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8376

보물 (제2104호) 안동 병산서원 만대루

종 목 보물 (제2104호) 명 칭 안동 병산서원 만대루 (安東 屛山書院 晩對樓) 분 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서원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2020.12.28 소 재 지 경상북도 안동시 병산길 386 (풍천면, 병산서원) 시 대 조선시대(1717년 이전 건립) 소 유 자 병산서원 관 리 자 병산서원 일반설명 만대루는 퇴계 이황의 문인으로 조선 중기 대표 문신・학자인 류성룡과 류진을 모신 병산서원의 누각건물로 유생들이 유식하고 주변 산천의 풍광을 보며 시회를 가졌던 공간임. 건립은 17세기 서원의 창건기에 비롯하였다는 점은 분명하지만, 현재의 건물이 그 당시의 것 그대로인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박하고 단단한 가구의 구성과 세부 기법의 처리는 조선후기의 번잡함이나 ..

문화재/보물 2023.04.12

보물 (제2103호) 구미 금오서원 상현묘

종 목 보물 (제2103호) 명 칭 구미 금오서원 상현묘 (龜尾 金烏書院 尙賢廟) 분 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서원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2020.12.28 소 재 지 경상북도 구미시 유학길 593-31 (선산읍, 금오서원) 시 대 조선시대(1602년 중건) 소 유 자 금오서원 관 리 자 금오서원 일반설명 상현묘는 정면 3칸, 측면 3칸 규모의 출목 2익공 5량가의 맞배지붕 건물로, 평면구성은 전면에 퇴칸을 설정하지 않고 전후 평주 사이에 벽과 출입문을 설치하여 사당 내부 공간을 넓게 확보한 점이 눈에 띄며, 출목 2익공의 세부 형상은 17세기의 시대특징을 간직하고 있으며 내부 지붕틀은 대들보와 종보를 걸고 장식이 가미된 대공을 설치함. 조선시대 사당 건물은 적어도 전면에는 개방된..

문화재/보물 2023.04.12

보물 (제2102호) 구미 금오서원 정학당

종 목 보물 (제2102호) 명 칭 구미 금오서원 정학당 (龜尾 金烏書院 正學堂) 분 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서원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2020.12.28 소 재 지 경상북도 구미시 유학길 593-31 (선산읍, 금오서원) 시 대 조선시대(1602년 중건) 소 유 자 금오서원 관 리 자 금오서원 일반설명 금오서원은 길재를 포함하여 김종직, 정붕, 박영이 배향된 서원으로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도 살아남은 47개 서원 중 하나임. 처음 금오서원의 위치는 길재가 노년을 보냈던 구미 금오산으로 1572년 봄에 창건하였으나, 임진왜란 때 모든 건물이 소실된 후 1602년에 현재의 위치에 재건함. 재건 이후 중건 기록이 없이 현재까지 당시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으며, 청방칸에 고주를 ..

문화재/보물 2023.04.12

보물 (제2101호) 순천향교 대성전

종 목 보물 (제2101호) 명 칭 순천향교 대성전 (順天鄕校 大成殿) 분 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향교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2020.12.28 소 재 지 전라남도 순천시 향교길 60 (금곡동, 순천향교) 시 대 조선시대(1649년 건립, 1780‧1801년 이건) 소 유 자 순천향교 관 리 자 순천향교 일반설명 「순천향교」는 고려 성종 대에 학교가 설치되었는데, 호남지역에서는 순천, 나주, 전주 3곳뿐으로, 이러한 중요성과 위상 때문에 1407년 순천도호부의 향교로 설치되어, 여수․광양․돌산 등 인근 군현들의 향교를 관할하게 됨. 순천향교는 1407년에 건립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재 대성전은 건물의 도리하부에 쓰인 상량문이 1649년의 것임. 그 후 1780년에 이건할 때..

문화재/보물 2023.04.12

보물 (제2100호) 담양 창평향교 명륜당

종 목 보물 (제2100호) 명 칭 담양 창평향교 명륜당 (潭陽 昌平鄕校 明倫堂) 분 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향교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2020.12.28 소 재 지 전라남도 담양군 교촌길 43-11 (고서면) 시 대 조선시대(1600년대 중건 추정) 소 유 자 창평향교 관 리 자 창평향교 일반설명 담양 창평향교는 창건 이래 여러 번의 중수를 거쳤으며, 현재의 모습은 중수기를 통해 1689년(숙종 15)에 갖추어 진 것을 알 수 있음. 향교의 배치 형식은 ‘ㅁ’자 형으로 독특한 모습이며, 대성전 앞에 마당을 담장으로 구획하고 담장 밖 좌우에 동·서재를 두고 축선에서 약간 치우쳐 명륜당을 두고 있음. 명륜당은 정면 4칸, 측면 3칸(우측면은 2칸) 규모의 맞배지붕이며, 양 박공 면..

