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8376

경기도 기념물 (제229호) 고양 북한산성 관성소지 및 상창지

종 목 경기도 기념물 (제229호) 명 칭 고양 북한산성 관성소지 및 상창지 (高陽 北漢山城 管城所址 및 上倉址) 분 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관아 수량/면적 일괄 지 정 일 2021.11.18 소 재 지 경기도 고양시 시 대 1712년 소 유 자 고양시 관 리 자 고양시 문화재설명 ​ 고양시 소재 는 국가 사적 제162호 북한산성 내에 위치한 유적으로 관성소(管城所)는 관성장이 배치되어 산성을 비롯하여 행궁, 3군영(훈련도감, 금위영, 어영청) 등을 관리하기 위해 설치한 중앙의 관아시설이며, 상창은(上倉)은 산성 내 관성소가 관리하는 3곳의 창고(上倉, 中倉, 下倉) 중 하나로 관성소와 바로 인접하고 있음 ​ 는 조선후기에 설치된 중앙의 관영시설 중 원형을 보존하고 있는 유적으로 2..

경기도 기념물 (제228호) 해월 최시형선생묘

종 목 경기도 기념물 (제228호) 명 칭 해월 최시형선생묘 (海月 崔時亨 先生 墓) 분 류 유적건조물 / 무덤 / 근대무덤 수량/면적 1기 지 정 일 2021.05.13 소 재 지 경기도 여주시 안산길 236-47 (금사면) 일원 시 대 일제 강점기 소 유 자 재단법인 천도교유지재단 관 리 자 재단법인 천도교유지재단 일반설명 해월 최시형 선생은 동학의 2대 교주로 전국을 누비며 동학교단을 정비하고, 만민평등사상을 전파하여 동학 농민운동의 토대를 만든 역사적 인물임. 해월 최시형(1827-1898) 선생의 묘소는 사후 2년이 지난, 1900년 현재의 자리로 이장되었음

경기도 기념물 (제227호) 용인 석성산 봉수터<해제>

종 목 경기도 기념물 (제227호) 명 칭 용인 석성산 봉수터 (龍仁 石城山 烽燧址) 분 류 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 통신 / 봉수 수량/면적 연조5기 지 정 일 2020.11.13~ 2023.01.10 소 재 지 경기도 용인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용인시 관 리 자 용인시 문화재설명 ​ 용인 석성산 봉수는 석성산 정상인 471m에 조성된 봉수 유적으로 경기남부에서 광주와 성남, 하남, 송파로 이어지는 교통로로 진입하기 위한 교통의 중심지로 주변 지형을 한 눈에 조망할 수 있으며 중요 교통로와 관문을 감제할 수 있는 위치에 해당한다. ​ 발굴조사 결과 조선시대 내지봉수의 전형을 보여주는 유구가 확인되었다. 5기의 연조, 방호벽, 창고 건물지 및 봉수군이 거주했던 구들 건물지와 우물 등이 완벽한 세..

경기도 기념물 (제226호) 연천 대전리 산성

종 목 경기도 기념물 (제226호) 명 칭 연천 대전리 산성 (漣川 大田里 山城) 분 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시설 수량/면적 둘레 674m 지 정 일 2020.11.13 소 재 지 경기도 연천군 시 대 삼국시대 소 유 자 연천군 관 리 자 연천군 일반설명 대전리산성은 나당전쟁의 최후 격전지인 '매초성'의 가장 유력한 후보지로 석축산성이다. 한탄강에 인접한 성재산의 남서쪽 봉우리 정상부에 위치하여 주변의 교통로뿐만 아니라 한탄강과 전곡 일대의 넓은 평야가 한눈에 내려다보인다. 또한, 연천에서 한탄강을 건너 동두천-의정부-남양주-서울로 이어지는 남북방향의 교통로와 남동쪽의 포천으로 연결되는 고대 교통의 요지에 있다. 성재산의 서쪽 지역에는 현무암의 침식으로 인한 단애가 형성되어 있어 자연적..

세종특별자치시 기념물 (제12호) 한솔동 백제고분군

종 목 세종특별자치시 기념물 (제12호) 명 칭 한솔동 백제고분군 분 류 유적건조물 / 무덤 / 무덤 / 고분군 수량/면적 총14기/37,753.5㎡ 지 정 일 2022.09.20 소 재 지 세종특별자치시 한솔동 1247 시 대 백제시대 소 유 자 세종특별자치시 관 리 자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설명 ​ 한솔동 백제고분군은 백제 한성기 말기에서 웅진기 초기에 조성되어 백제시대 무덤 축조방식의 변화과정을 고스란히 증명하는 무덤이다. ​ 현재까지 확인된 백제시대 횡혈식 석실분 중 가장 큰 규모이며 묘광 전체를 지하에 설치한 첫 번째 사례로서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크다. ​ 백제시대 고분군 자체의 역사적·학술적 가치를 뛰어넘어 지방거점의 사회조직과 중앙의 관계 변천을 증명하는 자료로 기념물로 지정하여 보존·관리할..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47호) 대봉 양희지 묘

