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8369

보물 (제2245호) ‘천수원’명 청동북

종 목보물 (제2245호)명 칭‘천수원’명 청동북 (‘薦壽院’銘 金鼓)분 류유물 / 불교공예 / 공양구수량/면적1구지 정 일2024.02.21소 재 지충청남도 아산시 충무로 123 (권곡동, 온양민속박물관)시 대1162년(고려 의종 16)소 유 자(재)구정문화재단 관 리 자온양민속박물관 문화재설명​사찰에서 사용하는 청동북은 부처님의 자비광명을 시각화한 것으로 둥근 형태 및 표면의 둥근 선들은 불법과 광명의 확산을 의미하는 것이다. 청동북은 각종 의례나 법회 등에서 대중을 규합하는 용도로 치기도 하지만, 그 울림소리를 통해 인간이 지은 잘못을 뉘우치게 하여 결국 깨달음에 이르게 해주는 종교적 기능도 가지고 있다​온양민속박물관 소장 ‘천수원’명 청동북은 표면을 굵고 가는 선을 통해 중심에서부터 당좌구→내구→..

문화재/보물 2024.06.08

보물 (제2244호) 칠곡 송림사 석조삼장보살좌상 및 목조시왕상 일괄

종 목보물 (제2244호)명 칭칠곡 송림사 석조삼장보살좌상 및 목조시왕상 일괄 (漆谷 松林寺 石造三藏菩薩坐像 및 木造十王像 一括)분 류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수량/면적존상 24구, 발원문 3점, 후령통 5점지 정 일2024.02.21소 재 지경상북도 칠곡군 송림길 73 (동명면, 대한불교조계종 송림사)시 대조선 현종6년(1665년)소 유 자대한불교조계종 송림사 관 리 자대한불교조계종 송림사 문화재설명​칠곡 송림사 석조삼장보살좌상 및 목조시왕상 일괄은 수조각승 승일(勝一)을 비롯, 성조(性照), 자규(自圭) 등의 조각승들이 1665년(현종 6) 완성해 송림사 명부전에 봉안한 것이다. 삼장보살은 천상, 지상, 지옥의 세계를 아우르는 개념으로 조선시대 사찰에서 봉행한 천도재의 하나인 수륙재에서 공양..

문화재/보물 2024.06.08

보물 (제2243호) 협주석가여래성도기

종 목보물 (제2243호)명 칭협주석가여래성도기 (夾註釋迦如來成道記)분 류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수량/면적1권 1책지 정 일2024.02.21소 재 지서울특별시 광진구시 대1253년(고려 고종 40)소 유 자이*** 관 리 자이*** 문화재설명​주석가여래성도기는 중국 당나라 때 왕발(王勃)이 지은 ?석가여래성도기?에 송나라 혜오대사(慧悟大師) 도성(道誠)이 주해를 붙인 주해서이다. 석가모니의 탄생・성장부터 깨달음과 열반에 이르는 일대기를 담고 있다. 이 자료는 1권 완질본으로 표지가 탈락되어 있으나 대체로 보존 상태가 양호하고, 본문에는 조선 초기의 구결과 함께 교정 또는 벽자(僻字)의 음을 표시한 묵서가 있다.​이 책은 권미제 아래 공란 부분에 ‘癸丑歲分司大藏都監重彫’라는 간행 정보가 양각되어 있..

문화재/보물 2024.06.08

보물 (제2242호) 안동 선찰사 목조석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종 목보물 (제2242호)명 칭안동 선찰사 목조석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安東 仙刹寺 木造釋迦如來坐像 및 腹藏遺物)분 류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수량/면적불상 1구, 조성발원문 1점, 묵서편 1점, 저고리 1점, 후령통 일괄 5점지 정 일2023.12.26소 재 지경상북도 안동시 웃장터길 91-17 (길안면, 대한불교조계종 선찰사)시 대1622년(조선 광해군 14)소 유 자대한불교조계종 선찰사 관 리 자대한불교조계종 선찰사 문화재설명​‘안동 선찰사 목조석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은 수조각승 현진(玄眞)을 비롯해 응원(應元), 수연(守衍), 성인(性仁), 인균(印均) 등 당대 최고의 기량을 가진 조각승들이 대거 참여하여 1622년(광해군 14) 조성한 불상 및 복장유물이다. 복장에서 발견된 조성발원..

문화재/보물 2024.06.08

보물 (제2241호) 복재선생집

종 목보물 (제2241호)명 칭복재선생집 (復齋先生集)분 류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수량/면적2권1책지 정 일2023.12.26소 재 지경상남도 진주시 진주대로 501 (가좌동, 경상국립대학교 가좌캠퍼스) 고문헌도서관시 대1446년(조선 세종 28) 판각 및 인출소 유 자경상국립대학교관 리 자경상국립대학교 고문헌도서관문화재설명​‘복재선생집’은 조선 개국공신인 복재(復齋) 정총(鄭摠, 1358∼1397)의 유고 시문집이다. 황보량(皇甫良)이 지은 발문(跋文)에 이 책의 간행 경위가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는데, 1446년(세종 28) 그의 둘째 아들 정효충(鄭孝忠)이 수집・편차(編次)하고 손자인 정옥경(鄭沃卿)이 편집하여 강원도 관찰사(觀察使) 이선제(李先齊) 및 도사(都事) 정호연(鄭浩然)에게 ‘복재선생..