문화재/보물 2023.04.12

보물 (제2099호) 담양 창평향교 대성전

종 목 보물 (제2099호) 명 칭 담양 창평향교 대성전 (潭陽 昌平鄕校 大成殿) 분 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향교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2020.12.28 소 재 지 전라남도 담양군 교촌길 43-11 (고서면) 시 대 조선시대(1479년 이건, 1689년 중수) 소 유 자 창평향교 관 리 자 창평향교 일반설명 담양 창평향교는 창건 이래 여러 번의 중수를 거쳤으며, 현재의 모습은 중수기를 통해 1689년(숙종 15)에 갖추어 진 것을 알 수 있음. 향교의 배치 형식은 ‘ㅁ’자 형으로 독특한 모습이며, 대성전 앞에 마당을 담장으로 구획하고 담장 밖 좌우에 동·서재를 두고 축선에서 약간 치우쳐 명륜당을 두고 있음. 강학구역은 호남지방 향교의 특징인 ‘전당후재(前堂後齋)’형식인데 대지가..

문화재/보물 2023.04.12

보물 (제2098호) 경주향교 동무‧서무‧신삼문

종 목 보물 (제2098호) 명 칭 경주향교 동무‧서무‧신삼문 (慶州鄕校 東廡‧西廡‧神三門) 분 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향교 수량/면적 3동 지 정 일 2020.12.28 소 재 지 경상북도 경주시 교촌안길 27-20 (교동, 경주향교) 시 대 조선시대(동무‧서무 1604년 중건/신삼문 1602년 중건) 소 유 자 경상북도향교재단 관 리 자 경주향교 일반설명 동․서무는 1604년 중건 이래 1829년, 1995년 보수를 거쳐 현재에 이르며, 대성전과 함께 경주 향교의 제향공간을 구성하는 건축물임. 정면 12칸으로 우리나라 현존하는 향교의 무 건축물 가운데 가장 길며, 큰 도리칸의 규모를 갖고 있고, 장식을 지극히 억제하고 있음. 또한 기둥과 인방재가 가로세로로 이루어진 격자형의 골격에..

문화재/보물 2023.04.12

보물 (제2097호) 경주향교 명륜당

종 목 보물 (제2097호) 명 칭 경주향교 명륜당 (慶州鄕校 明倫堂) 분 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향교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2020.12.28 소 재 지 경상북도 경주시 교촌안길 27-20 (교동, 경주향교) 시 대 조선시대(1614년 중건) 소 유 자 경상북도향교재단 관 리 자 경주향교 ​일반설명 경주향교의 시초는 신라의 국학으로, 유교적 교육기관이 설립되었고, 고려시대에도 그 자리에 향학이 운영되었으며, 조선시대 기록에도 신라의 국학 자리를 잇는다고 기록됨. 명륜당은 1614년 중건 이래 18세기와 19세기에 중수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는 오래된 건축물로서, 정면 5칸, 측면 3칸의 2고주 5량가의 맞배집으로 우리나라 현존하는 향교 명륜당 가운데 객사형(성균관, 나주향교 ..

문화재/보물 2023.04.12

보물 (제2096호) 상주향교 대성전‧동무‧서무

종 목 보물 (제2096호) 명 칭 상주향교 대성전‧동무‧서무 (尙州鄕校 大成殿‧東廡‧西廡) 분 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향교 수량/면적 3동 지 정 일 2020.12.28 소 재 지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2길 111 (신봉동) 시 대 조선시대(대성전 1610년 재건, 1617년 중건/동무‧서무 1612년 중건) 소 유 자 경상북도향교재단 관 리 자 상주향교 일반설명 「상주향교」는 기록상으로는 고려 고종 34년(1247년) 이전부터 존재했던 것으로 알려지며(최자 「보한집」), 그 후 1486년 목사 강구손(姜龜孫)이 성전, 루, 동재 등을 중수하였다고 함. 임진왜란 때 소실된 후 광해군 때 대대적인 복구가 이루어졌고, 이후 중수와 일제강점기 때 기능이 바뀌면서 창호 등에 변형이 있었으나,..

문화재/보물 2023.04.12

보물 (제2095호) 밀양향교 명륜당

종 목 보물 (제2095호) 명 칭 밀양향교 명륜당 (密陽鄕校 明倫堂) 분 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향교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2020.12.28 소 재 지 경상남도 밀양시 밀양향교3길 19 (교동) 시 대 조선시대(1618년 중건, 1803년 중수) 소 유 자 경상남도향교재단 관 리 자 밀양향교 일반설명 「밀양향교 명륜당」은 경남지역 향교 건축 중 보존상태가 양호한 건물로, 임란 때 소실된 것을 1618년에 중건한 것으로 조선 중기 명륜당 건축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좋은 자료로 평가됨. 규모가 큰 명륜당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중당협실형(中堂夾室型) 평면을 잘 보존하고 있고, 익공형태가 17세기 모습을 유지하고 있으며 규모에 따른 구조적 보강법도 경남지역 명륜당 건물에서 흔하지 않..

문화재/보물 2023.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