종 목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47호) 명 칭 대봉 양희지 묘 (大峰 楊熙止 墓) 분 류 유적건조물 / 무덤 / 무덤 / 봉토묘 수량/면적 1기/ 1,000㎡ 지 정 일 2021.08.26 소 재 지 울산광역시 울주군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중*** 관 리 자 중*** 일반설명 ‘대봉 양희지 묘’는 조선초기 대표적인 문신이자 학자인 대봉 양희지(大峰 楊熙止, 1439~1504)의 묘소이다. 봉분, 석인상, 상석, 비석으로 구성된다. 양희지는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울산군 ‘우거’조에 실려 있는 울산 관련 인물이다. 1474년(성종 5) 문과에 합격한 이후 홍문관교리, 승정원좌부승지, 충청도관찰사, 사헌부대사헌, 형조판서), 한성부 우윤을 역임했다. 또한 그는 학성이씨 이종근(이예의 아들)의 ..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68호 영일정씨 판결사공파‧승지공파 동춘묘역

종 목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68호 명 칭 영일정씨 판결사공파‧승지공파 동춘묘역(迎日鄭氏 判決事公派·承旨公派 東春墓域) 분 류 유적건조물 / 무덤 / 무덤 / 기타 수량/면적 20,737㎡ 지 정 일 2020.03.02 소 재 지 인천광역시 연수구 시 대 조선시대 15세기 후반 소 유 자 영일정씨 판결사공‧승지공파 중종 관 리 자 인천광역시 연수구청 ​ 일반설명 ○ 인천광역시 연수구 동춘동의 영일정씨의 판결사공·승지공파의 유래는 지금으로부터 4백여 년 전인 1607년(선조 40)에 승지공(承旨公) 정여온(鄭如溫. 1570~1632)이 부친 정제(鄭濟. 1540~1607)의 묘소를 연수구 청량산 밑[일명 능어리(陵御里)]에 모신 후부터라고 전해 온다. 이후 후손들이 청량산 동쪽(먼우금) 지역과 봉재산 기슭(..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65호) 구 부산미군장교클럽

종 목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65호 명 칭 구 부산미군장교클럽 (舊 釜山美軍將校-) 분 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근대정치국방 / 외교 수량/면적 1동(지상1층, 290.68㎡) 지 정 일 2022.06.22 소 재 지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시 대 1949년 말 소 유 자 부산광역시 관 리 자 부산시설관리공단 일반설명 ○ 구 부산미군장교클럽은 주한미군의 하야리아 기지 내 장교클럽 건물로서 1949년 말 철근 콘크리트구조 단층 규모로 벽체는 벽돌조로 조성되었으며 현재까지 전반적인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현재 부산시민공원 역사관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지역사에 있어 의미와 가치를 갖는 건축물이다. ○ 본 건축물이 위치하는 옛 하야리아 기지는 일제강점기인 1930년 이래 상설경마장 및 일본군용지로 점거되다 194..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45호) 의정부 터 <해제>

종 목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45호) 명 칭 의정부 터 (議政府址) 분 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관아 수량/면적 4,257㎡ 지 정 일 2020.05.28~ 2020.09.24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길 45 (세종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종로구 일반설명 의정부는 조선시대 백관을 통솔하고 정무전반을 총괄하는 최고의 행정기관으로 그 위상에 맞추어 광화문 좌측 첫 번째 자리에 위치했음. 500년 동안 조선왕조의 최고 통치기구로서 그 역사성이 매우 높고, 학술조사를 통해 의정부의 주요 건물지 3동(정본당, 협선당, 석획당)과 근대건물지 등이 확인되어 원래의 장소적 가치도 확인 되는 등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뛰어남 사적으로 승격 조정 됨

보물 (제2214호) 이항복 해서 천자문

종 목 보물 (제2214호) 명 칭 이항복 해서 천자문 (李恒福 楷書 千字文)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필사본 / 기타류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3.04.28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 대 조선시대(1607년)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재설명 ‘이항복 해서 천자문’은 1607년(선조 40) 이항복(1556∼1618)이 52세의 나이에 장남 이성남(李星男, 1578∼1642)의 장자로 여섯 살이었던 손자 이시중(李時中, 1602∼1657)의 교육을 위해 직접 써서 내려준 천자문이다. 천자문은 중국 양나라 주흥사(周興嗣)가 지은 책으로 우리 나라에 언제 전래하였는지 정확한 기록은 없으나 음(音)과 훈(訓)을 달아 한자를 배..

문화재/보물 2023.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