문화재/보물 2024.06.08

국보 (제345호)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

종 목국보 (제345호)명 칭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 (順天 松廣寺 靈山會上圖 및 八相圖)분 류유물 / 불교회화 / 괘불화수량/면적9폭(영산회상도 1폭, 팔상도 8폭)지 정 일2024.05.27소 재 지전라남도 순천시 송광사안길 100 (송광면, 대한불교조계종 송광사)시 대1725년(조선 영조 1)소 유 자대한불교조계종 송광사 관 리 자송광사성보박물관 ​문화재설명​​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는 송광사 영산전에 봉안하기 위해 일괄로 제작한 불화로 영산회상도 1폭과 팔상도 8폭으로 구성되어 있다. 영산회상도 화기에 ‘영산회상(靈山會上)’과 같은 화제나 후불벽 봉안을 의미하는 ‘후불도(後佛圖)’ 대신 ‘팔상회(八相繪)’라는 용어를 사용해 해당 영산회상도가 팔상도의 주불화로 일괄 제작되었음을 강..

문화재/국보 2024.06.07

보물 (제2240호) 경주 서봉총 출토 금제 허리띠

종 목보물 (제2240호)명 칭경주 서봉총 출토 금제 허리띠 (慶州 瑞鳳塚 出土 金製 銙帶)분 류유물 / 생활공예 / 금속공예 / 장신구수량/면적1점지 정 일2023.12.26소 재 지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시 대신라시대소 유 자국유 관 리 자국립중앙박물관문화재설명​‘경주 서봉총 출토 금제 허리띠’는 신라시대 고분인 서봉총(瑞鳳塚)을 일제강점기인 1926년 조선총독부박물관이 발굴했을 때 출토된 것이다. 쌍무덤[瓢形墳]의 북분에 해당하는 서봉총은 무덤 내부에 직사각형의 구덩이를 파고 덧널[槨]을 설치한 신라 특유의 돌무지덧널무덤[積石木槨墳]으로 발굴 당시 금관(보물), 금제 귀걸이, ‘연수원년신묘(延壽元年辛卯)’ 기록이 있는 은제 합 등 당시 신라 고분문화를 보여주는..

문화재/보물 2024.05.28

보물 (제2239호) 경주 금령총 출토 금제 허리띠

종 목보물 (제2239호)명 칭경주 금령총 출토 금제 허리띠 (慶州 金鈴塚 出土 金製 銙帶)분 류유물 / 생활공예 / 금속공예 / 장신구수량/면적1점지 정 일2023.12.26소 재 지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시 대신라시대(5세기 말~6세기 초)소 유 자국유 관 리 자국립중앙박물관문화재설명​‘경주 금령총 출토 금제 허리띠’는 신라시대 고분인 금령총(金鈴塚)을 일제강점기인 1924년 조선총독부박물관이 발굴했을 때 출토된 것이다. 금령총은 무덤 내부에 직사각형의 구덩이를 파고 덧널[槨]을 설치한 신라 특유의 돌무지덧널무덤[積石木槨墳]으로 발굴 당시 금관(보물),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국보), 금령 등 당시 신라 고분문화를 보여주는 의미 있는 유물들이 대거 출토된 중요한 ..

문화재/보물 2024.05.28

보물 (제2238호) 청자 음각앵무문 정병

종 목보물 (제2238호)명 칭청자 음각앵무문 정병 (靑磁 陰刻鸚鵡文 淨甁)분 류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청자수량/면적1점지 정 일2023.12.26소 재 지서울특별시 중구시 대고려시대(12세기)소 유 자이*** 관 리 자이*** 문화재설명​정병은 깨끗한 물을 담는 수병(水甁)으로 불교에서 사용된 기물이다. 수행하는 승려가 지니는 물건 중 하나였으며, 부처 앞에 깨끗한 물을 담아 바치는 불교 공양구이다. 볼록한 배 모양의 몸체 옆에 물을 담는 주구(注口)가 있으며, 몸체 위로는 물을 따르는 첨대(尖臺)가 있는 구조이다.​고려시대 정병은 왕실에서 민간에 이르기까지 여러 계층에서 사용했을 뿐 아니라 관청, 도교 사원, 불교 사찰 등 다양한 곳에서 사용되었다. 따라서 품질도 다양하였고 금속, 청자,..

문화재/보물 2024.05.28

보물 (제2237호) 순천 송광사 조계문

종 목보물 (제2237호)명 칭순천 송광사 조계문 (順天 松廣寺 曹溪門)분 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문수량/면적1동지 정 일2023.11.02소 재 지전라남도 순천시 송광사안길 100 (송광면)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송광사관 리 자송광사문화재설명​「순천 송광사 조계문」은 건립연대가 확인되지 않는다. 다만, 1802년(순조 2) 중창되었으며, 1842년(헌종 8) 큰 화재로 송광사의 대부분 전각이 소실되었으나 조계문은 살아남았다는 ‘조계산송광사사고(曹溪山松廣寺史庫)’ 등을 통해, 1802년 이전부터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1886년 제작된 것으로 알려진 ‘순천조계산송광사사적’에 포함된 송광사 배치도에서도 그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정면에 ‘조계산대승선종송광사’라는 현판이 세로로 쓰여 걸렸으며..

문화재/보물 2024.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