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17418

국가등록문화재 (제819-6호) 서천 판교 구 중대본부

종 목 국가등록문화재 (제819-6호) 명 칭 서천 판교 구 중대본부 분 류 등록문화재 / 기타 / 수량/면적 92.36㎡ 지 정 일 2021.10.13 소 재 지 충청남도 서천군 시 대 1964년 소 유 자 서천군 관 리 자 서천군 ​일반설명 1964년 당시 판교면사무소 바로 옆에 건축되어 구 판교면사무소와 함께 지역의 대표적, 상징적 관공서 건물로 역할을 하였고 현재 기본적 건축형식과 건축원형의 보존상태도 전체적으로 양호한 시설로 판교의 근대기 행정시설 배치와 마을공간의 성격변화를 증언할 수 있는 귀중한 문화유산으로 등록할만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국가등록문화재 (제819-5호) 서천 판교 근대상가주택 2

종 목 국가등록문화재 (제819-5호) 명 칭 서천 판교 근대상가주택 2 분 류 등록문화재 / 기타 / 수량/면적 148.76㎡ 지 정 일 2021.10.13 소 재 지 충청남도 서천군 시 대 1931년 소 유 자 신*** 관 리 자 서천군 ​일반설명 판교역 전면도로에 면하여 옛 중심도로에서 이루어졌던 상업시설들의 양태 등을 확인할 수 있고 1931년 최초 건축된 후 주변 상권발달에 따라 근대기 생활문화를 반영하여 점포가 증축되면서 주거기능의 누적된 변화 과정을 잘 보여주는 사례로 등록할만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국가등록문화재 (제819-4호) 서천 판교 구 삼화정미소(오방앗간)

종 목 국가등록문화재 (제819-4호) 명 칭 서천 판교 구 삼화정미소(오방앗간) 분 류 등록문화재 / 기타 / 수량/면적 148.76㎡ 지 정 일 2021.10.13 소 재 지 충청남도 서천군 시 대 1970년대 소 유 자 서천군 관 리 자 서천군 ​일반설명 판교를 가장 대표적으로 상징할 수 있는 지역 쌀 유통의 주요 산업시설로 자연목을 주로 활용한 복잡한 절충식 목조구조체와 정미용 설비가 잘 조화되며 기능적 공간을 구성하였고 현재 기본적 건축형식과 원형뿐 만 아니라 내부 정미설비도 작동 가능한 상태로 잘 보존되고 있어 등록할만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국가등록문화재 (제819-3호) 서천 판교 근대상가주택 1

종 목 국가등록문화재 (제819-3호) 명 칭 서천 판교 근대상가주택 1 분 류 등록문화재 / 기타 / 수량/면적 219㎡ 지 정 일 2021.10.13 소 재 지 충청남도 서천군 시 대 1932년대 소 유 자 서천군 관 리 자 서천군 ​일반설명 1932년 당시로서는 드물게 2층으로 건축되어 독특한 외관과 공간구성을 가진 목조건물로 판교 장터의 중요한 진입부에 자리하며 현재까지 시가지에서 상징적 건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기본적인 건축형식은 원형 그대로 유지하고 있고 2층 목조 상가 건축물의 공간 구성과 특성을 보여주는 문화유산으로 등록할만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국가등록문화재 (제819-2호) 서천 판교 구 동일주조장

종 목 국가등록문화재 (제819-2호) 명 칭 서천 판교 구 동일주조장 분 류 등록문화재 / 기타 / 생산시설 수량/면적 294.2㎡ 지 정 일 2021.10.13 소 재 지 충청남도 서천군 시 대 1970년대 소 유 자 박*** 관 리 자 서천군 ​일반설명 판교의 산업시설 중 현존하고 있는 유일한 주조장으로서 원형 대부분을 유지하고 있으며, 지역 양조산업의 단면을 보여주는 시설로 과거 판교 지역의 근대기와 번영기를 대표하는 역사적, 상징적 산업시설로서 등록할만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국가등록문화재 (제819호) 서천 판교 근대역사문화공간

종 목 국가등록문화재 (제819호) 명 칭 서천 판교 근대역사문화공간 분 류 등록문화재 / 기타 / 기타 시설물 수량/면적 22,768㎡(93필지) 지 정 일 2021.10.13 소 재 지 충청남도 서천군 시 대 1930 소 유 자 서천군 관 리 자 서천군 ​ 일반설명 「서천 판교 근대역사문화공간」은 1930년 장항선 판교역 철도개통과 함께 근대기 서천지역 활성화 중심지로 양곡을 비롯한 물자의 수송과 정미, 양곡, 양조산업, 장터가 형성되어 한국 산업화 시기의 번성기를 맞이하였고 2008년 철도역 이전으로 본격적인 쇠퇴의 과정을 거친 근‧현대기 농촌지역 역사 흐름의 흔적들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공간이다. 이러한 생활사적 변화의 모습을 알 수 있는 다양한 문화유산들이 집약적으로 분포하고 있어 면적 공간단..

