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17509

보물 (제2241호) 복재선생집

종 목보물 (제2241호)명 칭복재선생집 (復齋先生集)분 류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수량/면적2권1책지 정 일2023.12.26소 재 지경상남도 진주시 진주대로 501 (가좌동, 경상국립대학교 가좌캠퍼스) 고문헌도서관시 대1446년(조선 세종 28) 판각 및 인출소 유 자경상국립대학교관 리 자경상국립대학교 고문헌도서관문화재설명​‘복재선생집’은 조선 개국공신인 복재(復齋) 정총(鄭摠, 1358∼1397)의 유고 시문집이다. 황보량(皇甫良)이 지은 발문(跋文)에 이 책의 간행 경위가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는데, 1446년(세종 28) 그의 둘째 아들 정효충(鄭孝忠)이 수집・편차(編次)하고 손자인 정옥경(鄭沃卿)이 편집하여 강원도 관찰사(觀察使) 이선제(李先齊) 및 도사(都事) 정호연(鄭浩然)에게 ‘복재선생..

문화재/보물 2024.06.08

국보 (제345호)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

종 목국보 (제345호)명 칭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 (順天 松廣寺 靈山會上圖 및 八相圖)분 류유물 / 불교회화 / 괘불화수량/면적9폭(영산회상도 1폭, 팔상도 8폭)지 정 일2024.05.27소 재 지전라남도 순천시 송광사안길 100 (송광면, 대한불교조계종 송광사)시 대1725년(조선 영조 1)소 유 자대한불교조계종 송광사 관 리 자송광사성보박물관 ​문화재설명​​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는 송광사 영산전에 봉안하기 위해 일괄로 제작한 불화로 영산회상도 1폭과 팔상도 8폭으로 구성되어 있다. 영산회상도 화기에 ‘영산회상(靈山會上)’과 같은 화제나 후불벽 봉안을 의미하는 ‘후불도(後佛圖)’ 대신 ‘팔상회(八相繪)’라는 용어를 사용해 해당 영산회상도가 팔상도의 주불화로 일괄 제작되었음을 강..

문화재/국보 2024.06.07

보물 (제2240호) 경주 서봉총 출토 금제 허리띠

종 목보물 (제2240호)명 칭경주 서봉총 출토 금제 허리띠 (慶州 瑞鳳塚 出土 金製 銙帶)분 류유물 / 생활공예 / 금속공예 / 장신구수량/면적1점지 정 일2023.12.26소 재 지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시 대신라시대소 유 자국유 관 리 자국립중앙박물관문화재설명​‘경주 서봉총 출토 금제 허리띠’는 신라시대 고분인 서봉총(瑞鳳塚)을 일제강점기인 1926년 조선총독부박물관이 발굴했을 때 출토된 것이다. 쌍무덤[瓢形墳]의 북분에 해당하는 서봉총은 무덤 내부에 직사각형의 구덩이를 파고 덧널[槨]을 설치한 신라 특유의 돌무지덧널무덤[積石木槨墳]으로 발굴 당시 금관(보물), 금제 귀걸이, ‘연수원년신묘(延壽元年辛卯)’ 기록이 있는 은제 합 등 당시 신라 고분문화를 보여주는..

문화재/보물 2024.05.28

보물 (제2239호) 경주 금령총 출토 금제 허리띠

종 목보물 (제2239호)명 칭경주 금령총 출토 금제 허리띠 (慶州 金鈴塚 出土 金製 銙帶)분 류유물 / 생활공예 / 금속공예 / 장신구수량/면적1점지 정 일2023.12.26소 재 지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시 대신라시대(5세기 말~6세기 초)소 유 자국유 관 리 자국립중앙박물관문화재설명​‘경주 금령총 출토 금제 허리띠’는 신라시대 고분인 금령총(金鈴塚)을 일제강점기인 1924년 조선총독부박물관이 발굴했을 때 출토된 것이다. 금령총은 무덤 내부에 직사각형의 구덩이를 파고 덧널[槨]을 설치한 신라 특유의 돌무지덧널무덤[積石木槨墳]으로 발굴 당시 금관(보물),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국보), 금령 등 당시 신라 고분문화를 보여주는 의미 있는 유물들이 대거 출토된 중요한 ..

문화재/보물 2024.05.28

보물 (제2238호) 청자 음각앵무문 정병

종 목보물 (제2238호)명 칭청자 음각앵무문 정병 (靑磁 陰刻鸚鵡文 淨甁)분 류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청자수량/면적1점지 정 일2023.12.26소 재 지서울특별시 중구시 대고려시대(12세기)소 유 자이*** 관 리 자이*** 문화재설명​정병은 깨끗한 물을 담는 수병(水甁)으로 불교에서 사용된 기물이다. 수행하는 승려가 지니는 물건 중 하나였으며, 부처 앞에 깨끗한 물을 담아 바치는 불교 공양구이다. 볼록한 배 모양의 몸체 옆에 물을 담는 주구(注口)가 있으며, 몸체 위로는 물을 따르는 첨대(尖臺)가 있는 구조이다.​고려시대 정병은 왕실에서 민간에 이르기까지 여러 계층에서 사용했을 뿐 아니라 관청, 도교 사원, 불교 사찰 등 다양한 곳에서 사용되었다. 따라서 품질도 다양하였고 금속, 청자,..

