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8376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59호) 봉화 각화사 서암 신중도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명 칭 봉화 각화사 서암 신중도 (奉化 覺華寺 西庵 神衆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수량/면적 1幅(폭) 지 정 일 2021.03.22 소 재 지 경상북도 봉화군 시 대 조선시대 (1797년) 소 유 자 서암 관 리 자 각화사 ​ 일반설명 봉화 각화사 서암 신중도는 세 폭의 비단을 가로로 이어 화폭을 구성한 세로 127㎝, 가로 109.2㎝ 크기의 불화로, 제석천과 위태천을 중심으로 배치한 제석천룡도의 형식을 갖고 있다. 하단 중앙의 화기(畵記)를 통해 1797년에 부첨(富沾)이 수화승으로 조성했음을 알 수 있다. 안정적 구도에 섬세한 인물 표현 등 18세기 후반 경북 일대에서 활약하던 화승들의 화풍적 특징을 잘 보여주는 작품으로 가치가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58호) 의성수정사 지장시왕도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58호) 명 칭 의성 수정사 지장시왕도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보살도 수량/면적 1폭 지 정 일 2021.03.22 소 재 지 경상북도 의성군 수정사길 420 (금성면)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수정사 관 리 자 수정사 문화재설명 의성 수정사 명부전에 봉안되어 있는 이 불화는 여섯 폭의 비단을 잇대어 화폭을 구성한 세로 211㎝, 가로 214㎝ 크기의 불화로, 본존인 지장보살을 중심으로 존격들을 상하 4단으로 층을 나누어 구성하였다. 채색은 적색과 녹색이 강한 대비를 이루면서도 본존의 거신광과 하단 중앙의 꽃을 형광색과 하늘색으로 사용하여 화면 중심을 밝게 하였다. 하단 좌우측의 화기를 통해, 1821년에 경상도 사불산화파의 대표적인 화승인 퇴운당 신겸(1..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57호) 의성 수정사 석조 지장삼존상.시왕상 및 복장물 일괄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57호) 명 칭 의성 수정사 석조 지장삼존상. 시왕상 및 복장물 일괄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19구 지 정 일 2021.03.22 소 재 지 경상북도 의성군 수정사길 420 (금성면) 시 대 조선시대(숭호파의 보장이 조각승으로 참여) 소 유 자 수정사 관 리 자 수정사 문화재설명 수정사 명부전(冥府殿)에는 주존인 석조지장삼존(石造地藏三尊)을 중심으로 시왕상(十王像) 등, 19존(尊)으로 구성되어 있다. 명부전 안에 있는 지장시왕도의 화기(畵記, 불화에 쓰여진 기록)에 「도광원년사월일 명부시왕불상(道光元年四月日 冥府十王佛像…)」이라는 내용으로 미루어 보아 지장시왕도와 같은 시기인 조선 순조 21년(1821)경에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석조지..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56호) 의성수정사석조아미타삼존여래좌상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56호) 명 칭 의성수정사석조아미타삼존여래좌상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3구 지 정 일 2021.03.22 소 재 지 경상북도 의성군 수정사길 420 (금성면)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수정사 관 리 자 수정사 문화재설명 의성 수정사 대광전에 봉안되어 있는 이 삼존불상은 17세기 말경에 경주를 중심으로 활동한 승호파(勝湖派)의 양식을 지닌 불상이다. 불상의 재료는 경주산 불석(Zeolite)이다. 본존인 아미타불상을 중심으로 좌우에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이 협시한 삼존불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체형, 얼굴, 착의법 등 전체적으로 승호파의 양식을 따르고 있지만, 보살상의 手印, 머리의 두건 등 부분적으로는 차이가 보이기도 한다. 비록 조성 상황에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55호) 경주 남산 포석곡 제6사지 오층석탑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55호) 명 칭 경주 남산 포석곡 제6사지 오층석탑 (慶州 南山 鮑石谷 第6寺址 五層石塔)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1기 지 정 일 2020.12.17 소 재 지 경상북도 경주시 시 대 통일신라 후기에서 고려시대로 넘어가는 즈음에 제작된 과도기적 양식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경주시 문화재설명 경주 남산 포석곡 제6사지 오층석탑은 작은 늠비봉 정상부에 위치하여 늠비봉 오층석탑이라고도 불린다. 절터를 발굴조사하고 2002년에 석탑을 복원하였다. 이 탑은 경주 일대의 일반적인 석탑과는 전혀 다른 형식이다. 자연암반을 받침으로 삼아 기단을 암반의 요철에 따라 세우거나 눕혀 쌓았다. 