전라북도 기념물 제139호 명 칭 완주 탄현봉수 (完州 炭峴烽燧) 분 류 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 통신 / 봉수 수량/면적 1기 지 정 일 2018.06.15 소 재 지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금당리 산45번지 시 대 삼국시대 소 유 자 완주군 관 리 자 완주군 일반설명 완주군 운주면 금당리 탄현(숯고개) 서쪽 산줄기 정상(457m)에 자리하고 있으며, 삼국시대의 전략적 요충지에 건축된 것으로 파악된다. 충남 부여, 논산 일대에서 금남정맥을 넘어 진안고원과 금산분지 방면으로 향하는 두 갈래의 내륙교통로가 한눈에 잘 조망된다. 탄현봉수는 서쪽의 연대부분이 일부 무너지기는 하였으나 비교적 온전한 상태이며, 평면형태는 원형에 가깝다. 연대는 판석형 할석으로 축조하였으며, 규모는 하단부 직경 8.4m,..

전라북도 기념물 (제138호) 남원 월산리 고분군

종 목 전라북도 기념물 제138호 명 칭 남원 월산리 고분군 (南原 月山里 古墳群) 분 류 유적건조물 / 무덤 / 무덤 / 고분군 수량/면적 2기 지 정 일 2018.06.15 소 재 지 전라북도 남원시 아영면 청계리 산 1-10 등 14필지 시 대 가야시대 소 유 자 한국도로공사 관 리 자 남원시 일반설명 1982년 88올림픽고속도로(지금의 광주대구고속도로) 공사를 하다가 발견, 발굴했다. 처음에는 백제나 마한의 무덤일 것이라 생각했지만 가야 고분인 것으로 밝혀져 처음으로 가야 문화가 남원까지 있었음이 밝혀진 계기가 되었다. 백두대간 동쪽 운봉고원에 가야계 문화유적이 존재한다는 고고학적 단서를 제공해 주었으며, 2010년 M4호분·M5호분·M6호분에서 중국제 청자인 계수호, 철제초두가 출토되어 운봉고원..

충청남도 기념물 (제197호) 홍성 석택리 유적

종 목 충청남도 기념물 (제197호) 명 칭 홍성 석택리 유적 (洪城 石宅里 遺跡) 분 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지 수량/면적 19.722㎡ 지 정 일 2021.10.12 소 재 지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읍 석택리 478-1번지 시 대 원삼국(마한)시대 소 유 자 홍성군 관 리 자 홍성군 일반설명 이 유적은 원삼국시대 마한의 환호(環濠) 주거지로, 국내 최대 규모로 알려져 있다. 환호(環濠)란 주거지를 감싸는 도랑 형태의 방어 시설물이다. 홍성 석택리 유적은 시야 확보에 탁월한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풍부한 수량과 넓은 충적지대 등 농경 생활에도 유리한 입지 조건을 갖추고 있어 대규모 주거지가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충청남도 기념물 (제196호) 부여 저동리 쌀바위

종 목 충청남도 기념물 (제196호) 명 칭 부여 저동리 쌀바위 분 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지구과학기념물 / 지질지형 수량/면적 473m 지 정 일 2021.10.12 소 재 지 충청남도 부여군 시 대 미상 소 유 자 미암사 관 리 자 미암사 일반설명 부여 저동리 쌀바위는 바위로는 보기 드물게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어 있다. 충남문화재자료 제371호다. 절 이름과 바위가 직접 관련이 있고 바위의 색과 형상도 그럴싸하여 더욱 관심을 끈다. 음경석·촛대바위·부처바위라고도 불리는 이 바위에는 전해지는 이야기가 있다. 옛날에 한 노파가 대를 이을 손자를 얻기 위해 날마다 이곳에 와서 정성껏 불공을 드렸다. 어찌나 열심히 기도를 했는지 집에 쌀이 떨어진 사실도 모를 정도였다. 그러던 어느 날 관세음보살이 꿈에..

충청남도 기념물 (제195호) 태안읍성

종 목 충청남도 기념물 (제195호) 명 칭 태안읍성 (泰安邑城) 분 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수량/면적 473m 지 정 일 2020.09.10 소 재 지 충청남도 태안군 경이정3길 43-3 (태안읍) 시 대 조선시대 (태종 17년) 소 유 자 태안군 관 리 자 태안군 일반설명 태안읍성(泰安邑城)은 조선 태종(太宗) 때 축성된 석성(石城)으로서, 그 둘레는 473m에 높이 3.6m이며 성안에는 4개의 우물이 있었고 동서남북으로 4대문이 있었으며 동학혁명 때 폐성되었는데, 다행히도 구 군청 뒤쪽 민가 근처에 일부의 성벽이 그대로 남아 있어 태안읍성 연구의 좋은 자료가 되고 있습니다.

충청남도 기념물 제194호 부여 홍산객사 은행나무

종 목 충청남도 기념물 제194호 명 칭 부여 홍산객사 은행나무 (扶餘 鴻山客舍 銀杏나무) 분 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생물과학기념물 / 생물상 수량/면적 1주 지 정 일 2019.12.02 소 재 지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211-1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보령시 관 리 자 보령시 일반설명 부여 홍산객사 은행나무는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97호 「홍산객사」 우측에 있는 은행나무로 대부분은 암나무의 수령이 오래된 것이 많은데 홍산객사은행나무는 약 750년 된 수나무로서 생물학적 보존가치가 높다. 더불어 홍산객사의 건립시기를 고려시대로 추정해 볼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홍산객사 및 주변 마을의 역사와 문화적 사실을 증명하는 살아있는 나무로 역사적, 문화적, 경관적 가치가 높다.

경기도 기념물 (제230호) 인흥군 묘역 및 신도비

종 목 경기도 기념물 (제230호) 명 칭 인흥군 묘역 및 신도비 (仁興君 墓域 및 神道碑) 분 류 유적건조물 / 무덤 / 무덤 / 기타 수량/면적 봉분1기,기타석물13점,신도비2기 지 정 일 2022.05.03 소 재 지 경기도 포천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전주이씨인흥군파종회 관 리 자 전주이씨인흥군파종회 문화재설명 ​ 인흥군 이영(李瑛, 1604~1651)과 부인 여산 송씨의 합장묘 및 신도비이다. 신도비는 임금이나 벼슬이 높은 사람의 일생과 업적을 새긴 비석을 말한다. 인흥군은 선조(1567∼1608 재위)와 후궁 정빈 민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인조 23년(1645) 종부시·사옹원 도제조를 역임하고, 효종 즉위년(1649) 사은사로 청나라에 가서 국방 문제와 척화파 기용에 관한 외교 문제를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