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8376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04호) 정립 문적

종 목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04호 명 칭 정립 문적(鄭雴 文籍)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전적류 수량/면적 4점 지 정 일 2020.11.06 소 재 지 충청북도 옥천군 장계1길 57 (안내면, 옥천 향토전시관)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옥천 향토전시관 관 리 자 옥천 향토전시관 일반설명 정립 문적은 옥천 출신의 정립 선생이 남긴 고문서 4점으로, 고암기(顧菴記, 1586∼1592년, 일기)와 개명첩(改名帖), 교첩, 교지이다. 정립 문적은 개인의 생활사 뿐만 아니라 당시의 지역문화 및 정치상황 등 포괄적이고 다양한 사회현상과 변화 등을 짐작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서 충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03호 보은 모현암

종 목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03호) 명 칭 보은 모현암 (報恩 慕賢唵) 분 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면적 2동(본동1동58.06㎡,부속동1동9.86㎡) 지 정 일 2020.10.08 소 재 지 충청북도 보은군 종곡2길 18-110 (보은읍)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대곡서당계 관 리 자 대곡서당계 대표 김혁기 일반설명 ‘모현암’은 조선 명종 때의 학자 성운(成運, 1497~1579)이 을사사화를 피해 은거했던 학재(學齋)이다. 성운이 이 집을 짓고 사암(斯菴)이라 불렀으며 그의 사후에는 대곡재(大谷齎)라고 하였다가 후에 그의 제자들이 그를 사모해 모현암(慕賢菴)이라 이름 지어 부르게 됐다. 건물의 기둥이나 보, 도리, 서까래 등 사용 목부재가 견실하고 치목기법 등 세부..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02호) 영동 봉유재

종 목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02호 명 칭 영동 봉유재 (永同 奉裕齋) 분 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면적 2동 지 정 일 2020.10.08 소 재 지 충청북도 영동군 매곡면 내동1길 40-2 시 대 조선시대 1632년 초축, 1751년 및 1931년 중수 소 유 자 충주박씨 목사공파 종중 관 리 자 충주박씨 목사공파 종중 일반설명 매곡면 노천리는 충주박씨 종중 세거지로 도 유형문화재인 ‘흥학당’과 ‘사로당’이 있으며, 인접마을에 문화재자료인 ‘세천재’가 있어 서당, 사당, 재실을 모두 갖춘 종중의 지역 정착과 발전과정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마을이다. 봉유재는 주변을 토석담으로 두르고 전면으로 삼문을 배치하였으나, 후대에 복원된 것으로 초축당시의 양상은 알 수 없다. 건물은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01호) 제천 신륵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보살좌상

종 목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01호 명 칭 제천 신륵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보살좌상(堤川 神勒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과 菩薩坐像)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수량/면적 2구 지 정 일 2020.03.06 소 재 지 충청북도 제천시 시 대 조선시대(1730) 소 유 자 신륵사 관 리 자 신륵사 일반설명 도 유형문화재 제132호로 지정된 제천 신륵사 극락전에 모셔진 목불로 1730년에 정행(正幸)이 조성하였다. 전체적으로 좁은 어깨에 긴 허리, 넓고 높은 무릎이 날씬한 느낌을 주고 얼굴은 적당히 살이 오른 모습으로 밋밋한 얼굴에 코가 높고 뾰족한 것이 특징적이다. 발원문을 통해 제작연대와 작가가 명확하고, 1736년에 만들어진 유형 제217호 제천 백련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유형 제331호 제..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00호) 지장보살본원경 권하

종 목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00호 명 칭 지장보살본원경 권하 (地藏菩薩本願經 卷下)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0.03.06 소 재 지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직지대로 713 (운천동, 청주고인쇄박물관) 시 대 고려시대(1340년) 소 유 자 청주시 관 리 자 청주시 일반설명 지장보살((地藏菩薩)이 중생을 교화하고 죄를 짓고 지옥에서 고통 받는 중생들까지도 평등하게 구제하고자 하는 큰 뜻을 세운 경전으로 상ㆍ중ㆍ하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장경’, ‘지장본원경’이라고 부른다. 1340년에 계룡산 동학사에서 부모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간행되었다. 현재까지 발견된 가장 오래된 목판본으로 간행시기, 간행처, 간행배경을 비롯 글쓴이와 각자(刻者) 등을 자..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99호) 자치통감강목 권25, 35, 42, 57

