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篇 (18) 近而示遠(근이시원) 遠而示之近(원이시지근). 손자병법(孫子兵法) 1篇 <시계편(始計篇)> 시계편은 <손자> 13편의 총론으로 병법의 기본서이다. <시계>란 최초의 근본적인 계획이란 뜻이다. 여기서는 전쟁에 대비하는 다섯가지 기본요건을 제시하였고, 다시 이 기본 요건의 어느 쪽이 더 우수한가를 분석, 검토하기 위한 일.. 소설방/손자병법 2017.12.20
1篇 (17) 쓰고 있더라도 쓰지 않은 것처럼 보인다. 손자병법(孫子兵法) 1篇 <시계편(始計篇)> 시계편은 <손자> 13편의 총론으로 병법의 기본서이다. <시계>란 최초의 근본적인 계획이란 뜻이다. 여기서는 전쟁에 대비하는 다섯가지 기본요건을 제시하였고, 다시 이 기본 요건의 어느 쪽이 더 우수한가를 분석, 검토하기 위한 일.. 소설방/손자병법 2017.12.20
1篇 (16) 능하게 할 수 있으나 능하지 못한 척한다. 손자병법(孫子兵法) 1篇 <시계편(始計篇)> 시계편은 <손자> 13편의 총론으로 병법의 기본서이다. <시계>란 최초의 근본적인 계획이란 뜻이다. 여기서는 전쟁에 대비하는 다섯가지 기본요건을 제시하였고, 다시 이 기본 요건의 어느 쪽이 더 우수한가를 분석, 검토하기 위한 일.. 소설방/손자병법 2017.12.20
1篇 (15) 병(兵)이란 궤도(詭道)이다. 손자병법(孫子兵法) 1篇 <시계편(始計篇)> 시계편은 <손자> 13편의 총론으로 병법의 기본서이다. <시계>란 최초의 근본적인 계획이란 뜻이다. 여기서는 전쟁에 대비하는 다섯가지 기본요건을 제시하였고, 다시 이 기본 요건의 어느 쪽이 더 우수한가를 분석, 검토하기 위한 일.. 소설방/손자병법 2017.12.20
1篇 (14) 세란 이로 인하여 권을 제압하는 것이다. 손자병법(孫子兵法) 1篇 <시계편(始計篇)> 시계편은 <손자> 13편의 총론으로 병법의 기본서이다. <시계>란 최초의 근본적인 계획이란 뜻이다. 여기서는 전쟁에 대비하는 다섯가지 기본요건을 제시하였고, 다시 이 기본 요건의 어느 쪽이 더 우수한가를 분석, 검토하기 위한 일.. 소설방/손자병법 2017.12.20
1篇 (13) 이(利)를 헤아려 형세를 이루어라. 손자병법(孫子兵法) 1篇 <시계편(始計篇)> 시계편은 <손자> 13편의 총론으로 병법의 기본서이다. <시계>란 최초의 근본적인 계획이란 뜻이다. 여기서는 전쟁에 대비하는 다섯가지 기본요건을 제시하였고, 다시 이 기본 요건의 어느 쪽이 더 우수한가를 분석, 검토하기 위한 일.. 소설방/손자병법 2017.12.20
1篇 (12) 나의 계를 쓰면 승리하고 안쓰면 반드시 패한다. 손자병법(孫子兵法) 1篇 <시계편(始計篇)> 시계편은 <손자> 13편의 총론으로 병법의 기본서이다. <시계>란 최초의 근본적인 계획이란 뜻이다. 여기서는 전쟁에 대비하는 다섯가지 기본요건을 제시하였고, 다시 이 기본 요건의 어느 쪽이 더 우수한가를 분석, 검토하기 위한 일.. 소설방/손자병법 2017.12.20
1篇 (11) 오사(五事)를 정확히 비교, 검토하라. 손자병법(孫子兵法) 1篇 <시계편(始計篇)> 시계편은 <손자> 13편의 총론으로 병법의 기본서이다. <시계>란 최초의 근본적인 계획이란 뜻이다. 여기서는 전쟁에 대비하는 다섯가지 기본요건을 제시하였고, 다시 이 기본 요건의 어느 쪽이 더 우수한가를 분석, 검토하기 위한 일.. 소설방/손자병법 2017.12.20
1篇 (10) 오사를 비교하는 데는 계(計)로써 하라. 손자병법(孫子兵法) 1篇 <시계편(始計篇)> 시계편은 <손자> 13편의 총론으로 병법의 기본서이다. <시계>란 최초의 근본적인 계획이란 뜻이다. 여기서는 전쟁에 대비하는 다섯가지 기본요건을 제시하였고, 다시 이 기본 요건의 어느 쪽이 더 우수한가를 분석, 검토하기 위한 일.. 소설방/손자병법 2017.12.20
1篇 (9) 오사(五事)를 아는 자는 승리하고 모르면 패한다. 손자병법(孫子兵法) 1篇 <시계편(始計篇)> 시계편은 <손자> 13편의 총론으로 병법의 기본서이다. <시계>란 최초의 근본적인 계획이란 뜻이다. 여기서는 전쟁에 대비하는 다섯가지 기본요건을 제시하였고, 다시 이 기본 요건의 어느 쪽이 더 우수한가를 분석, 검토하기 위한 일.. 소설방/손자병법 2017.12.20