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17509

보물 (제2222호)기장 고불사 영산회상도

종 목보물 (제2222호)명 칭기장 고불사 영산회상도 (機張 古佛寺 靈山會上圖)분 류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수량/면적1폭지 정 일2023.08.24소 재 지부산광역시 기장군 고촌로28번길 77 (철마면, 고불사)시 대1736년(영조 12)소 유 자대한불교조계종 고불사 관 리 자대한불교조계종 고불사 문화재설명​‘기장 고불사 영산회상도’는 화기에 있는 기록을 통해 1736년(영조 12)이라는 제작연대를 명확히 알 수 있는 불화이다. 화기에 제작 화승이 기록되어 있지 않으나 존상의 특색 있는 머리 모양, 여래를 중심으로 짜임새 있고 안정적으로 구성된 구도와 배치, 채도가 낮은 적색과 녹색의 강한 대비 등으로 볼 때 경북지역, 특히 팔공산 일원에서 활약한 의균, 밀기 등의 화승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 ..

문화재/보물 2024.05.23

국보 (제344호) 밀양 영남루

종 목국보 (제344호)명 칭밀양 영남루 (密陽 嶺南樓)분 류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조경건축 / 누정수량/면적1곽(대루, 능파각, 침류각, 여수각)지 정 일2023.12.28소 재 지경상남도 밀양시 중앙로 324 (내일동, 영남루)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국유 관 리 자밀양시 ​문화재설명​​영남루의 시초는 통일신라 때 세운 영남사(嶺南寺)라는 절에 있던 금벽루(金璧樓) 혹은 소루(小樓), 죽루(竹樓)라 불리는 작은 누각에서 시작된다. 이후 고려 때 절은 폐사되고 누각만 남아 있던 것을 1365년(공민왕 14)에 밀양군수 김주(金湊, 1339∼1404)가 중창하고 영남루(嶺南樓)라 한 것이 관영 누각으로서의 시작이다. 고려시대 정지상(鄭知常, ∼1135)은 영남루에서 바라본 아름다운 야경을 표현한 한시 「..

문화재/국보 2024.05.23

국보 (제343호) 삼척 죽서루

종 목국보 (제343호)명 칭삼척 죽서루 (三陟 竹西樓)분 류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조경건축 / 누정수량/면적1동지 정 일2023.12.28소 재 지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성내동 9-3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국유 관 리 자삼척시 ​문화재설명​​삼척 죽서루는 고려 명종(1171∼1197)대에 활동하였던 김극기(金克己, 1148∼1209)가 죽서루의 풍경을 읊은 시 등을 통해 적어도 12C에는 창건되었으며, 처음에는 ‘서루(西樓)’로 불리다가 14C후반에 들어서 ‘죽서루(竹西樓)’라 불리기 시작했다. 또 김수온(金守溫, 1410∼1481)의 『죽서루단청기(竹西樓丹靑記)』(1472), *허목(許穆, 1595∼1682)의 『죽서루기(竹西樓記)』(1662) 등에서 ‘1403년 부사 김효손(金孝孫, 1373∼142..

문화재/국보 2024.05.15

국보 (제342호) 부안 내소사 동종

종 목국보 (제342호)명 칭부안 내소사 동종 (扶安 來蘇寺 銅鍾)분 류유물 / 불교공예 / 의식법구수량/면적1구지 정 일2023.12.26소 재 지전라북도 부안군 내소사로 243 (진서면, 내소사)시 대1222년(고려 고종 9)소 유 자대한불교조계종 내소사 관 리 자대한불교조계종 내소사 ​문화재설명​사찰에서 사용하는 종은 소리를 통해 범음(梵音)을 전파하는 도구 중 하나로 법고, 운판, 목어와 더불어 법구사물(法具四物)로 불린다. 종은 대중을 모이게 하거나 시간을 알리기 위해 치기도 하지만, 신성한 불음(佛音)을 통해 현실에서 고통 받고 있는 중생들의 깨달음과 구제를 염원하는 종교적 기능도 가지고 있다.​‘부안 내소사 동종’은 몸체에 음각으로 새겨진 주종기(鑄鍾記)를 통해 도인(道人) 허백(虛白)과 종..

문화재/국보 2024.05.15

국보 (제341호) 이순신 장검

종 목국보 (제341호)명 칭이순신 장검 (李舜臣 長劍)분 류유물 / 과학기술 / 무기병기류 / 무기무구류수량/면적2자루지 정 일2023.08.24소 재 지충청남도 아산시 현충사길 126 (염치읍)시 대조선시대(1594년)소 유 자문화재청 현충사관리소 관 리 자문화재청 현충사관리소 ​문화재설명​‘이순신 장검’은 1963년 보물로 지정된 ‘이순신 유물 일괄’에 포함된 도검으로 길이가 약 2m에 달하며 크기와 형태가 거의 같은 한 쌍이 각각 칼집을 갖추고 있다. 칼자루는 나무에 어피를 감싸고 붉은 칠을 하였으며, 일부분만 직사각형의 금속판을 댄 후 가죽끈을 X자로 교차해 감고 끈 위에 검은 칠을 하여 칼자루를 잡았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였다. 외날의 칼날은 칼등 방향으로 조금 휘어 있으며, 칼날의 단면은..