국가등록문화재 (제818호) 김좌진 장군 사회장 약력서

종 목 국가등록문화재 (제818호) 명 칭 김좌진 장군 사회장 약력서 분 류 등록문화재 / 기타 / 동산 수량/면적 1건1점 지 정 일 2021.10.13 소 재 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독립기념관로 1 (목천읍, 독립기념관) 시 대 1930 소 유 자 독립기념관 관 리 자 독립기념관 ​일반설명 ‘김좌진 장군 사회장 약력서’는 1930년 1월 만주에서 순국한 독립운동가 김좌진 장군의 사회장(1930년 3월)에서 낭독된 약력서이다. 김좌진(金佐鎭, 1889.11.24.-1930.1.24.) 장군은 일제강점기 만주지역에서 무장독립군을 이끌며 ‘청산리대첩’을 승리로 이끌었던 한국독립운동사의 무장투쟁을 대표하는 인물이다. 본 약력서는 그의 출생과 성장, 사망, 주요 활동과 사상, 가족관계 등을 연도별로 상세히..

국가등록문화재 (제817호) 한국광복군 훈련교재 정훈대강

종 목 국가등록문화재 (제817호) 명 칭 한국광복군 훈련교재 정훈대강 분 류 등록문화재 / 기타 / 동산 수량/면적 1건1점 지 정 일 2021.10.13 소 재 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독립기념관로 1 (목천읍, 독립기념관) 시 대 1945년 소 유 자 독립기념관 관 리 자 독립기념관 ​일반설명 한국광복군 훈련교재 정훈대강은 1945년 5월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정훈처에서 발행한 훈련교제이다. 일반강령 기본정책 본국의 정훈계획(학과훈련 선전대강) 등 조국광복의 최선봉을 담당할 한국광복군의 강철같은 정신무장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한국광복군이 중국군사위원회에 예속되어 있다가 중국과 끊임없는 교섭을 거처 마침내 1945년 5월 대한민국임시정부 소속으로 바뀐것을 기념하는 의미도 있다

국가등록문화재 (제816호) 한국광복군 기관지 광복

종 목 국가등록문화재 (제816호) 명 칭 한국광복군 기관지 광복(光復) 분 류 등록문화재 / 기타 / 동산 수량/면적 1건6점 지 정 일 2021.10.13 소 재 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독립기념관로 1 (목천읍, 독립기념관) 시 대 1941~1942 소 유 자 독립기념관 관 리 자 독립기념관 ​ 일반설명 한국광복군 기관지 광복은 한국인과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국광복군의 대일항전을 선전하여 항일독립사상을 널리 전파하기 위해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정훈처에서 발행한 기관지이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한국광복군의 독립운동 취지와 활동상황을 군시 외교 국제정치 경제 등 다양한 측면에서 조명하고 있어 독립운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가진다. 또한 기관지 제목인 광복의 글씨를 한국군 총사령관 이청천(또는 지청천)의 필..

국가등록문화재 (제815호)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성립 전례식 축하문

종 목 국가등록문화재 (제815호) 명 칭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성립 전례식 축하문 분 류 등록문화재 / 기타 / 동산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1.10.13 소 재 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독립기념관로 1 (목천읍, 독립기념관) 시 대 1940 소 유 자 독립기념관 관 리 자 독립기념관 ​ 일반설명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성립 전례식 축하문’은 1940년 9월 17일 중국 충칭의 가릉빈관에서 임시정부 주석이자 광복군창설위원회 위원장인 김구 주관하에 거행된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성립 전례식 관련 유물이다. 내용은 한중이 연합하여 일본에 대한 항전에서 승리하자는 의지를 담은 것이며, 이제심 등 10명의 작성자 명단을 확인할 수 있는 역사적 가치가 높은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