기단석은 일반적인 가구식기단과 달리 모양이 제각각인 자연석이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54호) 문경옥소고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54호) 명 칭 문경옥소고 (聞慶玉所稿)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초고본 / 기타 수량/면적 17책 지 정 일 2020.06.08 소 재 지 경상북도 문경시(문경새재관리사무소 옛길박물관)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문경시 문화재설명 ‘문경 옥소고’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 여행가인 옥소 권섭(玉所 權燮/1671~1759) 선생의 문집이다. 원래 65책 이상의 방대한 분량으로 추정되지만 현재는 제천본(46책)과 문경본(17책) 등 2종만 전해진다. 제천본은 지난 2015년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364호로 지정됐으며, 문경본은 이번에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됐다. 17책을 권별로 살펴보면, ▲시(詩) 4책 ▲문(文) 2책 ▲문답(問答) 1책 ▲유행록(遊行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53호) 포항 죽림사 육경합부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53호) 명 칭 포항 죽림사 육경합부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0.06.08 소 재 지 경상북도 포항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죽림사 관 리 자 죽림사 문화재설명 『육경합부(六經合部)』는 조선 초기에 널리 독송되었던 6종의 불교경전을 한 책으로 묶어 편찬한 것으로, 죽림사 소장 육경합부는 1424년 전라도 고산 안심사본을 바탕으로 하여 1464년 경주 천룡사에서 간행한 번각본이다. 목판본의 선장본 형태이며 보존상태는 비교적 양호한 편이다. 확실한 간행기록이 있고, 전존본이 거의 확인되지 않으며 인쇄상태도 초쇄에 가깝다. 조선전기 불교학을 비롯하여 사찰 목판 인쇄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 판단된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52호) 안동 용수사 소장 통진대사 양경 비편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52호 명 칭 안동 용수사 소장 통진대사 양경 비편 (安東 龍壽寺 所藏 通眞大師 讓景 碑片) 분 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0.01.13 소 재 지 경상북도 안동시 시 대 고려시대 소 유 자 용수사 관 리 자 용수사 일반설명 이 비편은 가로 53㎝, 세로 71.5㎝, 두께 16㎝ 크기의 직육면형으로, 원래 안동 태자사에 있던 通眞大師 讓景(879∼954)의 비문으로 추정된다. 讓景은 낭공대사 行寂(832∼916)의 제자이며 고려 광종 대에 국왕 측근 내원당 승려로서 활동하였다. 비편 글자는 보존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편으로 모두 19행 351자가 판독되며 이는 전체 碑의 15% 정도로 추정된다. 비편의 내용을 통해서 讓景의 생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51호) 안동 용수사 소장 용산지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51호 명 칭 안동 용수사 소장 용산지 (安東 龍壽寺 所藏 龍山誌) 분 류 기록유산 / 문서류 / 사찰문서 / 기타류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0.01.13 소 재 지 경상북도 안동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용수사 관 리 자 용수사 일반설명 『龍山誌』는 釣隱 李世澤(1716∼1777)이 1775년(영조 51)경에 편성한 책으로, 퇴계 이황의 진성이씨 후손들이 세거하였던 온혜리 근처의 용두산에 대한 역사적 사실과 용수사 관련 내용을 수록하고 있다. 序文에 이어 山川, 寺刹, 紀題, 先賢遺蹟, 古蹟 등의 순서로 편성하였다. 李世澤은 퇴계 이황의 7세손으로 1753년 문과급제 후 1768년 안동부사를 역임하였고 정조가 즉위하자 대사헌이 되었다. 이 책 외에 1771년경..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50호) 최벽 관련 고문헌

종 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50호) 명 칭 최벽 관련 고문헌 (崔壁關聯古文獻)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수량/면적 45점 지 정 일 2020.01.13 소 재 지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창룡대로 21 (매향동, 수원화성박물관) 기탁보관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경주최씨 질암문중 관 리 자 수원화성박물관 문화재설명 문화재로 지정 신청된 자료는 경주지역 경주최씨 질암문중 소장 고문서 (1,639점)이다. 대부분은 18세기 후반∼19세기에 작성된 고문헌으로 간찰이 가장 많다. 특히, 고문서는 유일본으로 역사 연구에 있어 가장 일차적인 자료로서 사료적 가치가 있다.신청된 자료는 1,600여 점이 넘는 방대한 것으로 일괄하여 문화재로 지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문서의 주인공인 崔壁(1762∼1813)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