문화재/국보 2024.05.15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681호) 영주 식암 황섬 신도비

종 목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681호) 명 칭 영주 식암 황섬 신도비 (榮州 息庵 黃暹 神道碑) 분 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수량/면적 1기 지 정 일 2020.11.26 소 재 지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태장리 82-1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창원황씨 정익공파 문중 관 리 자 창원황씨 정익공파 문중 문화재 설명 ​ 황섬은 1544년 풍기읍 백1리(희여골)에서 태어났다. 자는 경명(景明)이고, 호는 식암(息庵)이며, 본관은 창원(昌原)이다. 어려서부터 사리에 밝게 통달하고 뛰어나서 큰 그릇이 될 도량과 소질이 있었다. 명종 19년(1564년)에 생원에 합격하고, 명종 22년(1567년)에 어머니 정부인의 상을 당하여 3년간 시묘살이를 했다. 선조 3년(1570년) 명경 갑과에 급제..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680호) 영주 수락당

종 목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680호) 명 칭 영주 수락당 (榮州 壽樂堂) 분 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조경건축 / 누정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2020.09.14 소 재 지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백리 238-1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창원황씨 정익공파 문중 관 리 자 창원황씨 정익공파 문중 일반설명 ​ 영주 수락당은 조선 선조 때 활약한 황섬(黃暹, 1544~1616)이 17세기경에 건립하였다. 원래는 황섬이 후학을 양성하기 위해 지은 학당이었으나, 나중에는 창원 황씨 집안의 사랑채로 활용되었다. 당호는 붕당의 피해를 입지 않고 목숨을 온전히 보전하고 돌아왔다는 의미의 목숨 수(壽)자와 벼슬을 떠나 시골에서 추수의 풍족함을 기다리는 것이 즐겁다는 의미의 즐거울 락(樂)자를 합쳐 수락당이..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679호) 고령 노강서원 고문헌

종 목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679호) 명 칭 고령 노강서원 고문헌 (高靈 老江書院 古文獻) 분 류 기록유산 / 문서류 / 문서류 수량/면적 19점 지 정 일 2020.06.08 소 재 지 경상북도 고령군 다산로 92 (다산면, 노강서원) (대가야박물관 보관)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노강서원 관 리 자 노강서원 문화재 설명 ​ 조선후기 영남지역 노론계 서원의 하나인 노강서원에서 소장하였던 고문헌 24점이다. 원임안(院任案),원록(院錄), 계안(契案), 심원록(尋院錄)과 서원 관련 시문 및 필적 등으로 대부분 18세기 중반∼20세기에 작성된 것이다. ​ 필사본으로 된 유일본일 뿐만 아니라 조선후기 영남지역 노론계 서원의 역사, 인적구성 등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라 판단되며 20세기 이후 작성된..

사적 (제570호) 대구 팔거산성

종 목사적 (제570호)명 칭대구 팔거산성 (大邱 八莒山城)분 류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수량/면적111,368㎡지 정 일2023.06.27소 재 지대구광역시 북구 구암동 산 64시 대신라시대소 유 자대구광역시관 리 자대구광역시문화재설명​팔거산성은 북구 노곡동 산1-3번지, 함지산 정상에 소재한고 하고 있으며 대구광역시 기념물 제6호(1988,530)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16세기에 간행된 성주목 고적조(古蹟條)에 의하면 ‘돌로 쌓았는데 둘레가 2,423척이다. 지금은 반은 퇴락했다. 안에는 샘 둘과 못 하나가 있다.’라고 했고, 19세기에 간행된 에 고적조에는 ‘칠곡부(漆谷府)의 남쪽 5 리에 있는 퇴천방(退川坊)에 위치하고 있다. 흙으로 쌓았는데 2,423척이고 샘(泉)이 두 개, ..

문화재/사적 2023.07.25

보물 (제2221호) 강진 백련사 대웅보전

종 목 보물 (제2221호) 명 칭 강진 백련사 대웅보전 (康津 白蓮寺 大雄寶殿)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2023.06.26 소 재 지 전라남도 강진군 백련사길 145 (도암면, 백련사)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백련사 관 리 자 백련사 문화재설명 ​ 강진 백련사는 고려말 원묘국사 요세(1163∼1245)의 결사처로서 조선시대에도 많은 승려들이 수행했던 사찰이며, 주불전인 대웅보전은 1760년 화재 이후 중창 불사를 통해 1762년에 중수 건물이다. 강진 백련사 대웅보전의 문화재적 가치는 다음과 같다. ​ 첫째, 18세기 불전 건축의 장식화 경향을 대표하는 사례이다. 백련사 대웅보전의 공포는 외3출목 내4출목 형식이다. 제공의 외부는 초제공에서부터 3..

문화재/보물 2023.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