문화재/보물 2024.05.28

보물 (제2237호) 순천 송광사 조계문

종 목보물 (제2237호)명 칭순천 송광사 조계문 (順天 松廣寺 曹溪門)분 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문수량/면적1동지 정 일2023.11.02소 재 지전라남도 순천시 송광사안길 100 (송광면)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송광사관 리 자송광사문화재설명​「순천 송광사 조계문」은 건립연대가 확인되지 않는다. 다만, 1802년(순조 2) 중창되었으며, 1842년(헌종 8) 큰 화재로 송광사의 대부분 전각이 소실되었으나 조계문은 살아남았다는 ‘조계산송광사사고(曹溪山松廣寺史庫)’ 등을 통해, 1802년 이전부터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1886년 제작된 것으로 알려진 ‘순천조계산송광사사적’에 포함된 송광사 배치도에서도 그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정면에 ‘조계산대승선종송광사’라는 현판이 세로로 쓰여 걸렸으며..

문화재/보물 2024.05.28

보물 (제2236호) 달성 용연사 자운문

종 목보물 (제2236호)명 칭달성 용연사 자운문 (達城 龍淵寺 慈雲門)분 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문수량/면적1동지 정 일2023.11.02소 재 지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반송리 산 54-7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용연사 관 리 자용연사 문화재설명​「달성 용연사 자운문」은 1695년(숙종 21년)에 창건된 것으로 상량문(1695년)과 중수기(1938년)가 남아있어 건축연대와 중수연대가 확실하다. 처음 명칭은 ‘일주문’으로 건립되었으나, 1920년 사진자료에는 ‘자운문’으로 편액이 걸려 있어 그 이전에 명칭이 변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정면에 ‘비슬산용연사자운문(琵瑟山龍淵寺慈雲門)’이란 편액을 걸어놓았으며 글씨는 회산 박기돈(晦山 朴基敦, 1873~1948)의 작품이다.​「달성 용연사 자운문」..

문화재/보물 2024.05.28

보물 (제2235호) 하동 쌍계사 일주문

종 목보물 (제2235호)명 칭하동 쌍계사 일주문 (河東 雙磎寺 一柱門)분 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문수량/면적1동지 정 일2023.11.02소 재 지경상남도 하동군 쌍계사길 59 (화개면)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쌍계사 관 리 자쌍계사 문화재설명​「하동 쌍계사 일주문」은 ‘영남하동부쌍계사사사적기문’에 따르면 1641년(인조 19)에 세워졌다. 일주문에는 2개의 편액이 걸려 있는데, 전면에는 ‘삼신산쌍계사(三神山雙磎寺)’와 배면에는 ‘선종대가람(禪宗大伽藍)’이 달렸다. 이는 근대 서화가로 이름을 떨친 해강 김규진(海岡 金圭鎭, 1868~1933)이 쓴 것이다.​「하동 쌍계사 일주문」은 정면 1칸의 겹처마 팔작지붕 건물이다. 전면 평방에 5개 공포, 전체 14개 공포를 올린 다포식 공포 구조로, ..

문화재/보물 2024.05.28

보물 (제2234호) 곡성 태안사 일주문

종 목보물 (제2234호)명 칭곡성 태안사 일주문 (谷城 泰安寺 一柱門)분 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문수량/면적1동지 정 일2023.11.02소 재 지전라남도 곡성군 죽곡면 원달리 산 18-1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태안사 관 리 자태안사 문화재설명​「곡성 태안사 일주문」은 2017년 보수공사에서 확인된 상량문을 통해 1521년(중종 16년)에 ‘조계문(曹溪門)’으로 창건되었음을 알 수 있다. 상량문에 태종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1396~1486)의 수결(手決, 서명) 흔적이 남아있다. 태안사는 6‧25전쟁 당시 거의 소실되었으나 일주문은 능파각(凌波閣)과 더불어 남아 있는 건물 중 하나이다. 일주문 앞면에는 ‘동리산태안사(桐裏山泰安寺)’, 뒷면에는 ‘봉황문(鳳凰門)’이라는 현판이 ..

문화재/보물 2024.05.28

보물 (제2233호) 함양 용추사 일주문

종 목보물 (제2233호)명 칭함양 용추사 일주문 (咸陽 龍湫寺 一柱門)분 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문수량/면적1동지 정 일2023.11.02소 재 지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상원리 960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용추사 관 리 자용추사 문화재설명​「함양 용추사 일주문」은 함양 용추계곡 일대에 옛 장수사(長水寺)의 흔적을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건축물로 1711년(숙종 37)에 건립되었다. 6‧25전쟁 당시 장수사가 화재로 모든 전각이 소실될 때 유일하게 화를 피하였다. 정면 창방에는 ‘덕유산장수사조계문(德裕山長水寺曹溪門)’이라 쓴 현판이 걸려있다. 장수사는 일주문 북쪽에 위치하였던 사찰이며, 현재의 용추사(龍湫寺)는 북쪽으로 약 400m가량 떨어진 용추폭포 근처의 용추암(龍湫庵) 터에 1959년 ..

문화재/보물 2024.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