종 목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99호 명 칭 자치통감강목 권25, 35, 42, 57 (資治通鑑綱目 卷二十五, 三十五, 四十二, 五十七)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활자본 / 금속활자본 수량/면적 4권 4책 지 정 일 2020.03.06 소 재 지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직지대로 713 (운천동, 청주고인쇄박물관) 시 대 조선시대(1422년) 소 유 자 청주시 관 리 자 청주시 일반설명 중국 송나라의 사마광(司馬光, 1019∼1086)이 1084년에 지은 중국 역사책『자치통감』을 주희(朱熹, 1130∼1200)가 역사적 사실에 대하여 큰 제목으로 강(綱)을 따로 세우고 기사는 목(目)으로 구별하여 정리한 역사책이다. 1422년에 금속활자 경자자로 찍은 것으로 책 머리에 ‘경연(經筵)’이라는 붉은 도장..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98호 자치통감 권65∼68, 172∼175, 212, 213∼214, 261∼262, 283

종 목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98호 명 칭 자치통감 권65∼68, 172∼175, 212, 213∼214, 261∼262, 283 (資治通鑑 卷六十五∼六十八, 一百七十二∼一百七十五, 二百十二, 二百十三∼二百十四, 二百六十一∼二百六十二, 二百八十三)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활자본 / 금속활자본 수량/면적 14권 6책 지 정 일 2020.03.06 소 재 지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직지대로 713 (운천동, 청주고인쇄박물관) 시 대 조선시대(1436년) 소 유 자 청주시 관 리 자 청주고인쇄박물관 일반설명 중국 송나라 때 사마광(司馬光, 1019∼1086)이 1084년에 중국 주나라(BC 403)부터 959년까지 1,362년간의 중국 역사를 모두 294권으로 정리한 역사책이다. 1436년에 조선 세..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97호) 신증동국여지승람 권7

종 목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97호 명 칭 신증동국여지승람 권7 (新增東國輿地勝覽 卷七)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활자본 / 금속활자본 수량/면적 1권 1책 지 정 일 2020.03.06 소 재 지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직지대로 713 (운천동, 청주고인쇄박물관) 시 대 조선시대(1530년) 소 유 자 청주고인쇄박물관 관 리 자 청주고인쇄박물관 일반설명 신증동국여지승람은 1530년 기존의『동국여지승람』의 내용을 증보하여 55권으로 편찬한 책으로 금속활자인 계축자로 간행되었다. 권7은 경기도 여주 관련 자료가 실려 있다. 조선시대 지리와 사회 모습은 물론 금속활자 연구를 위한 중요한 자료이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96호) 동국여지승람 권4

종 목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96호 명 칭 동국여지승람 권4 (東國輿地勝覽 卷四)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활자본 / 금속활자본 수량/면적 1권 1책 지 정 일 2020.03.06 소 재 지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직지대로 713 (운천동, 청주고인쇄박물관) 시 대 조선시대(1499년) 소 유 자 청주시 관 리 자 청주고인쇄박물관 일반설명 조선 성종 때에 노사신, 강희맹 등이 전국 각 도의 지리, 풍속 등을 기록하여 편찬한 우리나라의 인문지리서이다. 각 지역별로 연혁은 물론 지리, 행정, 교육, 인물, 풍속 등을 확인할 수 있다. 1499년에 금속활자인 계축자로 간행한 것으로 권4는 개성(開城) 관련 자료가 실려 있다. 조선시대 지리와 사회 모습은 물론 금속활자 연구를 위한 중요한 자료이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95호) 동국여지승람 권52

종 목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95호 명 칭 동국여지승람 권52 (東國輿地勝覽 卷五十二)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활자본 / 금속활자본 수량/면적 1권 1책 지 정 일 2020.03.06 소 재 지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직지대로 713 (운천동, 청주고인쇄박물관) 시 대 조선시대(1487년) 소 유 자 청주고인쇄박물관 관 리 자 청주고인쇄박물관 일반설명 조선 성종 때에 노사신, 강희맹 등이 전국 각 도의 지리, 풍속 등을 기록하여 편찬한 우리나라의 인문지리서이다. 각 지역별로 연혁은 물론 지리, 행정, 교육, 인물, 풍속 등을 확인할 수 있다. 1487년에 금속활자인 을해자로 간행한 것으로 권52는 평안도 안주목, 정주목 등의 자료가 실려 있다. 조선시대 지리와 사회 모습은 물론 금속활자 연구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